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52
발행년 : 201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석사-- 고려대학교 행정대학원 : 정책학과 공공정책 전공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012579 


경찰공무원의 외상성사건 경험에 의한 트라우마 및 스트레스 해소방안에 관한 연구



  • 저자 송해영

  • 형태사항 86 p ;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임준형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고려대학교 행정대학원 : 정책학과 공공정책 전공 2016. 2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6

  • 주제어 치유외상후 스트레스 장애(트라우마)외상 직후 스트레스경찰공무원직무스트레스


  • 초록


본 연구는 다양한 사건사고 현장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는 경찰공무원의 외상성사건 경험이 외상 직후 스트레스와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및 직무스트레스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또한 계급, 근무연수 등 경찰공무원의 개인특성이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와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이 있는지를 규명하고, 이에 대한 효율적인 대처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본 연구에서는 충북지방경찰청에서 ’1312월에 발주한 경찰·해경·소방관 직무스트레스와 트라우마의 자연치유에 관한 연구 용역에 의해 20131219일부터 1225일까지 경찰청 고객만족 모니터센터에서 전국에 있는 경찰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이메일을 통해 실시되어 회수된 총 9,614부의 1차 원본자료를 활용하여 2차 분석자료를 생성하였는데, 이 연구의 분석을 통해 나타난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다음과 같다.첫째, 경찰공무원의 외상성사건 경험은 외상 직후 스트레스와 직무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둘째, 경찰공무원의 계급근무연수 등 개인특성은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와 직무스트레스에 일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찰공무원의 외상성사건 경험과 개인특성은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에는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직무스트레스에는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를 치유하고 직무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해 경찰공무원들이 필요로 하는 선호도 조사에서는 자연경관을 이용한 전문화된 트라우마 통합치료센터가 설립되는 것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응답자 9,614명 중 7,948(82.7%)으로 나타났다이와 관련해서 몇 가지 정책적 제언을 하면, 첫째, 경찰공무원들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및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개입은 빠를수록 좋다. 둘째, 자연치유를 접목한 통합심리치료기관의 건립이 필요하다. 셋째, 검증된 전문가에 의해 진행되는 통합심리치료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넷째, 전문화된 통합심리치료기관 건립 후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효율적인 운영관리가 이루어 져야 한다.



  • 목차


1. 서론 ················1

2. 경찰 정신건강 증진 프로그램 현황 및 문제점················5

1. 경찰 심리상담 프로그램 ················5

1) 추진 배경

2) 추진 경과 및 효과

3) 주요 내용

2. 경찰 트라우마 센터 ················7

1) 추진 배경

2) 추진 경과

3) 주요 내용

3. 경찰 정신건강 증진 프로그램 비교················11

4. 현행 경찰 정신건강 증진 프로그램의 문제점 ················12

3. 이론적 배경 ················13

1. 외상성사건················13

1) 외상성사건의 개념

2) 외상성사건의 유형

3) 외상성사건의 직접경험과 간접경험

2.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15

1) 트라우마

2) PTSD

3) 외상직후 스트레스와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4)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의 진단기준에 대한 논의

5) 경찰공무원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3. 직무스트레스 ················21

4. 연구가설 ················26

5. 치료와 치유················28

1) 숲 치유

2) 통합예술심리치료

3) 힐링(Healing)

4. 연구 분석 및 결과················33

1. 연구분석 방법················33

1) 연구대상 및 자료생성 방법

2) 측정 도구

3) 분석 방법

2. 일반적 특성················35

3. 외상경험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분석결과················37

1) 다중척도변수 신뢰도 검정

2) 외상성사건 경험개수 및 외상 직후 스트레스 점수 기술통계량

3) 외상성사건 직접경험에 따른 스트레스 분석

4) 외상성사건 간접경험에 따른 스트레스 분석

5) 외상성사건 경험개수에 따른 스트레스 분석

4. 개인특성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분석결과················46

1) 계급근무연수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등 기술통계량

2) 계급에 따른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및 직무스트레스 평균비교

3) 근무연수에 따른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및 직무스트레스 평균비교

5. 경찰공무원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복합적 영향 분석결과················50

1)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점수의 다중회귀분석

2) 직무스트레스 점수의 다중회귀분석

6. 변수 간 인과관계 분석결과················53

7. 경찰공무원의 스트레스 해소방안 등 분석결과 ················56

1) 경찰공무원의 스트레스 해소방안

2) 경찰조직 내 통합심리치료기관 도입방안

3) 경찰조직 내 통합심리치료기관 설립시 요구사항

5. 결론 및 제언 ················60

1. 결론 ················60

2. 정책 제언················61

3. 연구의 한계················65

참고문헌 ················66

조사설문 ················75

국문초록 ················86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52 17 신경과학 의식에 대한 신경철학적 논란과 교육인식론의 과제 / 한일조 2019  69
51 17 신경과학 신경윤리의 성찰과 전망 / 최경석 2011  75
50 17 신경과학 정신건강 분야에서의 모바일 헬스(mobile health) / 장재순 2016  81
49 17 신경과학 Neuroscience, Ethics, and National Security: The State of the Art 2012  102
48 17 신경과학 정신건강의학과 임상 및 연구에서 이해 상충 관련 문제 / 신은희 외 2015  107
47 17 신경과학 집단 간 편견(inter-group prejudices)의 신경과학적 이해 / 추병완 2018  110
46 17 신경과학 인권존중과 탈수용화를 위한 정신건강복지법 재개정 연구 / 이동진 2019  111
45 17 신경과학 복잡계와 뇌과학으로 바라본 인격 특성과 도덕교육의 패러다임 전환 / 박형빈 2017  112
44 17 신경과학 신경과학 시대의 규범윤리학 : 도덕적 설명은 도덕적 정당화를 대체할 수 있는가?/김남주 2018  118
43 17 신경과학 온라인 자살예방 정보와 댓글 분석: 자살예방 정보의 순기능과 역기능 / 2019  118
42 17 신경과학 정신건강 증진과 자살예방을 위한 ICT 융합 국내외 사례 연구/김호경, 신동희 2015  123
41 17 신경과학 초연결 사회 속 피로감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 탐색 / 장민희 외 2017  124
40 17 신경과학 성폭력 피해자 지원 종사자가 경험하는 이차적 외상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 김지은 외 2017  131
39 17 신경과학 정신건강복지법과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 /김혜연 2018  142
38 17 신경과학 정신건강의학과의 역량 중심 전공의 수련과정 개발 / 견영기 외 2018  154
37 17 신경과학 최근 각국의 뇌신경과학연구과제 신경윤리 활동과 국제 교류 / 최은경 외 2018  161
36 17 신경과학 이타주의에 관한 신경생물학 연구의 의의와 한계 / 이상희 2017  166
35 17 신경과학 뇌신경윤리위원회의 설치에 관한 제언 / 이인영 2018  172
34 17 신경과학 소방관을 위한 트라우마 집단교육의 사전 사후 인식 / 이미나, 나옥희 2017  181
33 17 신경과학 소방관 트라우마 치료지원 현황과 발전방안 / 이강우 2014  1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