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69
발행년 : 2010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대한의학유전학회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82587111 

착상전 유전진단을 위한 유전상담 현황과 지침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A Study of Guidelines for Genetic Counseling in Preimplantation Genetic Diagnosis (PGD)


 
제어번호 82587111
저자명 김민지(Min Jee Kim)  ,이형송(Hyoung-Song Lee)  ,강인수(Inn Soo Kang)  ,정선용(Seon-Yong Jeong)  ,

           김현주(Hyon J. Kim)
학술지명 대한의학유전학회지
권호사항 Vol.7 No.2 [2010] 
발행처 대한의학유전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25-132(8쪽)
발행년도 2010년
KDC 517
등재정보 KCI등재
판매처 교보문고

 
초록
목적 : 착상전 유전진단(preimplantation genetic diag-nosis, PGD)은 유전질환을 가진 부부들을 대상으로 체외수정을 통해 획득한 배아에서 유전진단을 하는 방법이다. 다양한 유전질환을 가진 부부에게 그 질환에 맞는 PGD의 설계가 진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PGD 시행 전 유전상담을 시행하는 것은 PGD 설계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이에, PGD 시행 시 필요한 유전상담의 내용에 대해 환자 및 가족과 전문가의 구체적인 의견을 수렴하고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본 연구는 PGD에 있어서 유전상담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한 의견을 알아보고자, 2010년 2월 3일부터 4월 30일까지 PGD를 실시 또는 실시 예정인 부부들과 PGD 관련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이메일과 직접 설문지를 배포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 환자 60명과 전문가 31명을 포함하여 총 91명이 설문조사에 응답하였으며, 환자들은 염색체 이상 질환 49명(81.7%)과 단일유전자 이상 질환 11명(18.3%)이었다. 설문에 응답한 환자와 전문가 모두 유전상담이 PGD의 의료서비스 일환으로 반드시 필요하다고 답하였다. 환자의 충분한 이해를위하여 필요한 유전상담의 시간에 대해 환자와 가족 그리고 전문가 의견을 수렴한 결과, 각각 45명(75.0%)과 23명(74.2%)이 적정한 유전상담시간을 30분 이상이라고 응답하였다. 하지만, 현 의료시스템에서는 짧은 진료시간 내 진료와 유전상담을 동시에 진행함으로써 환자에게 완벽한 정보제공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전문가 그룹에서는 진료시간의 부족과 유전질환의 정보 부족이 유전상담의 어려운 점이라고 답하였으며, 이에 비 의사(non-MD) 전문유전상담사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30명(96.7%)으로 높게 나타났다. 환자와 가족들은 PGD 시술 시 예기치 못한 결과의 가능성, 환자가 가진 유전질환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는 선택사항, 환자가 가지고 있는 유전질환의 위험도 평가, 유전자 검사 시 검사의 목적설명 및 검사기술의 한계점과 오진률의 설명, PGD시술 전반에 관한 기술적인 정보 등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더 자세한 설명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전문가의견 역시 환자 및 가족이 관심 있고 자세한 설명을 원하는 정보와 대부분 일치하였다. 이에 따라 환자의 요구와 의견으로 나타난 위의 결과들을 향후 PGD를 위한 유전상담의 지침(guide-line) 구축 시 반영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결론 : 본 연구에서 유전진단과 생식의학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PGD의 적용과 효율성 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PGD를 시행함에 있어서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유전상담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설문조사 결과가 향후 PGD를 위한 유전상담 지침서(guideline)에 반영되어 적절한 PGD의 설계, 실시, 사후 관리에 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목차
서론
대상 및 방법
결과
고찰
국문초록
References



주제어
Preimplantation genetic diagnosis(PGD)  ,Genetic disease  ,Genetic counseling  ,Non-MD genetic counselor  ,Survey  ,Guideline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169 15 유전학 바이오뱅크(Biobank)를 이용한 연구에 있어서 법적ㆍ윤리적 쟁점에 관한 일고 / 이정현 2012  201
168 15 유전학 인체유래물과 유전정보에 대한 권리 및 분배 기준 / 유호종, 김소윤 2015  201
167 15 유전학 유전자원의 중요성을 일깨운 나고야의정서/박원석 2012  201
166 15 유전학 뇌전증의 유전적 진단 / 이윤정 안주희 권순학 황수경 2016  201
165 15 유전학 유전자원 접근 및 이익공유에 관한 나고야 의정서의 주요 과제에 대한 법적 분석/박노형, 정명현, 이선 2015  199
» 15 유전학 착상전 유전진단을 위한 유전상담 현황과 지침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김민지 외 2010  199
163 15 유전학 생물다양성 협약과 나고야 의정서/박정미 2015  196
162 15 유전학 유전자원 접근 및 이익공유(ABS)체제 구축을 위한 나고야의정서와 다른 국제조약 및 문서와의 관계연구/오선영 2014  194
161 15 유전학 조혈모세포이식에서 T 림프구 키메라현상의 검출을 위한 자체검사의 확립 / 이미선 2015  192
160 15 유전학 배아 유전자 치료 / 조은희 2017  192
159 15 유전학 유전자 편집 기술을 이용한 장액성 난소암에서의 전이인자 PUAF 기능 연구 /정현희 2018  192
158 15 유전학 유전성 암과 유전상담 / 정승용 2007  189
157 15 유전학 유전자 검사 및 연구에서의 동의 획득의 문제/배그린, 최경석 2009  188
156 15 유전학 산전검사의 유전상담 / 황도영 2007  188
155 15 유전학 생명의료윤리 교육방법으로서 결의론에 관한 연구/박인숙 2018  185
154 15 유전학 유전자변형 다분화능 정원줄기세포를 이용한 키메라 생쥐의 생산 / 임정은 2009  183
153 15 유전학 유전자치료법의 국가표준지침 제정에 관한 연구 / 남명진 1998  182
152 15 유전학 한국인 파킨슨병 환자의 유전적 배경 / 우명수 2006  181
151 15 유전학 유전상담의 제도적인 고찰 / 김현주 2007  180
150 15 유전학 유전검사 네트워크를 이용한 유전클리닉의 개설과 운영 / 이용화 외 2006  1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