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69
발행년 : 200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생물공학회 학술대회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76491735 
난치성질환 유전자치료제 개발

                        

  • 저자명

    김기남, 이병건, 김채영, 김수정, 김주항

  • 학술지명

    한국생물공학회 학술대회                           

  • 권호사항

    Vol.2008 No.1 [2008]                                                        

  • 발행처

    한국생물공학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91-91(1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08년

초록 (Abstract)

  • 난치성 질환 유전자 치료제 개발 사업단에서는 암 그리고 선천성 유전질환 등의 난치성질환 극복을 위하여 다음의 과제를 진행하여 그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1. 종양 선택적 아데노바이...
  • 난치성 질환 유전자 치료제 개발 사업단에서는 암 그리고 선천성 유전질환 등의 난치성질환 극복을 위하여 다음의 과제를 진행하여 그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1. 종양 선택적 아데노바이러스를 이용한 두경부암 치료용 신약 개발종양 선택적 아데노바이러스 (DWP418)는 암세포에만 활성화되어 있는 효소인 텔로머라제 (Telomerase)가 활성화되어 있는 세포에서만 복제가 이루어지며, 그 결과 암세포만을선택적으로 살상하는 효과를 가져 주변 정상세포에는 독성이 없는 표적 지향적 암치료제이다. 또한 항종양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릴렉신 (Relaxin) 유전자를 DWP418 내에 탑재하여, 바이러스의 암 조직내 침투력 및 확산기능을 향상시켜 효과적인 암세포 파괴를 가능케하는 새로운 항암 유전자치료제이다. DWP418의 약효를 확인하기 위해 뇌종양과 간암, 자궁암, 폐암, 두경부암에 걸린 쥐의 종양부위에 주사한 결과, 60일 이후 모든 암에서 90% 이상의 암세포가 사멸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전임상 독성시험을 통해 실험동물에서 중대한 부작용은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식약청 승인을 받아 기존 치료에 불응하는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연세 암센터에서 임상 1상을 진행 중이다. 2. 종양 및 종양내피세포 선택적 암 유전자치료제 개발항종양혈관생성 활성이 있는 LK8 유전자를 발현하는 새롭고 우수한 종양선택적 살상아데노바이러스를 제작하여, 증진된 항암효과를 갖춘 항암유전자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 피하 비소세포폐암과 동소이식 비소세포폐암 동물모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고 우수한 항종양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LK8 유전자의 동시 발현에 따른 증진된 항암효과를 확인하였다. 현재 생산 공정의 확립과 scale-up 하였으며 앞으로 전임상 시험 진행예정이다. 3. TRAIL 발현 아데노바이러스를 이용한 암유전자 치료제 개발 Tumor necrosis factor-related apoptosis-inducing ligand (TRAIL)은 강력한 항암 후보 물질이다. 뇌암을 타겟으로하여 secretable timeric TRAIL(stTRAIL)을 발현하는 denovirus를 개발하였으며, 동물 모델에서 항암 억제 효과가 탁월함을 보았다. 단독으로 뿐만 아니라 항암제나 방사선 치료와 병용 투여 시에 그 효과가 증가하였다. 이런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뇌암에 대한 1상 임상시험을 시작할 예정이다. 4. 선천성 질환 유전자 치료제 개발면역 결핍질환인 만성육아종 질환 환자의 혈액줄기세포에 정상 유전자를 도입하여 환자에게 다시 이식함으로써 면역기능을 회복시키는 유전자 치료제 Retro-CGD® (VM106)를 개발하였다. 현재 서울대학교 병원에서 1/2상 임상시험을 진행 중이다.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환자의 체내 복제가능 레트로바이러스 존재 확인 시험 및 정상단백질에 대한 항체 존재 확인 시험, 레트로바이러스 벡터 삽입양상 확인 시험을 진행하고 있고 현재까지 치료제와 관련된 이상반응은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만성육아종 질환 환자의 유전자 분석 및 진단을 위한 분자생물학적 기법을 확립하고 이 기법을 이용하여 만성육아종질환 환자를 대상으로 유전자 분석을 실시하여 질환과 관련된 주요 유전자 돌연변이에 대한 국내 database를 구축하였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229 15 유전학 유전자검사의 유형에 따른 기관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 역할 / 백수진 2009  273
228 15 유전학 질병 감수성 예측 유전자 검사의 유전상담 지침 개발에 대한 조사연구 / 서순정 2017  273
227 15 유전학 나고야 의정서의 국제통상법적 접근 : WTO협정의 비차별주의를 중심으로/박경진 2015  270
226 15 유전학 3-methylcrotonyl-CoA carboxylase 결핍증의 임상 양상과 유전자 분석 / 이승은 외 2015  269
225 15 유전학 유전자 가위 기법을 활용한 오브알부민 생산 유전자를 제거한 유전자 변형 닭 생산 / 한재용, 박태섭 2014  269
224 15 유전학 (Nature) 줄기세포 노화에 따른 Hoxa9 유전자 의존성 2016  264
223 15 유전학 유전정보 기증으로 발생 가능한 피해의 유형과 확률 / 유호종, 이일학, 최성경, 정창록, 이승희, 김소윤 2014  261
222 15 유전학 유전성 내분비 질환의 분자유전학적 진단 / 최진호 외 2010  261
221 15 유전학 유전자변형생물체(LMO) 책임복구 추가의정서의 법적 쟁점과 법적·제도적 대응방향/최승환 2010  260
220 15 유전학 나고야의정서 상 발생 가능한 분쟁의 해결 및 대응방안 - WTO 분쟁해결절차에 제소 가능한 분쟁을 중심으로 -/손지영 2014  257
219 15 유전학 한국 의료제도와 유전상담 서비스의 구축 / 김현주 2011  256
218 15 유전학 인간배아 유전자편집 관련 해외 규제 현황 및 국내 생명윤리법의 향후 과제 / 류화신 외 2017  256
217 15 유전학 미토콘드리아 기능 검사를 통한 약물 스크리닝 기법/이동희 2015  256
216 15 유전학 한국 바이오뱅크 정보화사업의 평가모형 개발 및 중요도 분석 / 주병철, 김대성, 주민석 2013  254
215 15 유전학 CRISPR/Cas9 β-globin gene targeting in human haematopoietic stem cells 2016  251
214 15 유전학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과 유전자 윤리/홍정화 2010  250
213 15 유전학 웹 기반 유전체 데이터 분석 서비스 지원을 위한 서버-클라이언트 환경에서의 유전체 데이터 관리 시스템 개발 / 송명선 2012  249
212 15 유전학 한국에서의 유전성 대사 질환에 대한 탄뎀 매스 검사의 경제성 분석 / 류형옥 2007  248
211 15 유전학 유전자활용에 따른 형사법적 문제점과 개선방안 : 범죄수사를 위한 유전자채취와 활용에 대한 문제점을 중심으로 / 임석원 2014  246
210 15 유전학 2PL-1 : 유전자가위로 유전자 수술하기 / 김진수 2018  2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