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69
발행년 : 2009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대한의학유전학회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82587151 

유전상담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전문유전상담사 학회인증제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Genetic Counseling Curriculum, Accreditation of the Training Program, and the Certification Process of Genetic Counselors in Korea

  
 
제어번호 82587151
저자명 최지영(Jee Yeong Choi)  ,김현주(Hyon J. Kim)
학술지명 대한의학유전학회지
권호사항 Vol.6 No.1 [2009] 
발행처 대한의학유전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8-55(18쪽)
발행년도 2009년
KDC 517
등재정보 KCI등재
판매처 교보문고

 
초록
목적: 국내실정에 맞는 전문 유전상담사 교육프로그램과 교육기관의 인정 및 유전상담사의 전문 자격 인증 제도를 설립에 근거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국외의 유전상담사 교육 프로그램 인정과 유전상담사 인증 제도를 파악하고, 관련 업무 종사자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전문가 회의를 통해 도출된 의견을 분석하였다. 결과: 인정받은 교육기관 수료자만을 인증시험요건으로 규정한 미국과는 달리, 일본은 관련 분야의 임상경력을 갖춘 자에게도 한시적으로 인증시험 자격을 부여하였다. 일본은 필기와 면접시험으로, 미국은 필기시험으로 인증 시험이 진행되고 있으며, 주기는 미국 2년, 일본 1년, 인증기간은 미국 10년, 일본 5년이었다. 설문조사에서는 ‘대한의학유전학회에서 위원회를 구성하여 교육기관 인정과 전문 유전상담사 인증을 담당하며, 관련학회의 의견수렴과 자문을 얻는다’에 대다수가 찬성하였다. 지원자의 전공은 제한할 필요가 없으며, 인증시험은 필기와 실기로 이루어져야하고 주기는 2년, 인증기간은 5년이 적당하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결론: 유전상담 교육기관 및 유전상담사 인증 제도는 대한의학유전학회에서 주관하며, 미국과 일본의 프로그램을 참고하여 국내실정에 맞게 도입한다. 대한의학유전학회에서는 위원회를 구성하여 관련 학회 등의 의견수렴과 자문을 얻어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인증 제도를 구체화 할 것을 촉구하는 동시에 정부에서도 유전상담의 급여화와 필요한 제도적인 지원이 있어야만 국내의 유전의료의 발전에 필요한 인프라 구축의 내실을 다질 수 있게 될 것이다.

 

 
목차

서론
대상 및 방법
결과
고찰
감사의 글
국문초록
참고문헌


주제어
Medical genetics training program  ,Genetic counsening  ,Accreditation  ,Certification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89 15 유전학 식물유전자원의 ABS체제 -나고야의정서와 ITPGRFA조약의 관계를 중심으로-/오선영 2014  227
» 15 유전학 유전상담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전문유전상담사 학회인증제도에 관한 연구 / 최지영 외 2009  227
187 15 유전학 개인맞춤의료 시대에 대비한 보험사에서의 개인 유전자 정보 이용 여부에 대한 고찰 / 장예은 2014  226
186 15 유전학 유전자 편집기술에 대한 윤리적 대응 / 목광수 2017  226
185 15 유전학 GMO의 위험에 대한 민사법적 책임의 한계 / 송호열 2011  222
184 15 유전학 유전자 발현 조절에 의한 발생의 이해 / 이미화 외 2017  222
183 15 유전학 국내외 유전자변형 식물개발의 연구동향 분석 / 이종우 2006  220
182 15 유전학 곤충유전체 연구의 생물정보학적 동향 / 박준형 외 2014  218
181 15 유전학 유전자 도핑(Gene Doping)의 윤리적 쟁점과 대응방안 / 김지호 2015  216
180 15 유전학 인간 게놈 프로젝트, 인간 유전자의 조작, 현생 인류의 증발 / 이필렬 2001  213
179 15 유전학 우리나라 줄기세포 연구의 현재와 미래 / 권혁찬 2011  210
178 15 유전학 장애 이해의 해석학적 구조화와 법/김나경 2015  209
177 15 유전학 개인별 맞춤 약물유전체 : 생물학적 기능 요소와 개인유전체 변이를 기반으로한 약물학적 접근 / 이수연 2016  209
176 15 유전학 로크의 사유재산권에 대한 비판적 접근을 통한 유전자특허 반대론 / 이재명 2018  208
175 15 유전학 유전자 패널을 이용한 미토콘드리아 질환의 분자 유전학적 원인 규명 / 홍현대 2016  207
174 15 유전학 염색체 잘라내기: 유전자 가위기술을 이용한 특이적 염색체 결실 유도 / 김진수 2010  205
173 15 유전학 난치성질환 유전자치료제 개발 / 김기남 2008  205
172 15 유전학 GMO 연구 개발 상업화 동향/김태산 2018  205
171 15 유전학 DNA 정보의 주체 -시민 정체성의 새로운 구성 / 김지연 외 2016  203
170 15 유전학 인체 유래 물질의 재산권성에 관한 의료법학적 연구 / 이웅희 2009  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