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69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윤리교육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735634 

인간유전체 연구와 개인 프라이버시 보호 방안



 
제어번호 101735634
저자명 정창록
학술지명 윤리교육연구
권호사항 Vol.38 No.- [2015] 
발행처 한국윤리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05-331(27쪽)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5년
등재정보 KCI등재
판매처 학술교육원
 
초록
개인별 맞춤의료는 환자중심적인 의학적 선택과 실천과 상품들을 포함하는 미래의학의 모델이 다. 개인별 유전학은 개별 유전자 분석과 연관된 유전학의 한 분야이다. 유전정보를 이용하는 것은 개인별 맞춤 의료의 어떤 측면들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인간 유전체 연구에서 왜 프라이버시가 본질적으로 중요한가? 의료의 초기부터 프라이버시의 개념은 환자와 의사간의 관계 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핵심이 되어 왔다. 이 논문의 목적은 인간 유전체 연구에 있어서 어떻게 프라이버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지에 대한 통찰을 증가시키는가이다. 인간 유전체 연구에서 개 인 프라이버시 연구의 중요한 목적은 인간 유전체 연구에서 발생하는 개인에 대한 이득과 해악에 관한 것을 파악하는 것이다. 개인별 맞춤 유전체 치료는 개인의 유전적 정보 분석을 전제로 한다. 인간유전체 연구를 인간 유전자 정보에 관한 연구로 볼 수도 있다면 현재 인터넷 사회에서 정보 유출과 개인 프라이버시 침해가 문제이듯이 인간유전체 연구에서도 유사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인간유전체 연구에서 개인 프라이버시 보호 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목표를 위해 우선 인간유전체연구에서 개인 프라이버시의 문제를 다루어 본다. 이후 인간유전체 연구가 갖는 위험의 유형을 기술적 차원, 방법론적 차원, 인식론적 차원으로 분류하여 살펴본다. 마 지막으로 인간유전체 연구가 갖는 세 가지 차원의 유형에 따른 위험관리의 전략을 세워본다.

 

 
목차
Ⅰ. 서론
Ⅱ. 인간 유전체 연구에서 개인 프라이버시의 문제
1. 인간 유전체 연구와 한국의 유전체 ELSI 연구
2. 개인 프라이버시(Privacy)
3. 인간유전체 연구에서 개인프라이버시 문제가 갖는 특수성
Ⅲ. 인간 유전체 연구가 갖는 위험의 유형
1. 기술적 차원
2. 방법론적 차원
3. 인식론적 차원
Ⅳ. 인간유전체 연구가 갖는 위험의 유형에 따른 일반적 위험관리의 전략
1. 기술적 차원의 위험 관리의 전략
2. 방법론적 차원의 위험 관리의 전략
3. 인식론적 차원의 위험 관리의 전략
Ⅴ. 결론


주제어
ELSI  , 인간유전체연구  , 위험  , 개인 프라이버시  , 정보 보호  , bioethics  , biotechnology  , ELSI(ethical  , legal  , and social implications)  , human genome research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269 15 유전학 GMO 식품에 나타난 유전자 조작 기술의 기독교 윤리적 비판-유전자 조작 기술 시대의 자연 및 인간의 ‘수평적 동등성’ 회복을 위해 / 김광연 2017  347
268 15 유전학 인간게놈프로젝트와 환원주의 / 정상모 2000  344
267 15 유전학 '혼인종료 후 300일 이내에 출생한 子'의 친생추정에 관한 연구 / 승이도 2015  339
266 15 유전학 크리스퍼 유전자가위와 인공유전자회로를 이용한 질병의 진단과 치료 / 이대희 외 2018  334
265 15 유전학 CRISPR/Cas 지놈 편집 기술을 이용한 빠른 세대전환 유전자 조작 생쥐 생성 / 이희우, 성정준, 김혜민, 이재삼 2014  330
264 15 유전학 국제 사회에서 유전체 의료의 지적재산권 연구 / 김한나 2015  330
263 15 유전학 유전자진단정보와 보험법적 문제 / 박은경 2013  327
262 15 유전학 현대 의학의 영생 기술과 그 신학적 성찰 - 텔로미어와 유전자 가위를 중심으로 / 김소윤, 이관표 2017  327
261 15 유전학 대장균의 항균제 내성과 독력 유전자의 분석을 활용한 융합기술연구 / 한재일 외 2015  326
260 15 유전학 우리나라의 나고야의정서의 가입이 바이오산업에 미치는 경제적 영향 분석/박용하, 김준순, 최현아 2012  325
259 15 유전학 생물다양성의 보전과 나고야 의정서의 법·정책적 대응·과제/김세규 2013  323
258 15 유전학 공공정보의 이차 활용을 위한 법제도에 관한 연구 : 생체 의료정보의 이차 활용을 중심으로/ 박미정 2015  321
» 15 유전학 인간유전체 연구와 개인 프라이버시 보호 방안 / 정창록 2015  321
256 15 유전학 유전자 검사를 시행한 유방암 환자들의 위험요인과 심리적 상태에 관한 연구/안용희, 서연옥 2006  320
255 15 유전학 인간유전체에 관한 특허법적 보호범위에 관한 연구 / 김향미 2007  319
254 15 유전학 DTC(Direct-to-Consumer) 유전자검사의 정당성 구조와 법정책 / 김나경 2018  319
253 15 유전학 질병 감수성 예측 유전자 검사의 국내 도입과 유전상담 필요성에 대한 조사 / 정윤경 2017  318
252 15 유전학 임상으로부터 분리된 Candida albicans의 MLST를 통한 유전적 변이 분석 / 김희진 2016  316
251 15 유전학 유전자 편집의 윤리 / 김상득 2018  316
250 15 유전학 바이오시대의 유전정보관리통제권 / 정덕영 2009  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