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69
발행년 : 2015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873372 
Study of the molecular and functional link between multiple familial Parkinsonism-linked genes and aging-associated gene products : Focusing on Sirtuin and FOXO family : 파킨슨병 관련 유전자와 노화 관련 유전자 간의 분자적 기능적 연관성 연구

                             

  • 저자

    Yun Ju Lee                                       

  • 형태사항

    vi, 35p ;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정광철

  • 학위논문사항

    Thesis(M.A.)--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 시스템생물학과 2015. 8

  • 발행국

    대한민국

  • 언어

    영어

  • 출판년

    2015                                                                                                                                                                         

  • 초록 (Abstract)
    • 파킨슨병은 뇌의 흑질에 분포하는 도파민의 신경세포가 점차 소실되어 발생하며 안정 떨림, 경직, 운동완만 및 자세 불안정성이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질병으로 알츠하이머성 치매와 함께 ...
  • 파킨슨병은 뇌의 흑질에 분포하는 도파민의 신경세포가 점차 소실되어 발생하며 안정 떨림, 경직, 운동완만 및 자세 불안정성이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질병으로 알츠하이머성 치매와 함께 노인들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신경계의 만성 진행성 퇴행성 질환이다. 발병원인으로 세포 기관의 산화적 손상, 뇌의 염증,
    미토콘드리아의 기능 장애, 단백질 분해 메커니즘의 손상 등의 환경적인 요인이 있고 일부 환자에게서는 여러 파킨슨병 관련 유전자의 돌연변이에 의한 유전적인 요인이 나타나지만 현재까지도 파킨슨 질환의 병리원인은 명확하게 규명되지 않고 있어
    파킨슨병의 새로운 기여인자 연구가 필요하다. 파킨슨병은 대부분 노인들에게서 발병하기 때문에 노화가 파킨슨병 발병에 중요한 기여인자가 될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파킨슨병 관련 유전자와 노화 관련 유전자 간의 분자적 기능적 연관성을 연구함으로써 노화 관련 유전자의 파킨슨병 기여인자로서의 역할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먼저 여러 가지 파킨슨병 관련 유전자 중 여덟 개의 파킨슨병 관련 유전자 α-synuclein (PARK1/4), parkin (PARK2), LRRK2 (PARK8), PINK1 (PARK6), DJ-1 (PARK7), FBXO7 (PARK15), HtrA2 (PARK13), TG2와 노화 관련 유전자인 Sirtuin (SIRT1-7)과 FOXO(FOXO1, 3, 4) 간의 1:1 스크리닝을 통하여 결합 여부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많은 파킨슨병 관련 유전자와 노화 관련 유전자가 서로 결합하는 것을 확인 하였다.
    파킨슨병 관련 유전자 중 일부는 단백질 분해를 촉진하는 효소이기 때문에 파킨슨병 관련 유전자와 노화 관련 유전자가 상호적으로 단백질 반감기에 영향을 주는 지 확인하였고 그 결과 많은 파킨슨병 유전자와 노화 관련 유전자가 서로의 단백질
    반감기에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8종의 파킨슨병 관련 유전자와 7종의 Sirtuin 단백질, 3종의 FOXO 단백질간의 결합여부와 단백질 반감기의 조절 여부를 확인 한 스크리닝 결과는 파킨슨병 유전자와 노화 유전자 간의 조절 메커니즘을 연구하는 데 기반이 될 것이다.
    본 학위 논문의 두 번째 연구에서는 스크리닝 결과의 여러 조합들 중 파킨슨병의 관련 유전자로서 PARK15의 발병과 진행에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진 FBXO7 (F-box only protein 7)과 노화 관련 유전자인 SIRT7와 FOXO4 간의 조절 메커니즘을
