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69
발행년 : 2012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環境法 硏究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99606475 
제목연구논문 : 나고야의정서 국내이행에 관한 의무준수 및 점검기관 설치에 대한 소고
영문명Articles : A Study on the Compliance Mechanism and Designation of the Checkpoints in Implementing the Nagoya Protocol
저자오선영 ( Sun Young Oh )
학술지명環境法 硏究
권호사항Vol.34No.3[2012] 
발행처한국환경법학회
자료유형학술저널
수록면299-323
언어Korean
발행년도2012
KDC368
주제어


나고야의정서,유전자원 이용국,사전통보승인,상호합의조건,의무준수,점검기관,Nagoya Protocol,Users of Genetic Resources,Prior Informed Consent,Mutually Agreed Terms,Compliance,Checkpoints

초록



생물다양성협약의 주요 목적인 생물유전자원의 이용으로부터 발생한 이익에 대한 공평한 공유를 실현하기 위하여 2010년 10월 일본 나고야에서 “유전자원 접근 및 이익공유에 관한 나고야의정서(이하, 나고야의정서)”가 채택되었다. 나고야의정서는 유전자원 접근 (Access obligation), 이익공유(Benefit-sharing), 의무준수(Compliance)를 세 가지 주요 의무로 규정하고 있으며 유전자원을 포함하여 이와 연관된 전통지식(traditional knowledge associated with genetic resources)의 이용에 대한 접근 및 이익공유를 위해 사전통보승인(prior informed consent, PIC)과 사용이익을 공유하기 위한 계약, 즉 상호합의조건(mutually agreed terms, MAT)의 체결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나고야의정서 자체에 불명확한 내용들이 많고 주요조항들의 모호함으로 인하여 유전자원 제공국들과 이용국들 사이의 해석차이가 크고 이로 인해 당사국간의 이행에 향후 적지 않은 갈등이 예상된다. 특히, 유전자원이 풍부하지 않은 우리나라의 경우 해외로부터 유전자원을 도입하여 이용하는 국내 관련 기업이나 연구기관이 많기 때문에 의정서 채택에 따른 추가적인 경제적 부담 및 피해가 예상되어 철저한 준비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의무준수” 및 “점검기관의 설치” 의무에 대한 관련 조문을 분석하여 우리나라의 국내입법 및 규제조치가 국제법규에 순응하고 더불어 국가의 이익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의무준수의 대상범위 및 이행방법에 대한 논의와 함께 점검기관의 설치 방향에 대한 논의를 중점적으로 서술하였다. 유전자원이 이용되고 있는 관할권의 당사국(유전자원 이용국)은 그러한 유전자원 이용을 위한 PIC 취득과 MAT 체결이 유효하게 이루어 졌음을 확인하는 수준의 적절하고 효과적이며 비례적인 입법, 행정 또는 정책조치를 취하면 된다. 이러한 의무준수를 이행하기 위한 방법은 모니터링을 효과적으로 운영하면 되는데, 우리나라의 경우, 해외자원에 접근하여 이를 국내에서 이용하고자 하는 자국민, 기업 또는 연구기관에 모니터링 이상으로 정부가 개입하는 것은 불필요하며. 해외 유전자원의 이용을 적극 권장하기 위해서라도 정부의 간섭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이는 점검기관의 설치와도 깊은 연관이 있다. 점검기관은 해외 유전자원에 접근하여 이를 국내에 들여와 이용하는 자국민, 기업 또는 연구기관과 유전자원 제공자의 PIC 취득과 MAT 체결 이행 문제를 다루고 있다. 유전자원이 풍부하지 않은 우리나라의 경우 나고야의정서 채택에 따른 추가적인 경제적 부담 및 피해가 예상되어 철저한 준비가 시급한 상황이며 이에 점검기관의 역할을 축소 시킬 필요가 있다. 사인간의 계약을 국가가 보장할 필요가 없고, 유전자원 이용을 권장하기 위해서는 점검기관이 반드시 모니터링해야 하는 내용을 최소한으로 확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초록



