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52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관련링크 : http://jse.or.kr/AJMAHS/papers/v7n10/38.pdf 

소방관을 위한 트라우마 집단교육의 사전 사후 인식



http://www.riss.kr/link?id=A103566263

 

 

  • 저자명 이미나 ,나옥희
  • 학술지명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http://jse.or.kr/AJMAHS/papers/v7n10/)
  • 권호사항 Vol.7 No.10 [2017]
  • 발행처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413-421(9)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7
  • 주제어 소방관 ,트라우마 ,집단교육 ,인식조사 ,외상적 경험
  •  
  • 초록

본 연구는 소방관을 위한 트라우마 집단교육을 통해 사전 사후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소방관의 특성상 다양한 응급과 위급한 사건사고 현장에 노출되고 있으며, 외상적 경험인 트라우마는만성화되는 경우, 우울, 불안, 공황장애 및 공격성 등의 증상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K시에 거주하고 있는 소방관 21명을 대상으로 6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트라우마 집단교육을 실시하였으며, 사전 사후 인식에 대한 설문지를 통해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집단교육의 주제로는 트라우마 이해, 트라우마 치료와 예방법, 심리상태와 꿈, 스트레스 관리, 심리건강 지원제도, 공사례 등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결과 소방관을 위한 트라우마 집단교육을 통해 일반적인 인식에서는표준화된 트라우마 교육자료의 요구와 필요성 18(84.7%) ‘교육을 통해 심리적 문제를 도움 받고자 참여하였다’. 16(76.2%), ‘기회가 있으면 심리검사를 받고 싶다’ 16(76.2%), ‘찾아오는 교육과 상담 지원의 필요성’ 14(66.7%)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토대로 다양한 사건사고에 노출된 외상적 경험이 있는 소방관을 위한 트라우마 집단교육을 실시한 결과 교육을 받은 후 전문적인 교육과 상담을 받아야한다는 인식이 높아진 것을 알 수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2 17 신경과학 재난대응공무원의 정신건강관리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석혜민 2016  330
31 17 신경과학 나바에즈의 신경도덕교육 이론에 대한 평가 / 추병완 2016  312
30 17 신경과학 비판적 신경과학의 도덕교육적 함의 / 김하연 2019  309
29 17 신경과학 정신보건법 전면 개정에 따른 의료인 결격사유로서의 정신질환자의 법적 고찰 / 이세경 2017  295
28 17 신경과학 정신건강분야에서 빅데이터(의료이용자료)의 활용/김현정 2018  280
27 17 신경과학 우리는 ‘호모 모랄리스’인가? 도덕 딜레마 해결 기제의 신경윤리학 연구 / 윤진호 외 2019  279
26 17 신경과학 광유전자를 이용한 새로운 파킨슨병 동물모델의 개발 / 박은석 2017  257
25 17 신경과학 뇌의 인지기능과 마음의 관계 / 김영례 2019  223
24 17 신경과학 심리서비스(심리치료 및 심리상담 등)에 관한 법률적 근거의 재정의 필요성에 대하여 / 전소영 이수정 2017  218
23 17 신경과학 정신장애범죄인과 사법적 처우 / 최민영 2018  207
22 17 신경과학 국내 보건학 분야의 “정신 건강” 연구: 측정과 관점 / 임은정 2019  204
21 17 신경과학 식물인간의 윤리적 지위 : 신경윤리적 검토 / 김효은 2010  202
20 17 신경과학 소방관 트라우마 치료지원 현황과 발전방안 / 이강우 2014  182
» 17 신경과학 소방관을 위한 트라우마 집단교육의 사전 사후 인식 / 이미나, 나옥희 2017  181
18 17 신경과학 뇌신경윤리위원회의 설치에 관한 제언 / 이인영 2018  172
17 17 신경과학 이타주의에 관한 신경생물학 연구의 의의와 한계 / 이상희 2017  166
16 17 신경과학 최근 각국의 뇌신경과학연구과제 신경윤리 활동과 국제 교류 / 최은경 외 2018  161
15 17 신경과학 정신건강의학과의 역량 중심 전공의 수련과정 개발 / 견영기 외 2018  154
14 17 신경과학 정신건강복지법과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 /김혜연 2018  142
13 17 신경과학 성폭력 피해자 지원 종사자가 경험하는 이차적 외상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 김지은 외 2017  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