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69
발행년 : 200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대한의학유전학회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82587110 

유전상담과 전문 유전상담사 수요에 대한 전국적인 조사
= National survey for genetic counseling and demands for professional genetic counselor


 
제어번호 82587110
저자명 정윤석(Yoon-Sok Chung)  ,김숙령(Sook Ryung Kim)  ,최지영(Jiyoung Choi)  ,김현주(Hyon J. Kim)
학술지명 대한의학유전학회지
권호사항 Vol.4 No.2 [2007] 
발행처 대한의학유전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67-178(12쪽)
발행년도 2007년
KDC 517
등재정보 KCI등재
판매처 교보문고

 
초록
목적 : 최근 들어서 국내 의료계에서도 Non-MD 전문 유전상담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유전상담과 전문유전상담자 수요에 대한 전국적 기초조사를 수행함으로서, 향후 중장기 계획 Master plan을 가지고 유전상담교육 및 상담사 배출을 체계적으로 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방법 : 2007년 9월 3일부터 2007년 10월 4일까지 1개월 동안 이메일, 전화, 팩스, 직접수령의 방법으로 의료기관, 유전자 검사평가원에 등록된 비 의료기관, 정책연구기관, 자조회 등을 통하여 주임연구원, 교수 등을 대상으로 총 16문항의 설문을 하였다. 결과 : 설문 내용의 분석 결과 “유전상담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는지”에 대하여 응답자의 90명(88%)에서 유전상담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으며, 그 중 “매우 필요하다”는 답변은 31명(34%)으로 나타났다. 또 “응답자 또는 응답자가 근무하는 기관에서는 의학유전학 석사학위 이상의 교육을 받은 전문직 유전상담사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는지”에 대한 문항에서는 필요하다는 의견이 68명(77%)을 차지하였고, 그 중 “매우 필요하다”는 의견은 16명(23%)의 결과를 보였다. 전문 유전상담에 대한 수가 책정이 건강보험급여로 인정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응답자가 78명(77%)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23명(29%)이 매우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이에 전문 유전상담사를 채용할 계획이 있다고 응답한 57명의 답변으로, 5년 이내 채용계획이 있다는 의견이 41명(71%)이었고, 채용 시 기대하는 담당 업무는 “유전 카운슬링” 34명(60%), “학술담당” 24명(42%), “교육담당” 10명(18%), “임상검사담당” 11명(19%)으로 나타났다. 결론 : 이번 조사에는 대상자 650명 중에 총 102명이 설문에 응하였고, 국내 유전상담과 전문 유전상담사 수요에 대한 전국적 기초조사 결과를 토대로, 향후 5-10년 중장기계획을 가지고 유전상담교육, 유전 상담의 의료보험 적용과 전문 유전상담사 배출을 체계적으로 하는데 있었으며 이에 효율적인 유전질환 관리와 국가차원의 시스템 구축 및 유전질환 환자에 대한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서론
대상 및 방법
결과
고찰
감사의 글
한글요약
참고문헌
별첨) 설문 내용


주제어
National survey  ,Genetic counseling  ,Professional genetic counselor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7
329 15 유전학 게놈 정보의 기능분석 동향 / 신희섭 1996  66
328 15 유전학 유전정보 국외이전에 따른 국내 헬스케어산업보안 법제의 취약성 고찰 / 이보형 2016  66
327 15 유전학 생물유전자원에 대한 접근 및 이익의 공유 / 류병운 2017  68
326 15 유전학 착상전 유전자진단의 활용과 형사책임 / 황만성 2007  68
325 15 유전학 생명공학의 사회적 차원들 / 김동광 2004  70
324 15 유전학 클라우드 기반의 유전체 분석 방법 / 문지혜 외 2017  71
323 15 유전학 유전자 차별금지 법제도 개선방안 : 비교법제도론적 고찰을 중심으로 2017  74
322 15 유전학 From consent to institutions: Designing adaptive governance for genomic biobanks 2011  78
321 15 유전학 특집 : 게놈시대의 기독교사회윤리 ; 게놈시대의 생명공학기술과 기독교 사회윤리 / 신원하 2002  79
320 15 유전학 착상전 유전자 진단에 대한 생명윤리적 고찰 / 최진일 2014  81
319 15 유전학 The generation of genetically modified golden Syrian hamster related to human diseases by using CRISPR/Cas9 system / 이재익 2015  83
318 15 유전학 From consent to institutions: Designing adaptive governance for genomic biobanks 2011  86
317 15 유전학 키메라(chimeric)RNA가 암의 지문으로 될수 있을까? / 심해홍 2012  86
316 15 유전학 유전정보의 상업적 이용과 개인정보 보호/이준형 2017  87
315 15 유전학 인간 유전체 프로젝트, 기술의 경향과 윤리 / 이병욱 2010  88
314 15 유전학 간호대학생이 인지하는 유전학에 대한 지식과 태도 및 유전간호 역량 / 최현경 2014  90
313 15 유전학 Direct to Consumer 유전자 검사의 생명윤리적 쟁점과 안전한 시행 방안 연구 / 박수경 2017  91
312 15 유전학 Clinical Development of Gene Therapy Needs a Tailored Approach: A Regulatory Perspective from the European Union 2014  92
311 15 유전학 소비자 직접 서비스 (DTC: Direct-to-Consumer) 시대의 도래와 시사점/성영조 2015  92
310 15 유전학 정밀의료에서의 개인정보와 정책방향에 관한 연구 / 장세균 2017  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