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69
발행년 : 2009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77048191 
유전자변형 다분화능 정원줄기세포를 이용한 키메라 생쥐의 생산
= Production of Chimeric Mice Following Transgenesis of Multipotent Spermatogonial Stem Cells

                             

  • 저자명

    임정은, 엄진희, 김형준, 박재균, 이현정, 이동률

  • 학술지명

    발생과 생식(Development & reproduction)                              

  • 권호사항

    Vol.13 No.4 [2009]                                                           

  • 발행처

    한국발생생물학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305-312(8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09년

초록 (Abstract)

  • 단분화성 정원줄기세포의 장기간 체외배양 중에 확립되는 다분화능 정원줄기세포는 배아줄기세포와 유사한 특성을 가져 3배엽성 세포로 체외분화가 가능하며 기형종을 형성할 수 있다. 본 ...
  • 단분화성 정원줄기세포의 장기간 체외배양 중에 확립되는 다분화능 정원줄기세포는 배아줄기세포와 유사한 특성을 가져 3배엽성 세포로 체외분화가 가능하며 기형종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를 통해 outbred 생쥐(ICR strain)로부터 확립된 다분화능 정원줄기세포의 형질전환 가능성을 확인하며, 배아 내로 주입하여 유전적 키메라를 형성하는 효율을 배아줄기세포와의 비교를 통하여 검증하고자 하였다. 다분화능 정원줄기세포를 넣은 배아로부터 태어난 산자는 총 47마리(4.8%)가 태어나, 67마리(11.7%)가 태어난 배아줄기세포군에 비해 그 효율이 낮았다(P<0.05). 그러나 산자들 중의 키메라 생쥐의 비율은 다분화능 정원줄기세포 군으로 부터 3마리(6.4%)가 태어나 배아줄기세포 군으로부터 태어난 5마리(7.5%)와 유사하였다(P>0.05). 태어난 유전자변형 생쥐의 장기를 확인한 결과, 췌장, 심장, 뇌, 근육, 위, 피부, 정소에 GFP가 발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배아의 근육, 위, 뼈 등에서 anti-GFP 항체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outbred 생쥐로부터 확립된 다분화능 정원줄기세포가 inbred 생쥐로부터 확립된 배아줄기세포와 마찬가지로 키메라 생쥐를 생산할 수 있는 전분화능을 가짐을 확인하였고, 새로운 유전자변형 동물의 생산을 위한 매개체로서의 가능성을 가진 것으로 여겨진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요약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 고찰
  • 감사의 글
  • 인용문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69 15 유전학 바이오뱅크(Biobank)를 이용한 연구에 있어서 법적ㆍ윤리적 쟁점에 관한 일고 / 이정현 2012  201
168 15 유전학 인체유래물과 유전정보에 대한 권리 및 분배 기준 / 유호종, 김소윤 2015  201
167 15 유전학 유전자원의 중요성을 일깨운 나고야의정서/박원석 2012  201
166 15 유전학 뇌전증의 유전적 진단 / 이윤정 안주희 권순학 황수경 2016  200
165 15 유전학 유전자원 접근 및 이익공유에 관한 나고야 의정서의 주요 과제에 대한 법적 분석/박노형, 정명현, 이선 2015  199
164 15 유전학 착상전 유전진단을 위한 유전상담 현황과 지침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김민지 외 2010  199
163 15 유전학 생물다양성 협약과 나고야 의정서/박정미 2015  196
162 15 유전학 유전자원 접근 및 이익공유(ABS)체제 구축을 위한 나고야의정서와 다른 국제조약 및 문서와의 관계연구/오선영 2014  194
161 15 유전학 조혈모세포이식에서 T 림프구 키메라현상의 검출을 위한 자체검사의 확립 / 이미선 2015  192
160 15 유전학 유전자 편집 기술을 이용한 장액성 난소암에서의 전이인자 PUAF 기능 연구 /정현희 2018  192
159 15 유전학 배아 유전자 치료 / 조은희 2017  190
158 15 유전학 유전성 암과 유전상담 / 정승용 2007  189
157 15 유전학 유전자 검사 및 연구에서의 동의 획득의 문제/배그린, 최경석 2009  188
156 15 유전학 산전검사의 유전상담 / 황도영 2007  188
155 15 유전학 생명의료윤리 교육방법으로서 결의론에 관한 연구/박인숙 2018  184
» 15 유전학 유전자변형 다분화능 정원줄기세포를 이용한 키메라 생쥐의 생산 / 임정은 2009  183
153 15 유전학 유전자치료법의 국가표준지침 제정에 관한 연구 / 남명진 1998  182
152 15 유전학 한국인 파킨슨병 환자의 유전적 배경 / 우명수 2006  181
151 15 유전학 유전상담의 제도적인 고찰 / 김현주 2007  180
150 15 유전학 유전검사 네트워크를 이용한 유전클리닉의 개설과 운영 / 이용화 외 2006  1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