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69
발행년 : 2012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환경정책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99879539 
제목우리나라의 나고야의정서의 가입이 바이오산업에 미치는 경제적 영향 분석
영문명

Accession of Korea to the Nagoya Protocol and its Economic Impact Analysis on Korean Bioindustry

Companies

저자박용하 ( Yong Ha Park ),김준순 ( Joon Sun Kim ),최현아 ( Hyun Ah Choi )
학술지명환경정책연구
권호사항Vol.11No.4[2012]
발행처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자료유형학술저널
수록면39-57
언어Korean
발행년도2012
주제어


나고야의정서,ABS 비용,바이오산업,의정서 가입 또는 미가입의 경제적 영향,사적 자치,Nagoya Protocol,

ABS cost,Economic Impact of Protocol accession or non-accession,parties` compliance

초록



유전자원의 접근 및 이익의 공평하고 균등한 공유에 관한 나고야의정서(이하 ‘의정서’로 지칭함)의 발효에

따라 향후 우리나라의 바이오기업들이 해외 유전자원에 접근하고 이용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추가적인

경제적 부담을 분석하였다. 의정서 가입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우리나라 바이오기업들의 추가적인 부담

금액은 우리나라의 바이오산업 규모, 해외 유전자원 의존비율, 로열티 기준 ABS 적용비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의정서가 2009년에 발효했다면, 우리나라의 바이오기업들은 2009년 기준으로 국내

 이용하는 해외 유전자원에 대한 ABS 비용으로 13억~60억 원을 추가로 지불해야 했다. 그리고

이 금액은 점차 증가하여 2015년에는 136억~639억 원(우리나라 바이오산업시장의 0.01% 이하)을 추가로

지불해야 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이 금액을 볼 때, 우리나라의 의정서 가입은 국내 바이오기업의 매출액

감소폭에 미미한 수준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의정서가 발효하면, 의정서의 가입여부와 관계없이

 외국의 유전자원을 이용하는 당사자(국)는 PIC 비용과 당사자(유전자원 제공자와 이용자)들 간의

MAT에 의한 ABS비용을 지불해야 한다. 이 ABS 비용은 우리나라의 당사자와 상대국의 당사자 간의

사적 자치에 의해 결정될 것이다. 반면에 우리나라는 의정서 가입에 따른 유전자원 제공국으로서의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외국 기업의 우리 유전자원이용에 따른 전통지식을 포함한 로열티 이익과

국내 유전자원을 이용한 라이센싱 수익 발생 등이다. 그 외 의정서의 발효 이후, 유전자원의 접근 및

 이익 공유에 관한 소송 또는 특허 취소 소송과 규제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사회·경제적 편익을 고려할 때,

의정서 가입과 미가입에 따라 우리나라 바이오산업에 미치는 경제적인 영향 차이는 크지 않을것으로 보인다.

초록



Analysis of the economic impact on Korean bioindustry companies was approached after Korea access

 to the Nagoya Protocol on Access to Genetic Resources and the Fair and Equitable Sharing

of Benefits Arising from their Utilization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hereinafter `
`the Protocol``) enters into force. Cost analysis of the economic impact is based on the size of bioindustry

market, dependency ratio on genetic resources abroad, ABS (Access and Benefit Sharing) ratio fo

r royalty ratio. Korean bioindustry companies would have had to pay extra ABS cost around 1.3-6.0

  billion won for using genetic resources abroad, if the Protocol had entered into force in 2009.

And this cost is estimated to be around 13.6 - 63.9 billion won in 2015. All ABS costs account only

about less than 0.01% of total Korean bioindustry volume of target years. These show us that

 joining the Protocol will not significantly impact the bioindustry market in Korea. If the Protocol

enters into force, genetic resources users have to pay PIC (Prior Informed Consent) and MAT

(Mutually Agreed Terms) cost before accessing the genetic resources outside of their country,

regardless of the accession status of the country. This ABS costs and terms on provided genetic

resources will be determined by compliance between genetic resources users and providers.

As a genetic resources provider, Korean bioindustry companies will have advantage over technology

transfer agreements, royalties, licensing agreements, and taxes on profits from patents including

 traditional knowledge. Also, Korean bioindustry companies are expected to get various

  socio-economic benefits such as patent litigation and regulatory proceedings as a genetic resources

 provider. Considering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 Protocol that Korean bioindustry

companies will face together, the socio-economic impact of the Nagoya Protocol on Korean

 bioindustry companies is negligible regardless of the accession status of Korea to the Nagoya Protocol.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89 15 유전학 Structured Development and Promotion of a Research Field: Hormesis in Biology, Toxicology, and Environmental Regulatory Science 2015  115
88 15 유전학 나고야의정서에 관한 영국 이행입법의 법적 검토/김두수 2015  115
87 15 유전학 단일 기관에서 경험한 한국인 유전성 대사질환 환자의 돌연변이 분석 / 우혜인 2012  114
86 15 유전학 실험실 종사자들의 유전자변형생물체(LMO) 관리에 대한 인식도와 실천도/황정은 2018  114
85 15 유전학 인간유전학의 몇 가지 주제에 관한 윤리신학적 고찰 : 우생학, 인간 게놈 지도, 유전자 진단 및 치료 등의 유전자 개입을 중심으로 / 이동익 2003  112
84 15 유전학 인간 유전체에 존재하는 크리스퍼 유전자가위의 비표적 염기서열 분석 방법 / 엄숭호 2015  110
83 15 유전학 유전체 시대의 유전정보 보호와 공유를 위한 개인정보 보호법제의 고찰/이원복 2018  110
82 15 유전학 산전검사 대상 질환에 대한 법적 규제의 문제점에 대한 고찰 / 최지영 2007  108
81 15 유전학 미국의 유전자 프라이버시 및 유전자 정보 이용과 관련된 법률 분석 및 맞춤의학에의 시사점 / 신승남 2009  107
80 15 유전학 대규모 유전체연구에서의 프라이버시 이슈 / 조은희 2018  106
79 15 유전학 유전정보 이용을 둘러싼 사회적 쟁점 연구 / 이영희 2003  105
78 15 유전학 유전자가위의 개발과 활용 / 김석중 2018  105
77 15 유전학 유전체 편집에 대한 윤리적 판단의 기초 연구 / 최진일 2019  105
76 15 유전학 "과학의 승리"는 어떻게 선언될 수 있는가? 친자 확인을 위한 혈액형 검사가 법원으로 들어갔던 과정 / 김효민 2019  105
75 15 유전학 [과학동아 다시 읽기] 유전자 조작 어떻게 바라볼까 / 김재현 2010  103
74 15 유전학 `옥자`와 바이오산업… 육식의 종말은 가능할까? : 반려동물로 변신한 유전자 변형 `슈퍼돼지` / 고영민 2017  103
73 15 유전학 인간 존엄성의 실현을 위한 인간 게놈 프로젝트에 대한 연구 / 송우진 2002  103
72 15 유전학 지식기반 유전자정보 분석시스템 개발 및 활용 / 구교찬 2011  102
71 15 유전학 유전자의 이용과 형법 / 임석원 2016  101
70 15 유전학 유전체분석용 슈퍼컴퓨팅 시스템 기술 / 우영춘 외 2016  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