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69
발행년 : 201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공주대학교 대학원 : 산업시스템공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985586 

전장 유전체 연관 분석을 위한 통계적 방법에 관한 연구



 
기타서명 A Study on the Statistical Methods for the Genome-Wide Association Analysis
저자 윤병국
형태사항 iii, 63장 : 삽도 ; 26cm
일반주기 지도교수:이창용
              참고문헌 : 26-29장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공주대학교 대학원 : 산업시스템공학과 2016. 2
발행국 충청남도
언어 한국어
출판년 2016
소장기관 공주대학교 도서관


 
초록
Human beings have made improvements of breed by using what is passed down to the next generation of organisms through heredity. The genetic information to be passed down to the next generation is stored in the deoxyribonucleic acid(DNA) in a spiral structure in cells. As the bases comprised of DNA are in sequence, it is called a base sequence. All genetic information is stored in base sequences. The analytical methodology to find connections between a base sequence and phenotype is called genome wide association study(GWAS). This study investigated GWAS for the phenotypes with quantitative traits, whose researches had been active in recent years.
 GWAS uses as input data the results of genome reanalysis process, which identifies a genetic variation called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NP) by using the data produced by a base sequence analyzer. It also follows the order of solving the collective structurization issue through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PCA) of input data and finding and visualizing the candidate groups to influence the phenotypes used in the analysis of genotypes through statistical testing.
 The Genome Association and Prediction Integrated Tool(GAPIT) program is widely used in researches to analyze phenotypes with quantitative traits. Since it is written in the R programming language with some programming language problems, however, it is relatively slow and contains internal errors. 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trust its results when genome data do not follow T or F distribution in case of T or F parametric test, respectively. The present study developed a program to improve the GAPIT program by using the C programming language instead of the R programming language and conducting Kandell's T test, a non-parametric test, instead of such parametric tests as T and F tests.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run time of the program developed in the study was faster by that of GAPIT program by approximately 4~17 tim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SNP.

 
목차
I. 서론 1
II. 유전 변이 규명 5
1. DNA 유전체 재분석 과정 5
2. 유전체 데이터 형식 7
III. 전장 유전체 연관 분석 10
1. 개요 10
2. 주성분 분석을 사용한 집단 구조화 12
3. Kendall τ 상관 계수와 가설 검정 14
4. False Discovery Rate 17
IV. 전장 유전체 연관 분석 결과 20
1. 데이터 소개 20
2. Manhattan Plot 20
3. Quantile-Quantile Plot 21
4. 분석 성능 비교 23
V. 결론 25
참고문헌 26
ABSTRACT 30
부록 1 32
부록 2 34
부록 3 3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149 15 유전학 유전검사 네트워크를 이용한 유전클리닉의 개설과 운영 / 이용화 외 2006  178
148 15 유전학 한국의 산전 유전자 검사 제도와 법적 허용 질환에 대한 근거중심 가이드라인 / 송주선 2017  178
147 15 유전학 정밀의학 실현을 위한 의료 및 유전체 빅데이터 이용 및 연구동향 / 박민우, 한성원 2016  175
146 15 유전학 유전자와 생명의 사유화, 그리고 반공유재의 비극 : 미국의 BRCA 인간유전자 특허 논쟁 / 이두갑 2012  171
145 15 유전학 유전자원 접근 및 이익공유를 위한 나고야의정서와 국제통상법간의 충돌과 조화/최원목 2014  170
144 15 유전학 유전자 검색을 위한 DNA 칩 제작용 microarrayer의 개발 / 이현동 2003  169
143 15 유전학 뇌졸중에 대한 유전자 치료 연구 현황/이민형 2015  169
142 15 유전학 유전자연구에 있어서 제기되는 관련 당사자의 기본권 / 김수갑 2011  168
141 15 유전학 Genetic Testing, Birth, and the Quest for Health 2014  165
140 15 유전학 한국인 유전체 시료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시료 정보 관리 시스템 / 양은주 외 2002  165
139 15 유전학 게놈 프로젝트를 위한 생물정보학 / 김양석 2000  165
138 15 유전학 유전체 자료분석을 위한 생존분석방법에 관한 고찰 / 이승연 2018  162
137 15 유전학 유전정보의 이용과 보호에 관한 법규제적 연구 / 김민정 2003  155
136 15 유전학 연구논문 : 나고야의정서 국내이행에 관한 의무준수 및 점검기관 설치에 대한 소고/오선영 2012  155
135 15 유전학 운명과 선택의 이야기로서의 유전자 - ‘인간적 과학’을 위한 교양교육의 탐색 - / 한수영 2018  155
134 15 유전학 유전자와 생명현상 / 김규원 2008  154
133 15 유전학 단일 유전자 질환에 대한 착상전 유전진단 / 이형송 2009  154
132 15 유전학 우리나라 인체유래물은행의 유전체 정보 보호 현황과 제언 / 이연호 외 2017  154
131 15 유전학 생명공학 분야에서의 특허보호 대상에 관한 연구 / 손민 2015  151
130 15 유전학 비교유전자교잡법을 이용한 대장암환자에서의 유전자변화 / 이재식 2015  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