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52
발행년 : 201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석사-- 고려대학교 행정대학원 : 정책학과 공공정책 전공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012579 


경찰공무원의 외상성사건 경험에 의한 트라우마 및 스트레스 해소방안에 관한 연구



  • 저자 송해영

  • 형태사항 86 p ;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임준형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고려대학교 행정대학원 : 정책학과 공공정책 전공 2016. 2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6

  • 주제어 치유외상후 스트레스 장애(트라우마)외상 직후 스트레스경찰공무원직무스트레스


  • 초록


본 연구는 다양한 사건사고 현장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는 경찰공무원의 외상성사건 경험이 외상 직후 스트레스와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및 직무스트레스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또한 계급, 근무연수 등 경찰공무원의 개인특성이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와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이 있는지를 규명하고, 이에 대한 효율적인 대처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본 연구에서는 충북지방경찰청에서 ’1312월에 발주한 경찰·해경·소방관 직무스트레스와 트라우마의 자연치유에 관한 연구 용역에 의해 20131219일부터 1225일까지 경찰청 고객만족 모니터센터에서 전국에 있는 경찰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이메일을 통해 실시되어 회수된 총 9,614부의 1차 원본자료를 활용하여 2차 분석자료를 생성하였는데, 이 연구의 분석을 통해 나타난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다음과 같다.첫째, 경찰공무원의 외상성사건 경험은 외상 직후 스트레스와 직무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둘째, 경찰공무원의 계급근무연수 등 개인특성은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와 직무스트레스에 일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찰공무원의 외상성사건 경험과 개인특성은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에는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직무스트레스에는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를 치유하고 직무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해 경찰공무원들이 필요로 하는 선호도 조사에서는 자연경관을 이용한 전문화된 트라우마 통합치료센터가 설립되는 것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응답자 9,614명 중 7,948(82.7%)으로 나타났다이와 관련해서 몇 가지 정책적 제언을 하면, 첫째, 경찰공무원들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및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개입은 빠를수록 좋다. 둘째, 자연치유를 접목한 통합심리치료기관의 건립이 필요하다. 셋째, 검증된 전문가에 의해 진행되는 통합심리치료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넷째, 전문화된 통합심리치료기관 건립 후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효율적인 운영관리가 이루어 져야 한다.



  • 목차


1. 서론 ················1

2. 경찰 정신건강 증진 프로그램 현황 및 문제점················5

1. 경찰 심리상담 프로그램 ················5

1) 추진 배경

2) 추진 경과 및 효과

3) 주요 내용

2. 경찰 트라우마 센터 ················7

1) 추진 배경

2) 추진 경과

3) 주요 내용

3. 경찰 정신건강 증진 프로그램 비교················11

4. 현행 경찰 정신건강 증진 프로그램의 문제점 ················12

3. 이론적 배경 ················13

1. 외상성사건················13

1) 외상성사건의 개념

2) 외상성사건의 유형

3) 외상성사건의 직접경험과 간접경험

2.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15

1) 트라우마

2) PTSD

3) 외상직후 스트레스와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4)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의 진단기준에 대한 논의

5) 경찰공무원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3. 직무스트레스 ················21

4. 연구가설 ················26

5. 치료와 치유················28

1) 숲 치유

2) 통합예술심리치료

3) 힐링(Healing)

4. 연구 분석 및 결과················33

1. 연구분석 방법················33

1) 연구대상 및 자료생성 방법

2) 측정 도구

3) 분석 방법

2. 일반적 특성················35

3. 외상경험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분석결과················37

1) 다중척도변수 신뢰도 검정

2) 외상성사건 경험개수 및 외상 직후 스트레스 점수 기술통계량

3) 외상성사건 직접경험에 따른 스트레스 분석

4) 외상성사건 간접경험에 따른 스트레스 분석

5) 외상성사건 경험개수에 따른 스트레스 분석

4. 개인특성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분석결과················46

1) 계급근무연수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등 기술통계량

2) 계급에 따른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및 직무스트레스 평균비교

3) 근무연수에 따른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및 직무스트레스 평균비교

5. 경찰공무원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복합적 영향 분석결과················50

1)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점수의 다중회귀분석

2) 직무스트레스 점수의 다중회귀분석

6. 변수 간 인과관계 분석결과················53

7. 경찰공무원의 스트레스 해소방안 등 분석결과 ················56

1) 경찰공무원의 스트레스 해소방안

2) 경찰조직 내 통합심리치료기관 도입방안

3) 경찰조직 내 통합심리치료기관 설립시 요구사항

5. 결론 및 제언 ················60

1. 결론 ················60

2. 정책 제언················61

3. 연구의 한계················65

참고문헌 ················66

조사설문 ················75

국문초록 ················86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32 17 신경과학 국내 보건학 분야의 “정신 건강” 연구: 측정과 관점 / 임은정 2019  204
31 17 신경과학 식물인간의 윤리적 지위 : 신경윤리적 검토 / 김효은 2010  207
30 17 신경과학 정신장애범죄인과 사법적 처우 / 최민영 2018  207
29 17 신경과학 심리서비스(심리치료 및 심리상담 등)에 관한 법률적 근거의 재정의 필요성에 대하여 / 전소영 이수정 2017  218
28 17 신경과학 뇌의 인지기능과 마음의 관계 / 김영례 2019  223
27 17 신경과학 광유전자를 이용한 새로운 파킨슨병 동물모델의 개발 / 박은석 2017  257
26 17 신경과학 정신건강분야에서 빅데이터(의료이용자료)의 활용/김현정 2018  280
25 17 신경과학 우리는 ‘호모 모랄리스’인가? 도덕 딜레마 해결 기제의 신경윤리학 연구 / 윤진호 외 2019  280
24 17 신경과학 정신보건법 전면 개정에 따른 의료인 결격사유로서의 정신질환자의 법적 고찰 / 이세경 2017  296
23 17 신경과학 비판적 신경과학의 도덕교육적 함의 / 김하연 2019  309
22 17 신경과학 나바에즈의 신경도덕교육 이론에 대한 평가 / 추병완 2016  321
21 17 신경과학 재난대응공무원의 정신건강관리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석혜민 2016  331
20 17 신경과학 긍정심리 집단상담이 마이스터고등학교 학생의 정서안정 및 자기결정성에 미치는 효과 2018  332
19 17 신경과학 뇌 과학의 관점에서 본 배아의 생명권 / 유경동 2014  335
18 17 신경과학 뇌공학의 윤리적 쟁점에 대한 고찰/김진국 2018  346
» 17 신경과학 경찰공무원의 외상성사건 경험에 의한 트라우마 및 스트레스 해소방안에 관한 연구/ 송해영 2016  366
16 17 신경과학 뇌과학의 발전과 형법적 패러다임 전환에 관한 연구(1) -뇌과학과 형법의 접점에 관한 예비적 고찰 / 탁희성, 정재승, 박은정 2012  372
15 17 신경과학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자살위기개입 업무수행 경험에 대한 연구 / 노승현 외 2019  419
14 17 신경과학 약리학적 기분 향상에 관한 신경윤리학적 고찰 / 추병완 2019  481
13 17 신경과학 정신건강복지 관련 법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성중탁 2018  5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