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69
발행년 : 200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생물공학회 학술대회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76491735 
난치성질환 유전자치료제 개발

                        

  • 저자명

    김기남, 이병건, 김채영, 김수정, 김주항

  • 학술지명

    한국생물공학회 학술대회                           

  • 권호사항

    Vol.2008 No.1 [2008]                                                        

  • 발행처

    한국생물공학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91-91(1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08년

초록 (Abstract)

  • 난치성 질환 유전자 치료제 개발 사업단에서는 암 그리고 선천성 유전질환 등의 난치성질환 극복을 위하여 다음의 과제를 진행하여 그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1. 종양 선택적 아데노바이...
  • 난치성 질환 유전자 치료제 개발 사업단에서는 암 그리고 선천성 유전질환 등의 난치성질환 극복을 위하여 다음의 과제를 진행하여 그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1. 종양 선택적 아데노바이러스를 이용한 두경부암 치료용 신약 개발종양 선택적 아데노바이러스 (DWP418)는 암세포에만 활성화되어 있는 효소인 텔로머라제 (Telomerase)가 활성화되어 있는 세포에서만 복제가 이루어지며, 그 결과 암세포만을선택적으로 살상하는 효과를 가져 주변 정상세포에는 독성이 없는 표적 지향적 암치료제이다. 또한 항종양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릴렉신 (Relaxin) 유전자를 DWP418 내에 탑재하여, 바이러스의 암 조직내 침투력 및 확산기능을 향상시켜 효과적인 암세포 파괴를 가능케하는 새로운 항암 유전자치료제이다. DWP418의 약효를 확인하기 위해 뇌종양과 간암, 자궁암, 폐암, 두경부암에 걸린 쥐의 종양부위에 주사한 결과, 60일 이후 모든 암에서 90% 이상의 암세포가 사멸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전임상 독성시험을 통해 실험동물에서 중대한 부작용은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식약청 승인을 받아 기존 치료에 불응하는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연세 암센터에서 임상 1상을 진행 중이다. 2. 종양 및 종양내피세포 선택적 암 유전자치료제 개발항종양혈관생성 활성이 있는 LK8 유전자를 발현하는 새롭고 우수한 종양선택적 살상아데노바이러스를 제작하여, 증진된 항암효과를 갖춘 항암유전자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 피하 비소세포폐암과 동소이식 비소세포폐암 동물모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고 우수한 항종양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LK8 유전자의 동시 발현에 따른 증진된 항암효과를 확인하였다. 현재 생산 공정의 확립과 scale-up 하였으며 앞으로 전임상 시험 진행예정이다. 3. TRAIL 발현 아데노바이러스를 이용한 암유전자 치료제 개발 Tumor necrosis factor-related apoptosis-inducing ligand (TRAIL)은 강력한 항암 후보 물질이다. 뇌암을 타겟으로하여 secretable timeric TRAIL(stTRAIL)을 발현하는 denovirus를 개발하였으며, 동물 모델에서 항암 억제 효과가 탁월함을 보았다. 단독으로 뿐만 아니라 항암제나 방사선 치료와 병용 투여 시에 그 효과가 증가하였다. 이런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뇌암에 대한 1상 임상시험을 시작할 예정이다. 4. 선천성 질환 유전자 치료제 개발면역 결핍질환인 만성육아종 질환 환자의 혈액줄기세포에 정상 유전자를 도입하여 환자에게 다시 이식함으로써 면역기능을 회복시키는 유전자 치료제 Retro-CGD® (VM106)를 개발하였다. 현재 서울대학교 병원에서 1/2상 임상시험을 진행 중이다.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환자의 체내 복제가능 레트로바이러스 존재 확인 시험 및 정상단백질에 대한 항체 존재 확인 시험, 레트로바이러스 벡터 삽입양상 확인 시험을 진행하고 있고 현재까지 치료제와 관련된 이상반응은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만성육아종 질환 환자의 유전자 분석 및 진단을 위한 분자생물학적 기법을 확립하고 이 기법을 이용하여 만성육아종질환 환자를 대상으로 유전자 분석을 실시하여 질환과 관련된 주요 유전자 돌연변이에 대한 국내 database를 구축하였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7
209 15 유전학 유전자 편집 기술을 이용한 장액성 난소암에서의 전이인자 PUAF 기능 연구 /정현희 2018  192
208 15 유전학 유전자원 접근 및 이익공유(ABS)체제 구축을 위한 나고야의정서와 다른 국제조약 및 문서와의 관계연구/오선영 2014  194
207 15 유전학 생물다양성 협약과 나고야 의정서/박정미 2015  196
206 15 유전학 유전자원 접근 및 이익공유에 관한 나고야 의정서의 주요 과제에 대한 법적 분석/박노형, 정명현, 이선 2015  199
205 15 유전학 착상전 유전진단을 위한 유전상담 현황과 지침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김민지 외 2010  199
204 15 유전학 인체 유래 물질의 재산권성에 관한 의료법학적 연구 / 이웅희 2009  201
203 15 유전학 바이오뱅크(Biobank)를 이용한 연구에 있어서 법적ㆍ윤리적 쟁점에 관한 일고 / 이정현 2012  201
202 15 유전학 인체유래물과 유전정보에 대한 권리 및 분배 기준 / 유호종, 김소윤 2015  201
201 15 유전학 유전자원의 중요성을 일깨운 나고야의정서/박원석 2012  201
200 15 유전학 뇌전증의 유전적 진단 / 이윤정 안주희 권순학 황수경 2016  201
199 15 유전학 DNA 정보의 주체 -시민 정체성의 새로운 구성 / 김지연 외 2016  203
198 15 유전학 염색체 잘라내기: 유전자 가위기술을 이용한 특이적 염색체 결실 유도 / 김진수 2010  205
197 15 유전학 GMO 연구 개발 상업화 동향/김태산 2018  205
196 15 유전학 유전자 패널을 이용한 미토콘드리아 질환의 분자 유전학적 원인 규명 / 홍현대 2016  207
» 15 유전학 난치성질환 유전자치료제 개발 / 김기남 2008  207
194 15 유전학 로크의 사유재산권에 대한 비판적 접근을 통한 유전자특허 반대론 / 이재명 2018  208
193 15 유전학 장애 이해의 해석학적 구조화와 법/김나경 2015  209
192 15 유전학 우리나라 줄기세포 연구의 현재와 미래 / 권혁찬 2011  210
191 15 유전학 개인별 맞춤 약물유전체 : 생물학적 기능 요소와 개인유전체 변이를 기반으로한 약물학적 접근 / 이수연 2016  210
190 15 유전학 인간 게놈 프로젝트, 인간 유전자의 조작, 현생 인류의 증발 / 이필렬 2001  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