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69
발행년 : 201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한양대학교 의생명공학전문대학원 : 생명의료정보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960695 

전유전체 서열 기반 한국인 참조 변이체 분석 연구
 = Variation analysis study in 62 Korean whole genomes



 
저자 박선혜
형태사항 v, 69 p. : 삽도 ; 26 cm.
일반주기  지도교수: 고인송
               권두 국문요지, 권말 Abstract 수록
               참고문헌: p. 62-67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한양대학교 의생명공학전문대학원 : 생명의료정보학과 2016. 2
발행국 서울
언어 한국어
출판년 2016
소장기관 한양대학교 안산캠퍼스, 한양대학교 중앙도서관


 
초록
최근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기술과 생물정보학의 발전으로 유전체데이터생산 및 분석비용이 하락함에 따라, 국제적으로 다양한 인종에 대한 인간 유전체 분석 프로젝트들이 수행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국제적인 프로젝트에는 한국인의 유전체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지 않아, 한국인의 특이적인 유전적 정보를 이해하기 위한 정보가 상당히 부족하다. 각국 내에서도 지속적인 유전체 분석비용의 하락으로 전유전체(whole genome)생산이 증가하고 있다. 한국인 게놈 프로젝트(Korean Personal Genome Project; KPGP)는 한국의 게놈연구재단(Personal Genomics Institute; PGI)에서 진행하고 있는 참여형 연구프로젝트로, 62명의 한국인 전유전체서열데이터가 TGI(The Genomics Institute)의 FTP 사이트와 국가생명연구자원정보센터(Korean Bioinformation Center; KOBIC)의 FTP 사이트를 통해 공개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 62명의 한국인 KPGP 전유전체서열분석을 통해 한국인의 단일염기변이(SNV), 삽입과 결실(INDEL), 구조적 결실(large deletion), 복제수변이(CNV)와 같은 다양한 유전변이를 확인하고, 한국인의 유전체정보를 이해하기 위한 파일럿 연구를 수행하여 참조변이체(reference variome)의 정보를 구축하였다.
한국인 62명의 전유전체에서 서열단위 변이의 분석 결과, 단일염기변이(SNV) 10,208,160개와 삽입과 결실(INDEL)(≤ 200bp)은 1,056,125개가 발견되었다. 이 중 한국인 특이적인 단열염기변이(SNV)는 1,540,469개로 나타났다. 또 단백질 코딩에 영향을 주는 non-synonymous SNV는 37,973개가 발견되었다. 구조적 단위 변이의 결과, 구조적 결실(large deletion)(> 200bp)는 4,112개 발견되었고, 복제수변이(CNV)는 1,946개 발견되었다.
본 연구는 인종단위의 한국인 전유전체서열분석(WGS)에 대한 파일럿 연구로서, 추후 대량의 샘플데이터를 활용한 참조변이체(reference variome) 정보의 구축에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한국인 파일럿 참조변이체 정보로서 향후 한국인과 관련된 질병 연구에 도움을 줄 것이다.

 


목차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배경
제2절 최신 연구동향
제3절 연구의 목적

제2장 재료 및 방법
제1절 재료
제2절 방법

제3장 결과
제1절 한국인 62명의 전유전체서열데이터 분석
제2절 한국인과 다른 아시안 인종의 서열단위 변이비교
제3절 구조적 변이
제4절 Gene set enrichment 분석

제4장 고찰

제5장 참고문헌



주제어
의용생체공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09 15 유전학 2PL-1 : 유전자가위로 유전자 수술하기 / 김진수 2018  244
208 15 유전학 유전체맞춤의료를 둘러싼 인체유래물 및 인간유전체 정보의 도덕성 논쟁 - 잊혀질 권리와 공유할 의무를 중심으로 / 정창록 2016  243
207 15 유전학 생명윤리법 상 인체유래물 연구를 위한 심의 · 동의제도의 법적 검토 / 이한주 2015  242
206 15 유전학 정치철학자 샌델의 유전공학윤리에 대한 책을 번역하고 나서/강명신 2011  241
205 15 유전학 유전질환에서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의 치료 성적에 대한 고찰 / 이우진 2016  241
204 15 유전학 연구논문 : 유전자원 접근 및 이익공유(ABS)에 대한 일본의 대응/이윤나 2015  239
203 15 유전학 유전자조작벼 상용화의 법적 문제 / 김은진 2017  239
202 15 유전학 인간 전분화능줄기세포에서 유전자 편집 기술의 연구 동향 / 정주원, 오선경, 최영민 2014  238
201 15 유전학 기계학습을 통하여 암을 분류하는 유전자 집단 확인 / 임수정 2019  238
» 15 유전학 전유전체 서열 기반 한국인 참조 변이체 분석 연구 / 박선혜 2016  237
199 15 유전학 바이오뱅크 운영의 주요쟁점과 전망 / 김상현 2014  235
198 15 유전학 가계검색(Familial Search)의 법적 문제에 관한 연구 / 이성기 2015  235
197 15 유전학 한국 바이오뱅크 정보화사업의 경제적 타당성 분석 / 주병철, 주민석 2013  234
196 15 유전학 산전유전진단 및 유전상담의 실제 / 오수영 외 2007  233
195 15 유전학 CRISPR/Cas9 시스템 기반 무당질항체 생산용 마우스 제작을 위한 마우스 유래 세포주 NIH-3T3 세포에서의 Ighg 유전자 교정 연구 / 이난이 2017  233
194 15 유전학 현행 생명윤리법상 유전자편집기술의 법적 쟁점 / 황만성 2017  233
193 15 유전학 생명윤리적 관점에서 본유전자 편집 특허의 제문제 / 진영진 2018  233
192 15 유전학 유전자편집 작물의 개발 현황 및 농업생명공학기술의 국가 경쟁력 강화/ 이신우 2018  231
191 15 유전학 연구로 발생한 이익에 대한 인체유래물과 유전정보 제공자의 권리 / 유호종 2015  229
190 15 유전학 나고야의정서와 관련한 식품, 의약품 및 화장품 분야에서의 대응방안/박보람, 남두현 2012  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