    연구하였다. FBXO7은 SCF-E3 ubiquitin ligase 복합체에서 기질을 인식하는 구성 요소로 작용하며, 그 수식화 기질이나 파킨슨병 발병에 작용하는 세포 내 역할은 아직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학위 논문 연구를 통해 FBXO7의 새로운 기질
    단백으로서 노화 관련 유전자인 SIRT7과 FOXO4를 규명하였다.
    첫 번째로 FBXO7과 SIRT7이 단백질-단백질 결합을 하고 FBXO7에 의해 SIRT7 단백의 반감기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한 스크리닝 결과를 토대로 실험을 시작하였다. FBXO7에
    의한 SIRT7 단백 양의 감소는 FBXO7이 SIRT7의 유비키틴화를 매개하고, 단백질분해효소복합체에 의한 분해를 촉진시킴에 의한 것임을 확인하였다.
    두 번째로 FBXO7에 의한 FOXO4 단백의 반감기 감소 조절 메커니즘을 알아내기 위해 여러 가지 분해 메커니즘을 방해하는 저해제를 처리하여 실험 하였고, 그 결과 단백질분해효소복합체나 자가 소화 작용에 의한 분해가 아닌 세포소멸 관련 단백인
    caspase 활성화에 의한 분해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Caspase 활성화에 의한 FOXO4의 단백 분해는 FBXO7에 의한 FOXO4의 유비키틴화에 의해 촉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모든 결과를 토대로, 우리는 파킨슨병 연관 단백인 FBXO7 이 노화 관련 유전자인 SIRT7 와 FOXO4 의 신호 전달에 새로운 조절인자로 작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FBXO7-SIRT7 과 FBXO7-FOXO4 의 조절 메커니즘이 추후 파킨슨병의 진단과
    처방에 새로운 단서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29 15 유전학 단일 기관에서 경험한 한국인 유전성 대사질환 환자의 돌연변이 분석 / 우혜인 2012  114
328 15 유전학 CRISPR/Cas9 시스템 기반 무당질항체 생산용 마우스 제작을 위한 마우스 유래 세포주 NIH-3T3 세포에서의 Ighg 유전자 교정 연구 / 이난이 2017  233
327 15 유전학 CRISPR/Cas9 기반 후성유전 편집 기술을 이용한 유전자 발현 조절 연구 / 박진석 2017  537
326 15 유전학 신경줄기세포에서 유전자 도입 효율 최적화 / 김우석 2013  99
325 15 유전학 한국인 파킨슨병 환자의 유전적 배경 / 우명수 2006  181
324 15 유전학 연속적인 체세포핵치환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복제돼지에서의 미토콘드리아 유전자의 유전 / Minhwa Do 2012  396
323 15 유전학 인간 tyrosine hydroxylase 유전자의 조절 기작 / 권정준 2011  365
» 15 유전학 파킨슨병 관련 유전자와 노화 관련 유전자 간의 분자적 기능적 연관성 연구 / Yun Ju Lee 2015  296
321 15 유전학 한국인에서 약년 성인형 파킨슨병 환자들의 임상 양상 및 유전자 분석 / 정은주 2007  138
320 15 유전학 정밀의료에서 개인정보보호 방안 : 미국ㆍEUㆍ일본과의 비교법제도 분석을 중심으로 / 장세균 2017  47
319 15 유전학 Direct to Consumer 유전자 검사의 생명윤리적 쟁점과 안전한 시행 방안 연구 / 박수경 2017  91
318 15 유전학 질병 감수성 예측 유전자 검사의 유전상담 지침 개발에 대한 조사연구 / 서순정 2017  273
317 15 유전학 Genome Editing of Causative Gene for the Congenital Hearing Loss by CRISPR/Cas9 /류나리 2017  57
316 15 유전학 유전적 연관 및 유전자-유전자간 상호작용 분석 / 정지원 2011  377
315 15 유전학 웹 기반의 유전자 서열 분석 및 관리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허진석 2002  43
314 15 유전학 지식기반 유전자정보 분석시스템 개발 및 활용 / 구교찬 2011  102
313 15 유전학 희귀 미토콘드리아성 유전병에 대한 핵과 미토콘드리아 유전체로부터의 원인 돌연변이 규명 / 박지훈 2014  582
312 15 유전학 특허법 관점에서 본 주요한 제 3세대 유전자 가위(CRISPR/Cas9) 기술의 비교 및 특허 분쟁 분석 / 김승지 2018  406
311 15 유전학 게놈 편집 기술을 통한 Streptomyces coelicolor의 β-agarase 발현조절 유전자 기능 분석 / 심소헌 2018  42
310 15 유전학 인간 존엄성의 실현을 위한 인간 게놈 프로젝트에 대한 연구 / 송우진 2002  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