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52
발행년 : 201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729338 
학생상담자원봉사자의 활동 지속성 관련 요인 분석 
= Correlation of the Continue activities and the Related factors of student counseling volunteers


• 저자 : 조복순
• 형태사항 : 61 ; 26 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 장성호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2018.2
• 발행국 : 서울
• 출판년 : 2018
• 주제어 : 학생상담자원봉사, 지속성, 개인적 요인, 심리적 요인, 대인적 요인, 환경적 요인

• 초록 (Abstract)
• 본 연구는 학생상담자원봉사자의 봉사활동 지속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파악하고 분석하여 봉사활동 지속을 높이기 위한 실천적, 현실적 그리고 구체적인 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학생상담자원봉사자 활동 지속성과 개인적 요인, 심리적 요인, 대인 관계 요인, 그리고 환경 요인과는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가? 둘째, 학생상담자원자 봉사활동 중도탈락을 예방하고 봉사자가 지속적이고 효과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방안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그 동안 학생상담자원봉사자의 봉사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여러 문헌 연구들을 고찰함으로써 개인적 요인, 심리적 요인, 대인 관계 요인, 그리고 환경 요인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상담자원봉사자의 활동 지속성에 영향 미치는 개인적 요인은 “시간적 여유”였다. 둘째, 학생상담자원봉사자의 활동 지속성에 영향 미치는 심리적 요인은 “자아실현 욕구”였다. 셋째, 학생상담자원봉사자의 활동 지속성에 영향 미치는 대인적 요인은 “동료자원봉사자와의 연대”였다 넷째, 학생상담자원봉사자의 활동 지속성에 영향 미치는 환경적 요인은 “ 유관기관의 가치관”이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상담자원봉사자의 지속적인 봉사활동을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학생상담자원봉사자의 봉사활동에 대한 긍정적인 역할인식을 위해 기관의 관심과 적극적 지지와 관리가 필요하다. 기관은 지속적인 상담자원봉사활동을 할 수 있도록 인정과 보상 그리고 다양한 상담기법의 재교육과 프로그램을 개발해야한다. 둘째, 상담자원봉사자는 회원으로서의 적극적인 참여와 다양한 역할 수행, 본인 스스로의 역할에 대한 자긍심이 필요하다. 셋째, 동료봉사자와의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개발, 갈등상황에 대비한 지원체계, 회원 상호간에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학생상담봉사자들 간의 논의를 통해 스스로 문제점을 발견하고 해결책을 찾아내어 소속감을 가지게 하는 역할 활동이 필요하다. 넷째, 기관장이나 학교장은 적극적인 지원체계를 갖춰 담당자가 봉사자와 함께 상담에 필요한 모든 지원들이 원활하게 준비되어 학생상담봉사의 역할이 중요함을 인식하도록 홍보체계의 지원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관련기관은 중도 탈락률을 줄이기 위해서 체계적인 인력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다. 신규 인원 보강하기 위한 기초교육에 투자하는 비용을 오히려 기존 학생상담자들에게 양질의 재교육을 이수하게 하고 활동비를 줌으로써 취업으로 인한 중도 탈락을 막을 수 있으며 인정과 보상에 대한 만족도가 향상되어 안정적인 자원봉사 활동이 지속될 수 있으리라고 본다. 결과적으로 학생상담자원봉사 활동은 청소년 위기 정책에 도움을 주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되는 것이다.


목차

제1장 서론 1
제1절 문제제기와 연구의 필요성 1
제2절 연구 목적과 연구 모형 5
제2장 이론적 배경 7
제1절 자원봉사 7
1. 자원봉사의 의의 및 특성 7
2. 자원봉사 지속성의 개념 8
3. 자원봉사의 참여 지속 요인 10
제2절 청소년 학교 상담 13
1. 청소년 학교상담의 필요성 13
2. 학생상담자원봉사 활동 19
3. 학생상담자원봉사제의 성과와 문제점 26
제3절 선행연구 29
제3장 학생상담봉사자의 활동 지속성 관련 변인 35
제1절 학생상담자원봉사자의 활동 지속성과 개인적 요인과의 관계 36
제2절 학생상담자원봉사자의 활동 지속성과 심리적 요인과의 관계 39
제3절 학생상담자원봉사자의 활동 지속성과 대인 요인과의 관계 41
제4절 학생상담자원봉사자의 활동 지속성과 환경 요인과의 관계 42
제5절 학생상담봉사자의 활동 지속성 관련 변인들과의 상관관계 소결 46
제 4 장 결론 49
참고문헌 54
ABSTRACT 6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32 17 신경과학 재난대응공무원의 정신건강관리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석혜민 2016  331
31 17 신경과학 나바에즈의 신경도덕교육 이론에 대한 평가 / 추병완 2016  321
30 17 신경과학 비판적 신경과학의 도덕교육적 함의 / 김하연 2019  309
29 17 신경과학 정신보건법 전면 개정에 따른 의료인 결격사유로서의 정신질환자의 법적 고찰 / 이세경 2017  296
28 17 신경과학 정신건강분야에서 빅데이터(의료이용자료)의 활용/김현정 2018  280
27 17 신경과학 우리는 ‘호모 모랄리스’인가? 도덕 딜레마 해결 기제의 신경윤리학 연구 / 윤진호 외 2019  280
26 17 신경과학 광유전자를 이용한 새로운 파킨슨병 동물모델의 개발 / 박은석 2017  257
25 17 신경과학 뇌의 인지기능과 마음의 관계 / 김영례 2019  223
24 17 신경과학 심리서비스(심리치료 및 심리상담 등)에 관한 법률적 근거의 재정의 필요성에 대하여 / 전소영 이수정 2017  218
23 17 신경과학 식물인간의 윤리적 지위 : 신경윤리적 검토 / 김효은 2010  207
22 17 신경과학 정신장애범죄인과 사법적 처우 / 최민영 2018  207
21 17 신경과학 국내 보건학 분야의 “정신 건강” 연구: 측정과 관점 / 임은정 2019  204
20 17 신경과학 소방관 트라우마 치료지원 현황과 발전방안 / 이강우 2014  182
19 17 신경과학 소방관을 위한 트라우마 집단교육의 사전 사후 인식 / 이미나, 나옥희 2017  181
18 17 신경과학 뇌신경윤리위원회의 설치에 관한 제언 / 이인영 2018  172
17 17 신경과학 이타주의에 관한 신경생물학 연구의 의의와 한계 / 이상희 2017  166
16 17 신경과학 최근 각국의 뇌신경과학연구과제 신경윤리 활동과 국제 교류 / 최은경 외 2018  161
15 17 신경과학 정신건강의학과의 역량 중심 전공의 수련과정 개발 / 견영기 외 2018  154
14 17 신경과학 정신건강복지법과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 /김혜연 2018  142
13 17 신경과학 성폭력 피해자 지원 종사자가 경험하는 이차적 외상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 김지은 외 2017  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