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52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스트레스硏究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225532 


초연결 사회 속 피로감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 탐색


= Exploring Psychological Factors Related to Fatigue in Hyperconnective Society

http://www.riss.kr/link?id=A103225532 



  • 저자명 :  장민희(Minhee Jang) ,김대현(Daehyun Kim) ,이장주(Jangju Lee) ,정태연(Taeyun Jung)
  • 학술지명 :  스트레스硏究(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 권호사항 : Vol.25 No.2 [2017]
  • 발행처 : 대한스트레스학회
  • 자료유형 : 학술저널
  • 수록면 : 128-137(10쪽)
  • 언어 : Korean
  • 발행년도 : 2017년
  • 주제어 : SNS 피로감 ,성격요인 ,고독감 ,자기개념 ,사회비교 ,SNS fatigue ,Big 5 ,Loneliness ,Self concept ,Social comparison


초록

본 연구는 초연결 사회 속 SNS피로감 및 사용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1에서 20대 이상 성인 36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여성이 남성보다 그리고 20대보다 30대이상이 유의미하게 SNS피로감이 더 높았다. 또한, 성격 특성으로 신경증이 높고 호감성이 낮을수록, 자기개념이 불명확할수록, 그리고 타인과의 비교를 많이 할수록 SNS 피로감이 높았다. 연구 2에서는 20대 이상 성인 69명을 대상으로 7일간 온라인 생활일지 작성을 실시하여 SNS를 통해 이루어졌던 대화주제와 만족도, 긍정/부정정서 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잡담, 정보공유 및 안부와 관련한 내용은 많이 소통할수록 사용만족도가 증가했지만, 고민상담이나 업무와 관련된 내용은 만족도와 유의미한 상관이 없었다. 그리고 7일간 긍정정서 상위집단의 사람들이 오프라인에서 친밀한 사람 수와 그들과의 관계 만족도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보고하였다. 이는 단순히 초연결 서비스의 사용 양보다는 개인의 심리적 특성과 대화주제, 오프라인에서의 관계양상 등이 SNS피로감을 비롯한 심리상태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목차

Key messages

Abstract

서론

연구Ⅰ

연구방법

결과

소결

연구Ⅱ

연구방법

결과

소결

고찰

References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2 17 신경과학 재난대응공무원의 정신건강관리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석혜민 2016  330
31 17 신경과학 나바에즈의 신경도덕교육 이론에 대한 평가 / 추병완 2016  312
30 17 신경과학 비판적 신경과학의 도덕교육적 함의 / 김하연 2019  309
29 17 신경과학 정신보건법 전면 개정에 따른 의료인 결격사유로서의 정신질환자의 법적 고찰 / 이세경 2017  295
28 17 신경과학 정신건강분야에서 빅데이터(의료이용자료)의 활용/김현정 2018  280
27 17 신경과학 우리는 ‘호모 모랄리스’인가? 도덕 딜레마 해결 기제의 신경윤리학 연구 / 윤진호 외 2019  279
26 17 신경과학 광유전자를 이용한 새로운 파킨슨병 동물모델의 개발 / 박은석 2017  257
25 17 신경과학 뇌의 인지기능과 마음의 관계 / 김영례 2019  223
24 17 신경과학 심리서비스(심리치료 및 심리상담 등)에 관한 법률적 근거의 재정의 필요성에 대하여 / 전소영 이수정 2017  218
23 17 신경과학 정신장애범죄인과 사법적 처우 / 최민영 2018  207
22 17 신경과학 국내 보건학 분야의 “정신 건강” 연구: 측정과 관점 / 임은정 2019  204
21 17 신경과학 식물인간의 윤리적 지위 : 신경윤리적 검토 / 김효은 2010  202
20 17 신경과학 소방관 트라우마 치료지원 현황과 발전방안 / 이강우 2014  182
19 17 신경과학 소방관을 위한 트라우마 집단교육의 사전 사후 인식 / 이미나, 나옥희 2017  181
18 17 신경과학 뇌신경윤리위원회의 설치에 관한 제언 / 이인영 2018  172
17 17 신경과학 이타주의에 관한 신경생물학 연구의 의의와 한계 / 이상희 2017  166
16 17 신경과학 최근 각국의 뇌신경과학연구과제 신경윤리 활동과 국제 교류 / 최은경 외 2018  160
15 17 신경과학 정신건강의학과의 역량 중심 전공의 수련과정 개발 / 견영기 외 2018  153
14 17 신경과학 정신건강복지법과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 /김혜연 2018  142
13 17 신경과학 성폭력 피해자 지원 종사자가 경험하는 이차적 외상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 김지은 외 2017  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