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52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소아청소년정신의학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543193 

정신질환을 가진 부모의 자녀들의 정신건강 상태 조사 연구


= A Survey for Mental Health of Children Whose Parents Have Psychiatric Disorders : A Preliminary Study for Mental Health Screening of High Risk Children


  • 저자[authors] : 서화연(Hwo Yeon Seo),박수미(Su Mi Park),김예니(Yeni Kim),양영희(Young Hui Yang),이지연(Ji Yeuon Lee),이해우(Hae Woo Lee),정희연(Hee Yeon Jung)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 소아청소년정신의학
  • 권호사항[Volume/Issue] : Vol.28No.4[2017]
  • 발행처[publisher] :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 235-243
  • 언어[language] :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 2017
  • 주제어[descriptor] : Mental health,High risk,Screening,정신건강,고위험군,선별검사


초록[abstracts]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mental health status of the children of psychiatric patients in order to plan for the resources that may be necessary to help these children achieve their full potential.    Methods: Forty-eight children (age 9–18) whose parents were registered in 5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s located in Seoul were recruited. Tests assessing 3 psychological domains were conducted: 1) cognition: Korean version of Learning Disability Evaluation Scale, Comprehensive Attention Test, 2) parent reported emotion and behavior: Korean Child Behavior Checklist, Korean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Rating Scale, and 3) self-reported emotion and behavior: Korean Beck’s Depression Inventory-II/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II, Korean Youth Self Report). We defined the children as having a high risk of developing mental health problems if their test scores were over the cut-off levels in 2 or more of the 3 domains assessed.    Results: Twelve (25%) children were classified as having a high risk of developing mental health issues. 20 (41.6%) children scored above the cut-off in only one of the domains.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children of psychiatric patients might be vulnerable to mental illness and need early prevention or interven-tions for the sake of their mental health.]


목차[Table of content]

서론  방법  결과   고찰   결론  REFERENCES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52 17 신경과학 의식에 대한 신경철학적 논란과 교육인식론의 과제 / 한일조 2019  69
51 17 신경과학 신경윤리의 성찰과 전망 / 최경석 2011  75
50 17 신경과학 정신건강 분야에서의 모바일 헬스(mobile health) / 장재순 2016  80
49 17 신경과학 Neuroscience, Ethics, and National Security: The State of the Art 2012  102
48 17 신경과학 정신건강의학과 임상 및 연구에서 이해 상충 관련 문제 / 신은희 외 2015  107
47 17 신경과학 집단 간 편견(inter-group prejudices)의 신경과학적 이해 / 추병완 2018  110
46 17 신경과학 인권존중과 탈수용화를 위한 정신건강복지법 재개정 연구 / 이동진 2019  111
45 17 신경과학 복잡계와 뇌과학으로 바라본 인격 특성과 도덕교육의 패러다임 전환 / 박형빈 2017  112
44 17 신경과학 신경과학 시대의 규범윤리학 : 도덕적 설명은 도덕적 정당화를 대체할 수 있는가?/김남주 2018  118
43 17 신경과학 온라인 자살예방 정보와 댓글 분석: 자살예방 정보의 순기능과 역기능 / 2019  118
42 17 신경과학 정신건강 증진과 자살예방을 위한 ICT 융합 국내외 사례 연구/김호경, 신동희 2015  122
41 17 신경과학 초연결 사회 속 피로감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 탐색 / 장민희 외 2017  124
40 17 신경과학 성폭력 피해자 지원 종사자가 경험하는 이차적 외상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 김지은 외 2017  131
39 17 신경과학 정신건강복지법과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 /김혜연 2018  142
38 17 신경과학 정신건강의학과의 역량 중심 전공의 수련과정 개발 / 견영기 외 2018  154
37 17 신경과학 최근 각국의 뇌신경과학연구과제 신경윤리 활동과 국제 교류 / 최은경 외 2018  161
36 17 신경과학 이타주의에 관한 신경생물학 연구의 의의와 한계 / 이상희 2017  166
35 17 신경과학 뇌신경윤리위원회의 설치에 관한 제언 / 이인영 2018  172
34 17 신경과학 소방관을 위한 트라우마 집단교육의 사전 사후 인식 / 이미나, 나옥희 2017  181
33 17 신경과학 소방관 트라우마 치료지원 현황과 발전방안 / 이강우 2014  1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