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69
발행년 : 2013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FDC법제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99955378 
유전자재조합의약품 동등생물의약품의 품목별 비임상 및 임상 평가 가이드라인에 관한 연구
= Guideline on Similar Medicinal Products Containing Somatropin, Erythropoietin, G-CSF : Non-clinical and Clinical Issues

                                

  • 저자명

    강소영,  김선희, 백선영, 엄준호, 김영은, 송현, 백경민, 최영주, 박윤주, 서수경, 강신정, 오일웅                         

  • 학술지명

    FDC법제연구                           

  • 권호사항

    Vol.8 No.2 [2013]                                                           

  • 발행처

    한국에프디시법제학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12(12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3년

  • 초록 (Abstract)
    • 전 세계적으로 블록버스터 바이오의약품들의 특허만료시기 도래와 각국의 관련 규정 마련 등으로 인해 국내 외에서의 동등생물의약품 제품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유럽 및 일본의...
    • 전 세계적으로 블록버스터 바이오의약품들의 특허만료시기 도래와 각국의 관련 규정 마련 등으로 인해 국내 외에서의 동등생물의약품 제품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유럽 및 일본의 경우 동등생물의약품으로 허가받은 제품들이 10 여개 있으며, 국내에서는 항체의약품에 대한 동등생물의약품으로서 1 품목이 최근 허가를 받았다. 동등 생물의약품으로 허가 받기 위해서는 신약에 준하는 자료를 제출해야 하며, 각 품목별로 적용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 이 매우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소마트로핀, 에리스로포이에틴, 과립구 집락 자극인자의 동등생물의약품 허가에 필요 한 비임상 및 임상 시험에 관한 세부적인 사항을 정하여 ‘품목별 동등생물의약품의 비임상 및 임상 평가 가이드라인’ 을 제시하고자 한다. 가이드라인은 각 품목별로 동등생물의약품으로 허가 받고자 하는 의약품의 비임상 시험 중 약리 시험, 독성시험, 임상 시험 중 약동학 시험, 약력학 시험, 유효성 시험에 필요한 요건에 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본 가이드라인을 통해 소마트로핀, 에리스로포이에틴, 과립구 집락 자극인자 동등생물의약품의 허가 요건을 제시함으로 써, 국내 동등생물의약품 개발 업계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초록
    • I. 서론
    • II. 본론
    • III. 소마트로핀 동등생물의약품의 비임상 및 임상 평가 가이드라인 내용
    • 1. 서론
    • 2. 적용범위
    • 3. 일반적 고려사항
    • 4. 비임상 평가
    • 5. 임상평가
    • IV. 에리스로포이에틴 동등생물의약품의 비임상 및 임상 평가 가이드라인 내용
    • 1. 서론
    • 2. 적용범위
    • 3. 일반적 고려사항
    • 4. 비임상 평가
    • 5. 임상평가
    • V. 유전자재조합 과립구 집락 자극인자(G-CSF)동등생물의약품의 비임상 및 임상 평가 가이드라인
    • 1. 서론
    • 2. 적용범위
    • 3. 일반적 고려사항
    • 4. 비임상평가
    • 5. 임상평가
    • VI. 결론
    • 감사의 말
    • 참고문헌
    • Abstract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249 15 유전학 돼지생식기호흡기증후군바이러스(PRRSV)의 전장 유전체염기서열(whole-genome sequencing) 분석을 위한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법의 활용 / 문성현 외 2016  313
    248 15 유전학 나고야의정서 체제 하에서 한국 바이오산업과 유전자원제공국 간 이익 공유 방안/이하동, 윤순진 2016  308
    247 15 유전학 유전자검사기술 확대에 따른 국내 유전자 프라이버시 침해의 제 문제/이보형 2017  308
    246 15 유전학 한국의 인간 유전체 연구에 있어 개인 프라이버시권과 국제데이터공유원칙 적용의 문제점 / 김한나 외 2015  306
    245 15 유전학 GJB1 돌연변이로 일어나는 CMTX 환자의 유전학적 코호트 연구 / 김성민 2016  306
    244 15 유전학 유전자변형 동물을 활용한 연구 / 구옥재 2018  305
    243 15 유전학 유전자가위(CRISPR) 특허 분쟁으로 살펴본 비자명성과 진보성 그리고 분자생물학의 과학적 진보 / 오창규 2017  300
    242 15 유전학 파킨슨병 관련 유전자와 노화 관련 유전자 간의 분자적 기능적 연관성 연구 / Yun Ju Lee 2015  296
    241 15 유전학 18주 태아 뇌에서 발현하는 FB174 cDNA의 유전체 DNA 분리 및 염색체 위치 / 박수연 1999  294
    240 15 유전학 미토콘드리아 분열 억제제인 mdivi-1의 처리가 돼지 배아 및 체세포에서 배발달과 미토콘드리아 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연지영 2014  294
    239 15 유전학 유전자변형생물체에 관한 나고야 추가의정서의 민사법적 책임의 한계/방재호, 문상혁 2013  291
    238 15 유전학 유전자검사자료의 통계분석을 위한 수량화 및 그래프 방법 / 박미라 2002  289
    » 15 유전학 유전자재조합의약품 동등생물의약품의 품목별 비임상 및 임상 평가 가이드라인에 관한 연구 / 강소영 2013  288
    236 15 유전학 Tert 유전자 조작 마우스 모델의 생산 / 이지현 2014  288
    235 15 유전학 생명공학 기술기반 효율적 세포 운명전환 유도에 관한 연구 / 유준상 2018  288
    234 15 유전학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 전부개정(안)과 바이오뱅크를 이용한 연구에서의 피험자 보호방안 / 이정현 2010  283
    233 15 유전학 GMO의 비의도적 유출과 개발기업의 책임 / 김은진 2015  283
    232 15 유전학 나고야의정서(ABS) 시행 이후 중국 관련법제 및 향후 정책에 따른 우리의 대응방안/강문경, 배정생 2014  282
    231 15 유전학 생화학적 검사 및 분자유전학적 검사에 의해 뮤코다당증 제3A형으로 진단된 한국인 환자의 증례 보고 / 김보람 외 2015  276
    230 15 유전학 인간 배아 유전체 편집에 관한 윤리적 쟁점/전방욱 2015  2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