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69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의료법학회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309493 
정밀의료에서의 개인정보와 정책방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Personal Information Issues and Policy Direction toward Precision Medicine

                                      

  • 저자명

    장세균(Jang, Sae Kyun), 김현창(Kim, Hyeon Chang), 김소윤(Kim, So Yoon)                                             

  • 학술지명

    한국의료법학회지                           

  • 권호사항

    Vol.25 No.1 [2017]                                                         

  • 발행처

    한국의료법학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33-154(22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7년

  • 판매처

    (주)누리미디어 (주)누리미디어 에서 제공하는 논문입니다.

  • 초록 (Abstract)
    • 이 논문은 정밀의료 연구 또는 산업에서 개인정보를 불가피하게 수집 · 이용함으로써 제기될 수 있는 주요 쟁점들을 짚어보고 이에 대한 정책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다만, 국내의 경...
  • 이 논문은 정밀의료 연구 또는 산업에서 개인정보를 불가피하게 수집 · 이용함으로써 제기될 수 있는 주요 쟁점들을 짚어보고 이에 대한 정책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다만, 국내의 경우 아직 정밀의료의 구체적인 개념이나 특징이 정의되어 있지 않아 본 논문에서는 미국의 ‘Precision Medicine’ 의 개념을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정밀의료의 주요 개념과 기존 의학연구들과 대비되는 특징(코호트, 수집 정보의 종류, 기반 기술)들을 살펴보았고, 정밀의료에서 개인정보가 지니는 가치를 조명하였다. 또한 정밀의료에서 제기될 수 있는 개인정보 쟁점으로 사생활 침해, 유전자 차별과 같은 정보 보호관점에서의 문제들을 짚어 보았고, 정보의 수집 · 이용 시 현행 개인정보보호법과의 상충문제도 예상하였다. 이를 중심으로 외국의 주요 입법례를 살펴본 후 우리나라 법제도와의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현행법의 개정 또는 특별법 제정과 같은 법적근거의 마련이 절실히 요구되며, 정밀의료에 참여하는 개인을 보호하기 위한 법 제도의 정비도 반드시 필요하다고 보았다. 저자들은 본 고찰을 통해 국내에서의 정밀의료 추진과 정책방향 설정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초록 (Abstract)
    •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the issues that may arise from the handling of personal information in precision medicine research and to suggest policy directions for precision medicine in Korea. To do this, we reviewed the key features of precision med...
  •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the issues that may arise from the handling of personal information in precision medicine research and to suggest policy directions for precision medicine in Korea. To do this, we reviewed the key features of precision medicine research and characteristics (cohort, collected information, based technology, etc.) compared with existing medical researches and highlighted the value of personal information in precision medicine. In addition, we examined privacy issues such as invasion of privacy, conflicts with current privacy laws, and prohibition of genetic discrimination in foreign medical legisl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gal basis for using personal information was needed in the precision medical research and the revision of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aw or the special medical law were required. In addition, we considered that it is necessary to prepare more specific regulations when considering the development of analysis technology of genetic information, which is the core information in precision medical research and the damage caused by leakage of information. Through this article, we intended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the policy direction and the promotion of researches for precision medicine in Korea.
  •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I. 서론
  • Ⅱ. 정밀의료의 개념과 특징
  • Ⅲ. 정밀의료에서의 개인정보
  • Ⅳ. 우리나라 법제도와의 비교 분석
  • Ⅳ.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69 15 유전학 GMO 식품에 나타난 유전자 조작 기술의 기독교 윤리적 비판-유전자 조작 기술 시대의 자연 및 인간의 ‘수평적 동등성’ 회복을 위해 / 김광연 2017  347
268 15 유전학 인간게놈프로젝트와 환원주의 / 정상모 2000  344
267 15 유전학 '혼인종료 후 300일 이내에 출생한 子'의 친생추정에 관한 연구 / 승이도 2015  339
266 15 유전학 크리스퍼 유전자가위와 인공유전자회로를 이용한 질병의 진단과 치료 / 이대희 외 2018  338
265 15 유전학 CRISPR/Cas 지놈 편집 기술을 이용한 빠른 세대전환 유전자 조작 생쥐 생성 / 이희우, 성정준, 김혜민, 이재삼 2014  330
264 15 유전학 국제 사회에서 유전체 의료의 지적재산권 연구 / 김한나 2015  330
263 15 유전학 유전자진단정보와 보험법적 문제 / 박은경 2013  327
262 15 유전학 현대 의학의 영생 기술과 그 신학적 성찰 - 텔로미어와 유전자 가위를 중심으로 / 김소윤, 이관표 2017  327
261 15 유전학 대장균의 항균제 내성과 독력 유전자의 분석을 활용한 융합기술연구 / 한재일 외 2015  326
260 15 유전학 우리나라의 나고야의정서의 가입이 바이오산업에 미치는 경제적 영향 분석/박용하, 김준순, 최현아 2012  325
259 15 유전학 생물다양성의 보전과 나고야 의정서의 법·정책적 대응·과제/김세규 2013  323
258 15 유전학 공공정보의 이차 활용을 위한 법제도에 관한 연구 : 생체 의료정보의 이차 활용을 중심으로/ 박미정 2015  321
257 15 유전학 인간유전체 연구와 개인 프라이버시 보호 방안 / 정창록 2015  321
256 15 유전학 유전자 검사를 시행한 유방암 환자들의 위험요인과 심리적 상태에 관한 연구/안용희, 서연옥 2006  320
255 15 유전학 인간유전체에 관한 특허법적 보호범위에 관한 연구 / 김향미 2007  319
254 15 유전학 질병 감수성 예측 유전자 검사의 국내 도입과 유전상담 필요성에 대한 조사 / 정윤경 2017  319
253 15 유전학 DTC(Direct-to-Consumer) 유전자검사의 정당성 구조와 법정책 / 김나경 2018  319
252 15 유전학 임상으로부터 분리된 Candida albicans의 MLST를 통한 유전적 변이 분석 / 김희진 2016  316
251 15 유전학 유전자 편집의 윤리 / 김상득 2018  316
250 15 유전학 바이오시대의 유전정보관리통제권 / 정덕영 2009  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