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69
발행년 : 2011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법학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82634629 

유전자연구에 있어서 제기되는 관련 당사자의 기본권
= Human Rights of the Parties concerned in Genetic Research / 김수갑


제어번호 82634629
저자명 김수갑(Kim, Su-Kab)
학술지명 法學硏究(LAW JOURNAL)
권호사항 Vol.22 No.1 [2011] 
발행처 忠北大學校 法科大學 法學硏究所(LAW RESEARCH INSTITUT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41(41쪽)
발행년도 2011년
KDC 361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소장기관 충북대학교 중앙도서관
판매처 교보문고

 
초록
본고에서는 현대 인권형성의 새로운 동력으로서 평가되기도 하는 유전학적 연구, 특히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유전학적 연구에 있어서 제기되는 인권 내지 기본권의 문제를 다루었다. 인간유전학의 발전이 기본권차원에서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지, 그리고 이러한 새로운 지식에 대하여 ‘전통적인’ 기본권이 어느 정도 대답을 할 수 있는지, 그리고 새로운 기본권해석은 가능한지를 고찰하는 것은 매우 의미있는 일이라 생각한다. 유전자연구에 있어서 관련당사자로서 연구자 측인 학자와 이러한 연구를 의학에 적용하는 의사를 비롯한 의료인이 한 축이 될 수 있으며, 한편 유전자연구의 대상이 되는 개인(지원자 및 환자)과 그의 유전적 친척이 그 나머지 축을 이룬다. 학자나 의료인의 측면에서의 기본권으로는 우선 학문?연구의 자유의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그러나 직접 유전자연구의 대상이 되는 개인과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는 유전적 친척의 측면에서 제기되는 기본권의 문제는 기존의 기본권적 관점만으로는 해결하기 어려운 과제를 우리에게 던져 주고 있다. 유전자 연구에 자발적으로 참여하거나 유전자치료(gene therapy) 및 줄기세포연구에 참가하거나 또는 의학적 배경에서 유전자검사의 의무를 지는 개인에게 생기는 인권을 밝히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유전정보는 모든 인간에 의하여 크고 작은 정도로 공유되기 때문에 집단이익과 미래세대의 이익도 유전학에 있어서는 중요하다. 그러므로 유전학에 있어서는 개인뿐만 아니라 집단이익을 보호하는 법리 구성이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먼저 유전학적 연구 영역과 발전현황을 간략히 살펴보고, 유전자 연구의 대상이 되는 개인과 유전적 친척에게서 제기될 수 있는 인권 내지 기본권을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유전학에 있어서 지원자(candidate)의 인권에서는 인권의 새로운 근거로서 유전적 동일성(Genetic Identity)의 보호, 유전 프라이버시에 대한 권리, 유전적 다양성의 보호(인간게놈의 집단화)를 다루고, 유전적 친척(relatives)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한 법적 구성에서는 유전검사의 결과의 공개 문제와 역학연구에 있어서 권리부여(entitlement)의 집단화 문제를 다루었다.


목차
Ⅰ. 서론
Ⅱ. 유전학적 연구영역과 발전현황
Ⅲ. 유전학(유전자)연구의 직접적 대상으로서의 개인의 기본권
Ⅳ. 유전적 친척의 기본권(이익)을 보호하기 위한 법적 구성
Ⅴ. 결론


주제어
유전자연구  ,유전적 동일성의 보호  ,유전프라이버시의 권리  ,유전적 친척  ,집단권리  ,∥ Genetic Research  ,Individual Human Rights  ,The Protection of Genetic Identity  ,The Right to Genetic Privacy  ,Genetic Relatives  ,Group Rights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09 15 유전학 나고야의정서 국내이행을 위한 한국의 입법추진동향과 과제/ 박종원 2015  135
108 15 유전학 The Generation of Genetically Modified Cat by Using a CRISPR/Cas9 System / 하아나 2016  132
107 15 유전학 의과학기술에서 본 생명과 행복 - 최근 발달된 크리스퍼기술을 중심으로 / 남명진 2018  131
106 15 유전학 유전성대사질환의 유전자치료 전략 및 현황 / 정성철 2011  130
105 15 유전학 유전체 연구·정밀의료 관련 국제규범 및 해외 법제 현황과 시사점 / 이서형 2017  130
104 15 유전학 CRISPR/Cas9 기반 유전자 교정 시스템과 전달 방법 / 송민정 외 2017  127
103 15 유전학 인간 유전자(DNA)의 법적지위와 개발기술의 합리적 보호방안/유지홍 2018  126
102 15 유전학 구강조직유래 유도만능줄기세포-생체재료 복합체의 재생의료 동향 / 전수경 외 2017  126
101 15 유전학 In vivo selective gene knockout through in situ delivery of RNA-guided Cas9 nuclease using lipidoid / 송명재 2014  122
100 15 유전학 Tomato ringspot virus 검역진단시스템 개발 / 이시원 외 2015  121
99 15 유전학 장기 체외 증식이 인간 다분화능 신경세포의 유전적 안정성 및 종양형성능에 미치는 영향들 / 연제영 2018  121
98 15 유전학 Council of Europe adopts protocol on genetic testing for health purposes 2009  120
97 15 유전학 유도만능줄기세포 연구의 현황과 전망 / 이영희 2008  120
96 15 유전학 유전체연구의 전략적 대응방안 / 안두현 2000  119
95 15 유전학 인간 게놈 프로젝트의 숨은 그늘 / 주일우 2001  119
94 15 유전학 유전자 검사 기관의 개인정보 보호 관리 강화 방안 / 정영철 2018  119
93 15 유전학 인체 시료 및 유전자은행의 윤리ㆍ사회적 고찰 / 최은경 2008  117
92 15 유전학 인체 유래 생물학적 물질의 소유권 - 사체를 중심으로 -/정규원 2017  117
91 15 유전학 유전자변형생명체 안전관리의 제도적 보장 - 식용 GMO의 동물투여 독성시험 현황과 논란을 중심으로 / 김훈기 2016  116
90 15 유전학 한국과 프랑스 생명과학교사들이 가지는 사람의 사회적 행동에 대한 유전자 결정론적 인식의 차이/서혜애 외 2018  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