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52
발행년 : 2019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보건과 복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6106606 
국내 보건학 분야의 “정신 건강” 연구: 측정과 관점 
= Studies on "Mental Health" in Public Health Research

  • 저자[authors] 임은정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보건과 복지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1No.1[2019]
  • 발행처[publisher] 한국보건복지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21-148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9
다국어 초록[Multilingual Abstract]
The use of 'mental health' is increasing in the field of health care. Clearly, the target has broadened from the patients to the population, but an empirical analysis is needed on what aspects of mental health are concerned. This study analyzed 216 articles published in the field of public health by December 2016, seeking to show dispersion represented by number of articles published and perspectives by scales used to measure mental health according to academic disciplines and the timing of publi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ajor areas were nursing science, social welfare, preventive medicine/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and psychiatry. Second, the overall number of articles was increasing, and the trend by disciplines has changed since 2010. Third, there were two methods to measure mental health, using one scale and combining variables. In general, the former showed diseases-focused model, while the latter symptom-focused perspective. Fourth, diseases-focused model was predominant in nursing science and social welfare, and symptom-focused perspective in sociology and social science. Fifth, there was a tendency for symptom-focused perspective to increase. As a result, the change of perspective depends on the variation in the number of publications of each academic discipline, maintain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his study can provide base line data to narrow the distance of the starting point in cooperation with each other by showing the gap of perspectives.

국문 초록[abstracts] 
보건 분야에서 ‘정신 건강’ 용어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환자에서 일반 인구 집단으로 관심 대상이 확대되었다는 점은 분명하지만, 정신 건강의 어떤 측면이 강조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실증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보건학 분야에서 2016년 12월까지 정신 건강을 변수로 하여 출판된 논문 216편을 대상으로, 학문 분야와 출판 시기에 따라 양적 분포와 정신 건강에 대한 관점이 어떻게 다른지 분석하였다. 분석 자료는 논문 수와 사용된 척도였다. 연구 분포 상 특징을 보인 학문 분야는 간호학, 사회복지학, 예방의학/직업환경의학, 정신과학이었다. 전체 논문 수가 증가하는 추세였으며, 2010년을 기점으로 학문 분야별 경향이 달라지고 있었다. 정신 건강을 측정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하나의 척도로 측정하는 경우는 질환 중심의 의학적 관점을, 변수를 조합하는 경우는 증상 중심의 사회학적 관점을 보여주었다. 간호학과 사회복지학은 전자를, 사회학과 사회과학일반은 후자를 대표하며, 증상 중심 관점의 연구가 증가하고 있었다. 각자의 배경 학문에서 기인한 관점 차이를 인지하여 협업 시 출발점의 거리를 좁힐 수 있도록 밑그림을 그린 것이 이 연구의 의의라 할 수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52 17 신경과학 정신과 병동 간호사가 인식하는 윤리 문제에 대한 사례 분석 : 원칙주의를 중심으로 / 조민정 2005  3607
51 17 신경과학 BCI 기술의 생명윤리 쟁점에 관한 연구 / 윤석란 2015  3248
50 17 신경과학 뉴로마케팅(Neuromarketing)의 윤리적 문제 분석 / 추병완 2014  1450
49 17 신경과학 범죄인의 신경생물학적 기능손상과 교정치료/ 이명숙 2019  1097
48 17 신경과학 위기가족 유형들의 생태체계 분석-위기상담사례를 중심으로- /장정문 2018  1034
47 17 신경과학 청소년 폭력과 인지행동치료에 대한 뇌신경과학적 고찰 / 권해수, 윤일홍 2019  1025
46 17 신경과학 정신질환을 가진 부모의 자녀들의 정신건강 상태 조사 연구 / 서화연 외 2017  987
45 17 신경과학 신경과학에 대한 도덕교육적 검토 -도덕적 행위자의 문제를 중심으로- / 이슬비 2019  873
44 17 신경과학 인공지능과 상담심리학의 융합방법과 활용 / 최종석 2018  602
43 17 신경과학 뇌과학 시대와 인지사회학 / 차영화 2016  587
42 17 신경과학 상담심리학의 현재와 미래과제 /이상민 외 2018  573
41 17 신경과학 학생상담자원봉사자의 활동 지속성 관련 요인 분석 / 조복순 2018  547
40 17 신경과학 정신건강복지 관련 법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성중탁 2018  544
39 17 신경과학 약리학적 기분 향상에 관한 신경윤리학적 고찰 / 추병완 2019  481
38 17 신경과학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자살위기개입 업무수행 경험에 대한 연구 / 노승현 외 2019  419
37 17 신경과학 뇌과학의 발전과 형법적 패러다임 전환에 관한 연구(1) -뇌과학과 형법의 접점에 관한 예비적 고찰 / 탁희성, 정재승, 박은정 2012  372
36 17 신경과학 경찰공무원의 외상성사건 경험에 의한 트라우마 및 스트레스 해소방안에 관한 연구/ 송해영 2016  366
35 17 신경과학 뇌공학의 윤리적 쟁점에 대한 고찰/김진국 2018  346
34 17 신경과학 뇌 과학의 관점에서 본 배아의 생명권 / 유경동 2014  335
33 17 신경과학 긍정심리 집단상담이 마이스터고등학교 학생의 정서안정 및 자기결정성에 미치는 효과 2018  3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