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69
발행년 : 201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441287 

한국의 산전 유전자 검사 제도와 법적 허용 질환에 대한 근거중심 가이드라인

= A study on the regulation of prenatal genetic testing and suggestion of evidence-based guidelines in Korea

                                         

  • 저자

    송주선                                       

  • 형태사항

    100 ;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기창석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 의학과 2017. 2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7

초록 (Abstract)

  • 배경: 우리나라는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에 의해 165개의 유전질환에 대해서만 배아 및 태아 유전자 검사가 허용되어 있으나, 허용 및 불허용에 대한 근거와 기준이 불분명하다. 본 연...
  • 배경: 우리나라는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에 의해 165개의 유전질환에 대해서만 배아 및 태아 유전자 검사가 허용되어 있으나, 허용 및 불허용에 대한 근거와 기준이 불분명하다. 본 연구에서는 산전 유전자 검사에 대한 해외 전문가 단체의 권고, 학회 가이드라인과 규정, 시행 현황, 논문 등을 통해 우리나라의 배아 및 태아 유전자검사를 허용하는 기준에 대한 근거 기반 가이드라인을 제안하고자 하며, 이를 현재 허용되어 있는 165개 질환 중 단일 유전자 질환에 해당하는 163개 질환에 대해 적용하여 그 유용성과 적절성에 대해 검토해 보고자 한다. 방법: 해외 전문가 단체의 권고, 학회 및 정부 기관으로부터 제공되는 검사 시행 현황, PubMed를 이용한 문헌 연구를 통해 배아 및 태아의 유전자 검사에 대한 객관적 근거들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근거들을 바탕으로 단일 유전자 질환의 검사 허용 여부를 근거 수준에 따라 분류하고, 163개 단일 유전자 질환에 적용해보았다. 결과: 산전 유전자 검사는 해외 전문가 단체의 권고 수준 및 산전 유전자 검사 시행 사례를 근거로 6가지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근거가 불충분한 카테고리를 포함하여 총 7가지로 분류 가능하였다. 이러한 질환 분류를 163개의 단일 유전자 질환에 적용하였을 때, 해외 전문가 단체의 권고에서 산전 유전자 검사를 허용하고 있고 검사 시행 사례가 있는 카테고리 1 로 분류된 질환은 83개, 해외 전문가 단체의 권고에서 검사를 허용하고 있으나, 검사 시행 사례는 없는 카테고리 2로 분류된 질환은 2개, 해외 전문가 단체의 권고 중 하나 이상의 지침에서 부분적으로 허용하고 있으며 HFEA, ESHRE 그리고 PubMed 중 최소 두 군데 이상에서 검사 시행 사례가 있는 카테고리 3으로 분류된 질환은 47개, 한 군데만 검사 시행 사례가 있는 카테고리 4로 분류된 질환은 7개, 검사 시행 사례가 보고되지 않은 카테고리 5로 분류된 질환은 5개, 해외 전문가 단체의 권고는 없으나 검사 시행 사례는 있는 카테고리 6으로 분류된 질환은 18개, 해외 전문가 단체의 권고나 시행 근거 및 HFEA, ESHRE 그리고 PubMed의 검사 시행 사례를 찾을 수 없는 근거 불충분 카테고리로 분류된 질환은 총 2개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 제안한 근거 수준에 따른 카테고리별 질환의 개수를 볼 때, 해외 전문가 단체의 권고와 관계 없이 실제 검사 사례가 있는 카테고리 1, 3, 4, 6으로 분류된 질환은 전체 163개 질환 중 155개였다. 이에 반해 해외 전문가 단체의 권고에서 검사를 부분적으로 허용하고 실제 검사 사례를 찾을 수 없는 카테고리 5로 분류된 질환과 전문가 단체의 권고 및 실제 검사 사례 보고가 모두 없는 근거가 불충분한 질환으로 분류된 총 7개 질환은 산전 유전자 검사 허용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논문요약 …………………………………………………………… 1
  • I. 서론 …………………………………………………………………… 3
  • II. 본론
  • 1. 연구방법 …………………………………………………………… 12
  • 2. 연구결과 …………………………………………………………… 17
  • III. 고찰 및 결론 …………………………………………………… 83
  • 참고문헌 ……………………………………………………………… 88
  • ABSTRACT ………………………………………………………… 9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 15 유전학 한국의 산전 유전자 검사 제도와 법적 허용 질환에 대한 근거중심 가이드라인 / 송주선 2017  178
148 15 유전학 유전체 데이터를 위한 효율적인 데이터 관리자의 구현 및 성능분석 / 송명선 외 2012  177
147 15 유전학 정밀의학 실현을 위한 의료 및 유전체 빅데이터 이용 및 연구동향 / 박민우, 한성원 2016  175
146 15 유전학 유전자와 생명의 사유화, 그리고 반공유재의 비극 : 미국의 BRCA 인간유전자 특허 논쟁 / 이두갑 2012  171
145 15 유전학 유전자원 접근 및 이익공유를 위한 나고야의정서와 국제통상법간의 충돌과 조화/최원목 2014  170
144 15 유전학 유전자연구에 있어서 제기되는 관련 당사자의 기본권 / 김수갑 2011  168
143 15 유전학 뇌졸중에 대한 유전자 치료 연구 현황/이민형 2015  168
142 15 유전학 유전자 검색을 위한 DNA 칩 제작용 microarrayer의 개발 / 이현동 2003  167
141 15 유전학 Genetic Testing, Birth, and the Quest for Health 2014  165
140 15 유전학 게놈 프로젝트를 위한 생물정보학 / 김양석 2000  165
139 15 유전학 유전체 자료분석을 위한 생존분석방법에 관한 고찰 / 이승연 2018  161
138 15 유전학 한국인 유전체 시료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시료 정보 관리 시스템 / 양은주 외 2002  160
137 15 유전학 유전정보의 이용과 보호에 관한 법규제적 연구 / 김민정 2003  155
136 15 유전학 연구논문 : 나고야의정서 국내이행에 관한 의무준수 및 점검기관 설치에 대한 소고/오선영 2012  155
135 15 유전학 운명과 선택의 이야기로서의 유전자 - ‘인간적 과학’을 위한 교양교육의 탐색 - / 한수영 2018  155
134 15 유전학 단일 유전자 질환에 대한 착상전 유전진단 / 이형송 2009  154
133 15 유전학 우리나라 인체유래물은행의 유전체 정보 보호 현황과 제언 / 이연호 외 2017  154
132 15 유전학 유전자와 생명현상 / 김규원 2008  153
131 15 유전학 생명공학 분야에서의 특허보호 대상에 관한 연구 / 손민 2015  151
130 15 유전학 비교유전자교잡법을 이용한 대장암환자에서의 유전자변화 / 이재식 2015  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