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69

유전자와 생명현상 / 김규원

15 유전학 조회 수 153 추천 수 0 2016.11.29 10:00:36
발행년 : 200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정신과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76264999 
“유전자와 생명현상”

                   

  • 저자명

    김규원                                              

  • 학술지명

    한국정신과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 권호사항

    Vol.28 No.- [2008]                                                         

  • 발행처

    한국정신과학학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49-57(9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08년


초록 (Abstract)

  • 생명과학은 생명현상을 물질적인 측면에서 탐구하기 때문에 물질적인 육체를 연구의 대상으로 삼게된다. 이러한 육체는 다시 그 구성의 기본단위인 세포와 세포 내부에서 생명현상을 발현...
  • 생명과학은 생명현상을 물질적인 측면에서 탐구하기 때문에 물질적인 육체를 연구의 대상으로 삼게된다. 이러한 육체는 다시 그 구성의 기본단위인 세포와 세포 내부에서 생명현상을 발현하는데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분자수준의 물질인 유전자와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다.
    우리의 육체는 적어도 수십조에 달하는 무수히 많은 수의 세포들로 구성이 되어 있고 이러한 세포들은 하나의 수정란 세포로부터 무수히 많은 분열과정을 거쳐 거대한 수의 세포덩어리가 되는 것이다. 그러나 분열과정을 거치면서 동시에 다양한 분화과정이 일어나서 우리의 몸은 수많은 세포들이 모여 있는 단순한 세포덩어리가 아니라, 다양하면서도 서로 유기적이고 독특한 기능을 가진 세포들의 집합체인 것이다.
    그러면 나의 몸은 생존해 있을 때 동일한 자신이라고 여길 정도로 독특한 형태를 어떻게 유지시킬 수 있는가? 또 자신이 사멸될 경우에도 자신과 유사한 후손을 낳아 자신의 고유한 정체성을 어떻게 지속시킬 수 있는가? 이러한 의문에 대한 답을 구하고자 생명과학에서는 우리 몸 구성의 기본단위인 세포에 초점을 맞추어 그 내부를 깊숙이 들여다보았고, 그 결과 세포속의 유전정보가 복제되어 다음 세대의 세포로 전달됨으로써 이러한 현상이 일어남을 알게 되었다. 이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면서 유전정보의 전달물질을 유전자로 명명하게 되었고 이 유전자는 DNA라는 분자로 이루어 졌음이 규명되었다. 그리고 1953년 생명과학분야의 가장 획기적인 발견인 DNA의 분자구조가 알려지면서 지난 50년간 DNA와 유전자에 관련된 수많은 연구가 폭발적으로 이루어졌고 마침내 지난 2000년 인간 전체 DNA 서열이 밝혀지게 되었다. 인간의 모든 유전정보가 알려지면서 인간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근원적 질문에 대해 과학적 탐구를 본격화시킬 수 있으며 앞으로 모든 인간 유전자의 기능과 실체가 규명되면서 그 활용까지도 가능할 것으로 예측이 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유전자 구성성분 : A , G , C, T 4종의 D N A
  • 유전 정보의 발현과정
  • 인간 게놈 프로젝트 (2001년)
  • 유전자 재조합 기술
  • 세포의 분화
  • 유전자 상호작용 네트워크
  • 유전자 상호작용 네트워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49 15 유전학 한국의 산전 유전자 검사 제도와 법적 허용 질환에 대한 근거중심 가이드라인 / 송주선 2017  178
148 15 유전학 유전체 데이터를 위한 효율적인 데이터 관리자의 구현 및 성능분석 / 송명선 외 2012  177
147 15 유전학 정밀의학 실현을 위한 의료 및 유전체 빅데이터 이용 및 연구동향 / 박민우, 한성원 2016  175
146 15 유전학 유전자와 생명의 사유화, 그리고 반공유재의 비극 : 미국의 BRCA 인간유전자 특허 논쟁 / 이두갑 2012  171
145 15 유전학 유전자원 접근 및 이익공유를 위한 나고야의정서와 국제통상법간의 충돌과 조화/최원목 2014  170
144 15 유전학 유전자연구에 있어서 제기되는 관련 당사자의 기본권 / 김수갑 2011  168
143 15 유전학 뇌졸중에 대한 유전자 치료 연구 현황/이민형 2015  168
142 15 유전학 유전자 검색을 위한 DNA 칩 제작용 microarrayer의 개발 / 이현동 2003  167
141 15 유전학 Genetic Testing, Birth, and the Quest for Health 2014  165
140 15 유전학 게놈 프로젝트를 위한 생물정보학 / 김양석 2000  165
139 15 유전학 유전체 자료분석을 위한 생존분석방법에 관한 고찰 / 이승연 2018  161
138 15 유전학 한국인 유전체 시료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시료 정보 관리 시스템 / 양은주 외 2002  160
137 15 유전학 유전정보의 이용과 보호에 관한 법규제적 연구 / 김민정 2003  155
136 15 유전학 연구논문 : 나고야의정서 국내이행에 관한 의무준수 및 점검기관 설치에 대한 소고/오선영 2012  155
135 15 유전학 운명과 선택의 이야기로서의 유전자 - ‘인간적 과학’을 위한 교양교육의 탐색 - / 한수영 2018  155
134 15 유전학 단일 유전자 질환에 대한 착상전 유전진단 / 이형송 2009  154
133 15 유전학 우리나라 인체유래물은행의 유전체 정보 보호 현황과 제언 / 이연호 외 2017  154
» 15 유전학 유전자와 생명현상 / 김규원 2008  153
131 15 유전학 생명공학 분야에서의 특허보호 대상에 관한 연구 / 손민 2015  151
130 15 유전학 비교유전자교잡법을 이용한 대장암환자에서의 유전자변화 / 이재식 2015  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