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69
발행년 : 2019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美國憲法硏究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6174819 
유전자편집기술에 관한 미국의 입법동향과 시사점
= US Legislative Trends and Implications for Gene Editing Technology

  • 저자[authors] 장인호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美國憲法硏究
  • 권호사항[Volume/Issue] Vol.30No.1[2019]
  • 발행처[publisher] 미국헌법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213-242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9
다국어 초록[Multilingual Abstract] 
In the United States, genetic editing technology has been developed, and studies that only stayed on the interpretation of genes have developed to the point where they can edit or transform genes. The United States, a leading country in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gene editing technology, has been developing its agricultural and livestock industries by developing and mass-producing and exporting crops with high pesticide-resistance and high productivity using gene editing technology. The United States also focuses on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new drugs in the fields of medicine and medicine using gene editing technology.  In this situatio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warns of the danger of genetic editing technology. Especially, it is essential to secure the unexpected risks that may arise due to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such as genetically modified grains, And that there is a need to do so. Most of all, there is a growing controversy over the use and regulation of gene editing technology, and the legislative trends in the legal aspects related to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gene editing technology in the United States suggest that the use and regulation of genetic editing technology Bi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current state of how the US, which is leading the gene editing technology, is responding to securing the safety of genetic editing technology required by the international society, and legislative trends related to the legal system. For this purpose, this study will examine the legislative trends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legislative realities and problems in Korea, and consider the points to consider in using or regulating gene editing technology in Korea.  In the future, we will examine the desirable direction of institutional devices that can guarantee the safety of consumers and the trust of consumers in products that have been researched and developed using genetic editing technology in Korea in the future by safe and continuous use or regulation of gene editing technology.
국문 초록[abstracts] 
미국에서 유전자편집기술이 개발되면서 유전자의 해석에만 머물렀던 연구가 유전자를 편집 즉 변형시킬 수 있는 수준으로 발전하였다. 유전자편집기술 연구・개발에 있어 선도국인 미국은 유전자편집기술을 이용해 병충해에 강한 작물, 생산성이 높은 곡물 등을 개발하고 대량으로 생산・수출함으로써 자국의 농업・축산업 등 발전을 도모해왔다. 또한 미국은 유전자편집기술을 이용해 약학 분야와 의학 분야에서 신약개발・신종장기 등 새로운 연구・개발에도 집중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제사회는 유전자편집기술의 위험성을 경고하고 있으며, 특히 유전자편집곡물・유전자편집가축 등과 같은 유전자가 조작된 유전자편집생명체들로 인하여 혹시 발생할 수 있는 예상치 못한 위험성에 대한 안전성이 필수적으로 담보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무엇보다 유전자편집기술의 이용과 규제에 대한 논란이 점증하는 상황에서 유전자편집선도국인 미국이 유전자편집기술 연구・개발 등과 관련된 법제도적 측면에서 취하고 있는 입법적 동향은 우리나라에서 유전자편집기술의 이용과 규제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따라서 유전자편집기술을 선도하고 있는 미국이 국제사회에서 요구하는 유전자편집기술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지에 대한 현황과 법제도적 장치와 관련된 입법동향을 구체적으로 분석・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유전자편집기술에 관한 미국의 입법동향과 우리나라 입법실태와 문제점을 살펴보고 우리나라에서 앞으로 유전자편집기술을 이용 또는 규제하는데 있어 고려해야할 사항을 살펴보겠다. 이를 통해 앞으로 우리나라에서 유전자편집기술이 적절하게 법제도적으로 규제됨으로써 유전자편집기술이 이용돼 연구・개발된 생산물에 대한 안전성이 담보되고 인간존엄성・생명권・환경권 등 헌법적 가치가 침해되지 않는 바람직한 방향을 검토하고자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369 15 유전학 나고야의정서가 전통지식보호에 미치는 영향과 그 대응책 -한의약에 관한 전통지식을 중심으로-/고광국 2013  4350
368 15 유전학 유전자 검사와 치료에 대한 윤리적 문제 고찰 / 박태정 2006  4284
367 15 유전학 유전자 편집 기술의 윤리·법·사회 문제 해결방안 / 이수빈 2019  4174
366 15 유전학 생명공학 시대의 유전자 조작 기술과 인간중심주의 비판 / 김광연 2016  3761
365 15 유전학 GMO의 윤리적 문제 / 이종원 2014  2575
364 15 유전학 갈락토스혈증의 신생아 선별검사 후 진단 알고리즘 / 손영배 2015  2515
363 15 유전학 유전자 조작 생물(GMO)에 대한 초,중,고 학생들의 인식 조사 / 이혜정, 이진경, 민윤숙, 최진영, 심규철 2010  2345
362 15 유전학 [번역문] 유전자 형질변환 식품의 실험에 대한 철학적 견해 / Andrew Woodfield 2015  2313
361 15 유전학 유전자가위를 이용한 유전자교정 및 유전자치료 / 김형범, 김희권 2015  2062
360 15 유전학 형사절차상 유전자정보의 획득 및 이용에 관한 연구 / 이정념 2009  1584
359 15 유전학 생명공학적 인공배아와 인체유래물의 민법상 지위 / 유지홍, 강태성 2013  1321
358 15 유전학 LMO의 최근 동향과 문제점/문상혁 2011  1238
357 15 유전학 人體(인체)와 그 부분의 私法的(사법적) 地位(지위) -대법원 2008.11.20. 선고 2007다27670 판결 평석을 겸하여 / 성중모 2013  1167
356 15 유전학 독일에서의 유전자정보 활용에 관한 입법 동향 및 최근의 논의 · 그 시사점 : 유전자정보 활용 대상범위의 측면에서 / 이정념 2014  1150
355 15 유전학 형사법상 유전자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연구 / 김낙현 2013  1137
354 15 유전학 유전자 편집 기술의 메타모포시스 / 김광연 2019  1118
» 15 유전학 유전자편집기술에 관한 미국의 입법동향과 시사점 / 장인호 2019  1037
352 15 유전학 유전자검사에 관한 규제 현황과 미비점에 관한 고찰 / 백수진 2014  1034
351 15 유전학 인간게놈연구의 문제점과 발전방향 / 김용성 2003  1022
350 15 유전학 현대 키메라(Chimera)'의 학제적 접근을 위한 고찰 / 김인경, 장매희 2012  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