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69
발행년 : 2019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인간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6037034 
유전체 편집에 대한 윤리적 판단의 기초 연구 
= A Study of the Foundation for Ethical Judgements of the Genome Editing

  • 저자[authors] 최진일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인간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No.38[2019]
  • 발행처[publisher] 가톨릭대학교 인간학연구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95-138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9

다국어 초록[Multilingual Abstract] 
Clustered regulatory interspaced short palindromic repeats-Cas9(CRISPR/ Cas9) has revolutionized genome editing technology. Genome editing researches on the human embryo that was theoretically possible in the past could also be realized through this technology. This paper examines the safety of genome editing technology and its ethical issues in using of the technology. The range of application of this technology is enormous, and the research scope is limited to genome editing studies targeting human embryos for the aim of therapy. I criticize the attitude of solving the ethical problem of genome editing mainly throug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This is because there are problems of bioethics that cannot be solved even if stability is secured due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I will also criticize the hasty debate on the ethical issues of genome editing, which are disconnected from the past, to bring it into the paradigm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examine its limitations. In conclusion, it emphasizes that the foundation of ethical judgment on the act of interven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genome editing) applied to human life should be established on the truth about human.


다국어 초록[Multilingual Abstract] 
Clustered regulatory interspaced short palindromic repeat-Cas9(CRISPR/ Cas9, 크리스퍼-카스9)는 유전체 편집 기술에 획기적인 전환을 가져왔다. 과거 이론적으로 가능했던 배아를 대상으로 하는 유전체 편집 연구도, 이 기술을 통해 실현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논문은 유전체 편집 기술의 안전성과 그 기술 활용 행위에 대한 윤리적 쟁점을 고찰한다. 이 기술의 활용 범위가 방대함으로, 연구 범위를 치료 목적의 배아를 대상으로 하는 유전체 편집 연구로 제한한다. 필자는 유전체 편집에 대한 윤리적 문제를 기술의 발전을 통해서 주로 해결하려는 태도를 비판한다. 기술의 발전으로 안정성이 확보되더라도 해결하지 못할 생명윤리의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유전체 편집에 대한 윤리적 쟁점을 과거와 단절된 채, 제4차 산업혁명이라는 패러다임 안으로 끌어들이려는 성급한 논의에 대해 비판하면서, 그 한계가 무엇인지 또한 살펴본다. 결론적으로 인간 생명에게 적용되는 과학기술의 개입 행위(유전체 편집)에 대한 윤리적 판단의 기초는 인간의 진리 위에서 정립해야 함을 강조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309 15 유전학 인간 유전체 연구의 프라이버시 문제와 그 위험성에 관한 철학적 고찰 / 허유선, 정창록 2017  97
308 15 유전학 유전자 편집기술인 CRISPR-Cas9의 특허 가능성 / 박인회 2018  97
307 15 유전학 유전자원 및 전통지식에 관한 WIPO에서의 논의와 우리의 대응방안 / 곽충목 2017  98
306 15 유전학 독일 유전자검사법의 규율 구조 이해 - 의료 목적 유전자검사의 문제를 중심으로 - / 김나경 2016  98
305 15 유전학 유전체분석용 슈퍼컴퓨팅 시스템 기술 / 우영춘 외 2016  99
304 15 유전학 신경줄기세포에서 유전자 도입 효율 최적화 / 김우석 2013  99
303 15 유전학 생명윤리법상 유전자검사의 허용기준에 관한 법적 논의 / 황만성 2016  99
302 15 유전학 인간배아 및 인간생식세포에 대한 유전자 교정 기술의 적용여부를 둘러싼 정당성 논쟁 / 정창록 외 2018  99
301 15 유전학 바이오경제 시대에 대응한 생명공학 육성 법제 정비방안 / 윤종민 2018  99
300 15 유전학 유전자의 이용과 형법 / 임석원 2016  101
299 15 유전학 지식기반 유전자정보 분석시스템 개발 및 활용 / 구교찬 2011  102
298 15 유전학 [과학동아 다시 읽기] 유전자 조작 어떻게 바라볼까 / 김재현 2010  103
297 15 유전학 유전정보의 상업적 이용과 개인정보 보호/이준형 2017  103
296 15 유전학 `옥자`와 바이오산업… 육식의 종말은 가능할까? : 반려동물로 변신한 유전자 변형 `슈퍼돼지` / 고영민 2017  103
295 15 유전학 인간 존엄성의 실현을 위한 인간 게놈 프로젝트에 대한 연구 / 송우진 2002  103
294 15 유전학 유전자가위의 개발과 활용 / 김석중 2018  105
» 15 유전학 유전체 편집에 대한 윤리적 판단의 기초 연구 / 최진일 2019  105
292 15 유전학 "과학의 승리"는 어떻게 선언될 수 있는가? 친자 확인을 위한 혈액형 검사가 법원으로 들어갔던 과정 / 김효민 2019  105
291 15 유전학 유전정보 이용을 둘러싼 사회적 쟁점 연구 / 이영희 2003  106
290 15 유전학 대규모 유전체연구에서의 프라이버시 이슈 / 조은희 2018  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