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51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倫理硏究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038213 


이타주의에 관한 신경생물학 연구의 의의와 한계

= The Significance and Limits of Neurobiology for Altruism



http://www.riss.kr/link?id=A103038213 

 

저자명 : 이상희 ( Lee San-hee ) 

학술지명 : 倫理硏究

권호사항 : Vol.112 No.- [2017]

발행처 : 한국윤리학회(구 한국국민윤리학회)

발행처 URL : http://www.kethics.com

자료유형 : 학술저널

수록면 : 109-128(20)

언어 : Korean

발행년도 : 2017

주제어 : 신경생물학 , 이타주의 , 생물학적 윤리론 , 기술윤리학 , 편도체 , 뇌후두부 , 친사회적 행동 , neurobiology , altruism , biological ethics theory, descriptive ethics , amygdala , pSTC , prosocial behavior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인간 본성에 대한 신경생물학의 접근 방식을 이해하고, 구체적으로 이타주의에 관한 신경생물학 연구 사례를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데에 있다. 이를 통해, 그동안 기술윤리학으로서의 가치와 필요를 인정받아 온 생물학 연구가 기술윤리학으로서 상당히 한계가 있음을 드러내고자 한다. 먼저, `심리적 이기주의의 논변`을 통해 인간 행동을 심리적으로 검증하는 데에 한계가 있음을 설명하고, 이러한 한계에 대한 대안으로서 신경생물학이 인간 행동에 대하여 시도하는 새로운 접근을 이해한다. 그 다음, 구체적인 신경생물학 연구사례를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생물학적 윤리론의 한계를 밝힌다. 그리고 기술윤리학으로서 지위를 얻기 위해 신경생물학 연구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한다. 이타주의에 대한 신경생물학 연구 사례는 첫째, 실험 대상 설계에 있어서 결함을 지니며, 이러한 실험 표본을 통해 도출된 연구의 결론은 학문적 타당성이 낮다. 신경생물학 연구자들은 개별 도덕 행동, 도덕적 자아 인식 그리고 실제 행위자의 도덕성을 구별하고 있지 않으며 이타주의 용어에 함축된 행위자의 동기적 요소를 간과하고 있다. 둘째, 연구의 결론과 성과는 연구 내용을 뛰어 넘어 확장되어 있다. 이타주의를 특징짓는 구조적 기능적 원인으로 도출된 신경 기반들은 이타주의의 충분조건이 아니다. 그러므로 신경생물학을 포함한 생물학적 윤리론이 정당하게 기술윤리학으로서의 지위를 인정받기 위해서는 먼저, 연구의 핵심인 이타주의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와 각 용어에 대한 엄격한 정의가 요구된다. 두 번째로 인간 행동과 신경적 기반의 상관성을 직접적인 인과관계로 연결하려는 생물학적 결정론을 경계하고, 연구의 성과와 의미를 제한적으로 해석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개별적이고 구체적인 신경생물학 연구들의 목표는 진화생물학의 목표와 구별되어야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 17 신경과학 이타주의에 관한 신경생물학 연구의 의의와 한계 / 이상희 2017  166
30 17 신경과학 초연결 사회 속 피로감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 탐색 / 장민희 외 2017  124
29 17 신경과학 성폭력 피해자 지원 종사자가 경험하는 이차적 외상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 김지은 외 2017  131
28 17 신경과학 심리서비스(심리치료 및 심리상담 등)에 관한 법률적 근거의 재정의 필요성에 대하여 / 전소영 이수정 2017  218
27 17 신경과학 복잡계와 뇌과학으로 바라본 인격 특성과 도덕교육의 패러다임 전환 / 박형빈 2017  112
26 17 신경과학 정신질환을 가진 부모의 자녀들의 정신건강 상태 조사 연구 / 서화연 외 2017  987
25 17 신경과학 정신건강의학과의 역량 중심 전공의 수련과정 개발 / 견영기 외 2018  154
24 17 신경과학 최근 각국의 뇌신경과학연구과제 신경윤리 활동과 국제 교류 / 최은경 외 2018  161
23 17 신경과학 정신건강의학과 임상 및 연구에서 이해 상충 관련 문제 / 신은희 외 2015  107
22 17 신경과학 정신보건법 전면 개정에 따른 의료인 결격사유로서의 정신질환자의 법적 고찰 / 이세경 2017  296
21 17 신경과학 정신건강분야에서 빅데이터(의료이용자료)의 활용/김현정 2018  280
20 17 신경과학 정신건강 증진과 자살예방을 위한 ICT 융합 국내외 사례 연구/김호경, 신동희 2015  123
19 17 신경과학 상담심리학의 현재와 미래과제 /이상민 외 2018  572
18 17 신경과학 정신건강복지법과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 /김혜연 2018  142
17 17 신경과학 정신건강복지 관련 법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성중탁 2018  539
16 17 신경과학 인공지능과 상담심리학의 융합방법과 활용 / 최종석 2018  602
15 17 신경과학 정신장애범죄인과 사법적 처우 / 최민영 2018  207
14 17 신경과학 신경과학 시대의 규범윤리학 : 도덕적 설명은 도덕적 정당화를 대체할 수 있는가?/김남주 2018  118
13 17 신경과학 뇌신경윤리위원회의 설치에 관한 제언 / 이인영 2018  172
12 17 신경과학 집단 간 편견(inter-group prejudices)의 신경과학적 이해 / 추병완 2018  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