Convention on Biodiversity has three main objectives. They are, the conservation of biological diversity, the sustainable use of the components of biological diversity, and the fair and equitable sharing of the benefits arising out of the utilization of genetic resources. In order to fulfil the last one, the Nagoya Protocol on Access to Genetic Resources and the Fair and Equitable Sharing of Benefits Arising from their Utilization (“Nagoya Protocol”)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was adopted at the Tenth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COP)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on October 29, 2010. The Nagoya Protocol requires potential users of genetic resources obtain the prior informed consent (PIC) of the country in which the genetic resource is located before accessing the resource, and negotiate and agreeing on the terms and conditions of access and use of this resource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mutually agreed terms (MAT). However, terms used in the Nagoya Protocol are ambiguous enough, and thus, they brought a discrepancy in interpretation between the Parties. In addition, Korea is one of important genetic resources user countries, we have to prepare for access to genetic resources in other countries and benefit-sharing with them. In this paper, among core obligations for the domestic implementation of the Nagoya protocol, issues of “compliance” and “checkpoints designation” were discussed. The Parties in which genetic resources are utilized have to implement and enforce measures to ensure that users within its jurisdiction have followed a PIC and MAT, as required by the access and benefit-sharing legislation of the provider country. However, The Parties just need to take “appropriate, effective, and proportionate” measures that best suits our society is needed as a user country. Monitoring compliance with the Nagoya Protocol is closely related to the designation of the checkpoint. The Parties have to designate one more checkpoints in order to monitoring the genetic resources utilization, but the Nagoya Protocol itself gives discretion to the Parties how to designate and operate the checkpoint. In order to conform to the objectives of the Nagoya Protocol and to protect domestic users` benefit who utilize the genetic resources from the provider country, we have to minimize the role of checkpoint. It is because that the monitoring does not mean surveillance, bur rather regular checking about the genetic resources utilization, and the government does not have to guarantee the contracts between the privates.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89 15 유전학 Structured Development and Promotion of a Research Field: Hormesis in Biology, Toxicology, and Environmental Regulatory Science 2015  115
88 15 유전학 나고야의정서에 관한 영국 이행입법의 법적 검토/김두수 2015  115
87 15 유전학 단일 기관에서 경험한 한국인 유전성 대사질환 환자의 돌연변이 분석 / 우혜인 2012  114
86 15 유전학 실험실 종사자들의 유전자변형생물체(LMO) 관리에 대한 인식도와 실천도/황정은 2018  114
85 15 유전학 인간유전학의 몇 가지 주제에 관한 윤리신학적 고찰 : 우생학, 인간 게놈 지도, 유전자 진단 및 치료 등의 유전자 개입을 중심으로 / 이동익 2003  112
84 15 유전학 인간 유전체에 존재하는 크리스퍼 유전자가위의 비표적 염기서열 분석 방법 / 엄숭호 2015  110
83 15 유전학 유전체 시대의 유전정보 보호와 공유를 위한 개인정보 보호법제의 고찰/이원복 2018  110
82 15 유전학 산전검사 대상 질환에 대한 법적 규제의 문제점에 대한 고찰 / 최지영 2007  108
81 15 유전학 미국의 유전자 프라이버시 및 유전자 정보 이용과 관련된 법률 분석 및 맞춤의학에의 시사점 / 신승남 2009  107
80 15 유전학 대규모 유전체연구에서의 프라이버시 이슈 / 조은희 2018  106
79 15 유전학 유전정보 이용을 둘러싼 사회적 쟁점 연구 / 이영희 2003  105
78 15 유전학 유전자가위의 개발과 활용 / 김석중 2018  105
77 15 유전학 유전체 편집에 대한 윤리적 판단의 기초 연구 / 최진일 2019  105
76 15 유전학 "과학의 승리"는 어떻게 선언될 수 있는가? 친자 확인을 위한 혈액형 검사가 법원으로 들어갔던 과정 / 김효민 2019  105
75 15 유전학 [과학동아 다시 읽기] 유전자 조작 어떻게 바라볼까 / 김재현 2010  103
74 15 유전학 `옥자`와 바이오산업… 육식의 종말은 가능할까? : 반려동물로 변신한 유전자 변형 `슈퍼돼지` / 고영민 2017  103
73 15 유전학 인간 존엄성의 실현을 위한 인간 게놈 프로젝트에 대한 연구 / 송우진 2002  103
72 15 유전학 지식기반 유전자정보 분석시스템 개발 및 활용 / 구교찬 2011  102
71 15 유전학 유전자의 이용과 형법 / 임석원 2016  101
70 15 유전학 유전체분석용 슈퍼컴퓨팅 시스템 기술 / 우영춘 외 2016  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