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69
발행년 : 2013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기술혁신학회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99688031 

제목

우리나라 ABS(나고야의정서) 대응정책의 평가와 과제

영문명

Evaluation and Challenges of Policy Responses to ABS (Nagoya Protocol) of Korea

저자

홍형득(Heung-deug Hong),임홍탁(Hong-Tak Lim),조은설(Eun Seol Cho)

학술지명

기술혁신학회지(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권호사항

Vol.16No.2[2013]

발행처

한국기술혁신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506-529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3

KDC

505

주제어


ABS,나고야의정서,생물다양성,생물유전자원 이용국,생물유전자원 제공국,ABS,Nagoya Protocol,

Biodiversity,Bio-resource User country,Bio-resource Supplier country

초록

2010년 유엔 생물다양성협약 총회에서 나고야의정서(일명, ABS)가 채택됨으로 인해 각 국가는

 해외 자원의 이용과 국내자원에 대한 보호 측면에 관한 전략적인 대응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가 ABS이행을 위한 대응정책을 효과적으로 하고 있는지 평가하고, 관련 부처 및

기관들의 긴밀한 연계체계 구축과 통합적 관리 및 효율적 운영 시스템을 확립하기 위한 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우리나라 정부 부처들은 다양한 생물유전자원관리 법률을 가지고 있으나 ABS에서 제기하고 있는

이용 및 이익 공유에 대한 규정을 모두 갖고 있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법률은 생물유전자원의

 보존, 혹은 그 서식지의 보전 측면을 강조하고 있으나, ‘자원이용국’으로서 가지고 있어야 할 제도나

전략에 대해서는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과제는 ABS에 대응하여 ‘자원제공국’뿐만 아니라

‘자원이용국’ 입장에서의 부처별 역할 조정 및 통합이 필요하고, 원산지 기재 특허 요건화에 대해서도

법률적으로 입장을 뚜렷이 할 필요가 있다.

초록



Nagoya protocol, alias ABS adopted in UN Convention on Biodiversity in 2010, has prompted

governments in many countries to prepare strategic plans with regards to both the conservation of

domestic bio-resources and the use of those with foreign origin.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policy responses of Korean governments to ABS (Access and Benefit Sharing)

  and to make suggestions for a more integrative and efficient governance system for related

ministries and institutions.

      Our analysis indicates that while most ministries have designated laws specifying various measures

for the conservation of domestic bio-resources such as protected biological species or natural areas,

just a couple of them have instituted measures governing the use of those resources and the

benefit-sharing arising from it. We conclude that policy responses of Korean government are more

 focused on the conservation of bio-resources leaving the use of them ill-addressed.
      The study, thus, suggests that measures of ‘bio-resource user country’ be instituted in addition

to those of ‘bio-resource supplier country’. For instance, with regards to the use of bio-resources

the roles and remits of related ministries had better be clarified and coordinated. The uncertainty

over the explicit indication of ‘place of origin’ of bio-resources as a requirement of patent grant need

to be cleared as well.

목차



국문요약
ABSTRACT
I. 서론
II. ABS의 내용 및 환경
III. ABS 대응정책 분석
IV. 우리나라 ABS 대응정책 진단평가와 과제
V. 결론
참고문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49 15 유전학 공공 유전체 데이터베이스 확립 과정에 나타난 정보 공유와 사유화 사이의 긴장 / 조은희 2015  998
348 15 유전학 생명과학 공통성 발견 과제 수행에서 대상의 수가 공통성 지식 생성과 뇌 활성에 미치는 영향 / 김용성, 정진수 2019  982
347 15 유전학 In Vitro에서의 경구 투여용 인간 성장 호르몬의 생산 / 구본철 2012  980
346 15 유전학 게놈프로젝트의 현황과 전망 / 윤충효 2001  954
345 15 유전학 유전자 재조합 식품(GMO)의 유용성 및 유해성에 대한 비교분석 / 김태형 2001  933
344 15 유전학 크리스퍼 유전자가위에 의한 인간 생식세포 유전체 편집의 윤리적 프레이밍 / 전방욱 2018  929
343 15 유전학 성범죄 사건에서 정액 검사와 유전자 분석에 대한 다양한 결과 / 김진영 외 2016  900
342 15 유전학 바이오뱅크에 대한 윤리적 고찰/ 주현영 2012  899
341 15 유전학 식물연구에서 크리스퍼 유전자가위의 다양한 적용 / 배상수 2016  839
340 15 유전학 영양유전체학과 맞춤영양의 윤리적·법적 쟁점과 규제 프레임워크에 관한 연구 / 백수진 2010  794
339 15 유전학 CRISPR-Cas9 사용이 제기하는 윤리적 질문들 / 전방욱 2016  747
338 15 유전학 인간 배아 유전자 편집 기술의 국외 규제 동향 및 시사점 / 이수빈, 김한나 2018  737
337 15 유전학 유전체 서열 조합을 위한 차세대 염기서열 자료의 k-mer 분석 / 김민선 2015  722
336 15 유전학 우생학에 대한 생명윤리의 과제 / 이종원 2006  656
335 15 유전학 국내 유전자은행 관련 법률 및 운영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 이정념, 최경석 2008  645
334 15 유전학 소비자 직접의뢰(Direct-to-Consumer, DTC) 유전자검사 서비스의 현황과 정책 방향/ 황서현, 김경철 2018  589
333 15 유전학 희귀 미토콘드리아성 유전병에 대한 핵과 미토콘드리아 유전체로부터의 원인 돌연변이 규명 / 박지훈 2014  582
332 15 유전학 유전병과 기형아 및 유전상담 / 김정휘 1996  577
331 15 유전학 자유주의 우생학과 생명정치 : 유전자 결정론과 생명계급의 문제점을 중심으로 / 김광연 2014  570
330 15 유전학 유전자 재조합기술 판결 사례로 바라본 합성생물학에서의 지식재산권 활용 / 정상배 2017  5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