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69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계명대학교 인문과학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708063 

[번역문] 유전자 형질변환 식품의 실험에 대한 철학적 견해
= A Philosophical Perspective on the Testing of Transgenic Foods


 
제어번호 100708063
저자명 Andrew Woodfield  ,유원기(번역자)
학술지명 인문학연구
권호사항 Vol.49 No.- [2015] 
발행처 계명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13-234(22쪽)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5년
판매처 (주)누리미디어

 
초록
The topic of the present talk is substantial equivalence. The thinking is roughly this. If food derived from a certain plant has been consumed for a long time by human beings or by animals without causing a health problem, that provides good evidence that the plant is safe. When plant breeders produce a new strain of the same kind of plant, and the new strain is substantially equivalent to the parental variety, it is rational to expect that the new strain will likewise be safe ? even if food from it has not yet been eaten. If a transgenic version of the plant is substantially equivalent to the parental variety, then it is rational to expect that this too will be safe.
 Amazingly, and fortunately, no major public health disasters have arisen, not yet. However, it is still possible that future evidence might reveal that these crops have caused long-term damage to public health. In fact, it is impossible to prove conclusively that any food is safe. What we can say is that now, in 2015, it is reasonable to believe that you won’t get suddenly sick after eating the now familiar GM soy or corn, or from processed foods containing them. But you should be aware that there might be longer term effects, including an increased risk of cancer from herbicide residues in food derived from ht crops.

 
목차
Ⅰ. 들어가는 글
Ⅱ. 제초제에 대한 내성을 가진 농작물의 식품 안전성 검사
Ⅲ. 내부에서 살충제를 산출하는 농작물의 안정성 검사
Ⅳ. 결론



주제어
Substantial equivalence  ,Transgenic Foods  ,GMO  ,Monsanto  ,Glyphosate  ,Genomics  ,Food Safety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369 15 유전학 Disabled by Design: Justifying and Limiting Parental Authority to Choose Future Children with Pre-Implantation Genetic Diagnosis / Stramondo, Joseph 2017  34
368 15 유전학 유전자교정과 인간유전체 연구의 개념적 구별과 최근동향 / 김형래 2016  36
367 15 유전학 특집 : 게놈시대의 기독교사회윤리 ; 특별강연 : 게놈시대의 생명윤리 / 이정주 2002  37
366 15 유전학 인간 유전정보 보호와 시민참여 / 이영희 2003  38
365 15 유전학 23andMe: how to make (a lot of) money out of your customers / Jordan, Bertrand 2015  38
364 15 유전학 인간 유전체 연구 관련 국제 특허성 연구(II) / 김한나 2016  38
363 15 유전학 유전체 분석 초기 단계에서 유전자 리스트 작성을 위한 방법론 / 오정수 외 2003  40
362 15 유전학 게놈 편집 기술을 통한 Streptomyces coelicolor의 β-agarase 발현조절 유전자 기능 분석 / 심소헌 2018  42
361 15 유전학 웹 기반의 유전자 서열 분석 및 관리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허진석 2002  43
360 15 유전학 23andMe, th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and the Future of Genetic Testing / Zettler, P.J. 2014  44
359 15 유전학 Ethical Guidelines for Genetic Research on Alcohol Addiction and Its Applications / Chapman 2018  45
358 15 유전학 인간배아줄기세포의 特許性에 관하여 / 표호건 2007  46
357 15 유전학 23andMe signs Parkinson's gene deal with Genentech 2015  46
356 15 유전학 유전자 정보과 그 정보의 공공적 운용 / 박인회 2009  47
355 15 유전학 게놈 프로젝트의 SF적 모티프 / 듀나 2001  47
354 15 유전학 정밀의료에서 개인정보보호 방안 : 미국ㆍEUㆍ일본과의 비교법제도 분석을 중심으로 / 장세균 2017  47
353 15 유전학 가축질병의 진단과 치료를 위한 유전자기술의 활용에 관한 법적 쟁점 / 왕승혜 2016  48
352 15 유전학 과학적 부성(paternity) 도입을 통한 친자법의 개혁 / 오병철 2018  50
351 15 유전학 유전자원에 대한 접근 및 이익 공유체제와 다른 국제 규범의 관계 / 김홍균 2017  53
350 15 유전학 나고야의정서 하에서 생물유전자원 이용의 최적계약 연구 / 박호정 2017  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