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52
발행년 : 2019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6114222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자살위기개입 업무수행 경험에 대한 연구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experiences of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suicide intervention service provision

  • 저자[authors] 노승현,김연희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 권호사항[Volume/Issue] Vol.47No.1[2019]
  • 발행처[publisher]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60-88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9
다국어 초록[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of suicide crisis intervention in mental health welfare center. conducted in - depth interviews with eight practitioners who had experienced suicide crisis interventions for more than 2 yea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phenomenological methods. As a result of the study, three topic groups and 10 subcategories were derived. The three themes are ‘thrown into the confusion of suicide’, which represents the experience of entry into the suicide crisis intervention, ‘surviving on your own’, which represents the essence of the work process experience, ‘Reflection and maturedness about life and death’, which represents the change of perception and the experience of maturity through the suicide crisis intervention proces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 the necessity of supplementing the policy of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exhaustion mitigation measures, strengthening education and training, and expanding the public authority of the mental health welfare center and strengthening institutional basis of suicide prevention project.

국문 초록[abstracts]
본 연구는 정신건강복지센터에 종사하는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자살위기개입 업무 수행 경험을 심층적, 다면적으로 이해하고자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2년 이상 자살위기개입 경험이 있는 8명의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으며, 수집한 자료는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3개의 주제묶음과 10개의 하위범주를 도출하였다. 3개의 주제 묶음은 자살위기개입 업무로의 진입 경험을 나타내는 ‘‘자살’이라는 혼란에 내던져짐’, 업무수행 과정경험의 본질을 나타내는 ‘각자도생하며 발버둥치는 현실’, 자살위기개입 과정을 통한 인식변화와 성숙의 경험을 나타내는 ‘삶과 죽음에 대한 성찰과 성숙해져감’으로 구성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소진 완화 대책, 교육훈련 강화라는 실천적 제안과 정신건강복지센터의 공적 권한 확대와 자살예방사업의 제도적 기반 강화라는 정책적 보완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52 17 신경과학 의식에 대한 신경철학적 논란과 교육인식론의 과제 / 한일조 2019  69
51 17 신경과학 신경윤리의 성찰과 전망 / 최경석 2011  75
50 17 신경과학 정신건강 분야에서의 모바일 헬스(mobile health) / 장재순 2016  82
49 17 신경과학 Neuroscience, Ethics, and National Security: The State of the Art 2012  102
48 17 신경과학 정신건강의학과 임상 및 연구에서 이해 상충 관련 문제 / 신은희 외 2015  107
47 17 신경과학 집단 간 편견(inter-group prejudices)의 신경과학적 이해 / 추병완 2018  111
46 17 신경과학 인권존중과 탈수용화를 위한 정신건강복지법 재개정 연구 / 이동진 2019  111
45 17 신경과학 복잡계와 뇌과학으로 바라본 인격 특성과 도덕교육의 패러다임 전환 / 박형빈 2017  112
44 17 신경과학 신경과학 시대의 규범윤리학 : 도덕적 설명은 도덕적 정당화를 대체할 수 있는가?/김남주 2018  118
43 17 신경과학 온라인 자살예방 정보와 댓글 분석: 자살예방 정보의 순기능과 역기능 / 2019  119
42 17 신경과학 정신건강 증진과 자살예방을 위한 ICT 융합 국내외 사례 연구/김호경, 신동희 2015  123
41 17 신경과학 초연결 사회 속 피로감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 탐색 / 장민희 외 2017  124
40 17 신경과학 성폭력 피해자 지원 종사자가 경험하는 이차적 외상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 김지은 외 2017  131
39 17 신경과학 정신건강복지법과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 /김혜연 2018  142
38 17 신경과학 정신건강의학과의 역량 중심 전공의 수련과정 개발 / 견영기 외 2018  154
37 17 신경과학 최근 각국의 뇌신경과학연구과제 신경윤리 활동과 국제 교류 / 최은경 외 2018  161
36 17 신경과학 이타주의에 관한 신경생물학 연구의 의의와 한계 / 이상희 2017  166
35 17 신경과학 뇌신경윤리위원회의 설치에 관한 제언 / 이인영 2018  172
34 17 신경과학 소방관을 위한 트라우마 집단교육의 사전 사후 인식 / 이미나, 나옥희 2017  181
33 17 신경과학 소방관 트라우마 치료지원 현황과 발전방안 / 이강우 2014  1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