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69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393879 

곤충유전체 연구의 생물정보학적 동향



 
제어번호 100393879
저자명 박준형,노승재,정명희,유승일
학술지명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권호사항 Vol.2014 No.04 [2014] 
발행처 한국응용곤충학회(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8-38(1쪽)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4년
판매처 코리아스칼라

 
초록
NGS(Next Generation Sequencing) 기법이 2007년부터 적용된 이후 약 10년도 되지 않은 짧은 기간 동안 유전체 연구에 상당히 큰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유전자 중심의 연구에서 유전체를 기반으로 하는 형태로 연구 패러다임이 변화되고 있으며, 컴퓨터 하드웨어의 급속한 성능 증가와 더불어 생물정보의 중요성이 다시 부각되고 있다. 인간 중심의 유전체 연구는 식물과 동물, 미생물로 급격하게 분야가 확장되고 있으며, 한 대의 시퀀싱 머신에서 120Gb의 시퀀싱 데이터가 단 29시간만에 만들어지는 기술적 성과를 확인할 수 있다. 곤충 분야에서는 i5K(The 5,000 Insect Genome Project) 국제 컨소시엄이 시작되었으며, BGI(Beijing Genome Institute)에서도 다양한 곤충의 유전체 시퀀싱 및 분석 사업을 진행하겠다고 제안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차세대바이오그린21사업의 동물유전체육종사업단에서 가축유전체와 더불어 몇 가지의 곤충 유전체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금년부터 시작되는 농촌진흥청의 다부처유전체사업에서도 일반작물, 원예작물, 약용작물, 가축과 더불어 곤충분야도 한 부분을 차지하게 되었다. 아직은 다른 분야에 비해서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곤충 분야 연구의 잠재성을 검토해 볼 때 가장 빠르게 유전체 연구를 통해 유용한 결과를 획득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하지만, 곤충 분야의 유전체 연구를 위해서는 선행되었던 다른 유전체 연구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접근하여야 효율적인 성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곤충 유전체 연구에 대한 동향과 생물정보학적인 기법 등을 제안하고자 한다.


주제어
NGS  , 시퀀싱  , 유전체  , 생물정보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149 15 유전학 한국의 산전 유전자 검사 제도와 법적 허용 질환에 대한 근거중심 가이드라인 / 송주선 2017  177
148 15 유전학 정밀의학 실현을 위한 의료 및 유전체 빅데이터 이용 및 연구동향 / 박민우, 한성원 2016  175
147 15 유전학 유전체 데이터를 위한 효율적인 데이터 관리자의 구현 및 성능분석 / 송명선 외 2012  174
146 15 유전학 유전자와 생명의 사유화, 그리고 반공유재의 비극 : 미국의 BRCA 인간유전자 특허 논쟁 / 이두갑 2012  171
145 15 유전학 유전자원 접근 및 이익공유를 위한 나고야의정서와 국제통상법간의 충돌과 조화/최원목 2014  170
144 15 유전학 유전자연구에 있어서 제기되는 관련 당사자의 기본권 / 김수갑 2011  168
143 15 유전학 뇌졸중에 대한 유전자 치료 연구 현황/이민형 2015  168
142 15 유전학 유전자 검색을 위한 DNA 칩 제작용 microarrayer의 개발 / 이현동 2003  167
141 15 유전학 Genetic Testing, Birth, and the Quest for Health 2014  165
140 15 유전학 게놈 프로젝트를 위한 생물정보학 / 김양석 2000  165
139 15 유전학 유전체 자료분석을 위한 생존분석방법에 관한 고찰 / 이승연 2018  161
138 15 유전학 한국인 유전체 시료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시료 정보 관리 시스템 / 양은주 외 2002  160
137 15 유전학 유전정보의 이용과 보호에 관한 법규제적 연구 / 김민정 2003  155
136 15 유전학 연구논문 : 나고야의정서 국내이행에 관한 의무준수 및 점검기관 설치에 대한 소고/오선영 2012  155
135 15 유전학 운명과 선택의 이야기로서의 유전자 - ‘인간적 과학’을 위한 교양교육의 탐색 - / 한수영 2018  155
134 15 유전학 단일 유전자 질환에 대한 착상전 유전진단 / 이형송 2009  154
133 15 유전학 우리나라 인체유래물은행의 유전체 정보 보호 현황과 제언 / 이연호 외 2017  154
132 15 유전학 유전자와 생명현상 / 김규원 2008  152
131 15 유전학 생명공학 분야에서의 특허보호 대상에 관한 연구 / 손민 2015  151
130 15 유전학 비교유전자교잡법을 이용한 대장암환자에서의 유전자변화 / 이재식 2015  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