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69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생명, 윤리와 정책 
관련링크 : http://www.dbpia.co.kr/Article/NODE07547976 
유전자 편집 기술의 응용과 인간 배아의 14일 연구 규정 

= Scientific Application on Genome Editing Technology and the 14-day Rule of Human Embryo

  • 저자[authors] 김한나(Hannah Kim)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생명, 윤리와 정책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No.2[2018]
  • 발행처[publisher] 국가생명윤리정책원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47-64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14일 규정,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인간 배아,유전자 편집,인간 배아 체외 배양연구,오가노이드 연구,14-day Rule,Bioethics and Safety Act,Human Embryo,Genome Editing,Self-organization of Human Embryo in vitro,Organoid Research

초록[abstracts] 
[우리나라는 2004년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의 제정 이후로 인간 배아 연구를 원시선 형성 이전까지만 연구한다는 기본 원칙, 즉 “14일 규정”을 도입해왔다. 그런데 최근 들어 유전자 편집 기술을 적용한 인간 배아 연구와 연계된 광범위한 과학적 성과를 통하여 이 규정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윤리적, 법적 논의가 활발하다. 유전자 편집 기술 자체의 진보 뿐 아니라 인간 배아의 체외 배양에 대한 연구, 동물 배아 및 인간 줄기세포의 혼합 연구와 관련된 유전자 편집 연구, 인간 오가노이드 연구는 기존의 “14일 규정”의 논리를 반박하는 근거를 제시한다. 이 논문은 “14일 규정”과 유전자 편집 기술이 응용되는 다양한 과학 분야의 발전을 고찰하고, 과학적 성과로 인하여 기존 규정에 제기되는 쟁점을 분석하며, 향후 해당 제도를 개선하기 위하여 고려해야 할 사항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Bioethics and Safety Act have adopted the “14-day rule” which refers to the basic research principle to limit human embryo research before appearing primitive streak since 2004. However, current broader scientific achievements regarding human genome editing research have re-emerged active discussion for the “14-day rule.” In particular, research on self-organization of human embryo in vitro, genome editing research regarding the animal or chimeric embryo, human organoid research and human organoid research shows evidences that justifies to extend the “14-day rule.” This article explores recent ethical and legal issues between scientific application on genome editing technology and the “14-day rule” and suggests possible considerations to discuss the revision of the “14-day rule” in the Bioethics and Safety Act for further studies.]

목차[Table of content] 
요약  I. 서론  II. 인간 배아의 14일 연구 규정  III. 유전자 편집 기술의 응용  IV. 과학적 성과에 따른 “14일 규정” 고찰  V. “14일 규정”에 대한 향후 논의 방향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09 15 유전학 체육철학 : 유전자도핑과 생명윤리 -스포츠를 중심으로- / 이문성 2014  447
308 15 유전학 산전 유전자 검사 / 한유정 외 2011  437
» 15 유전학 유전자 편집 기술의 응용과 인간 배아의 14일 연구 규정 / 김한나 2018  437
306 15 유전학 전장 유전체 연관 분석을 위한 통계적 방법에 관한 연구 / 윤병국 2016  436
305 15 유전학 인체유래물에 기초한 지식재산권의 한계로서의 공서양속 / 이은영 2011  432
304 15 유전학 유전자검사와 유전자치료에 관한 쟁점사항과 사회적 수용도 / 이인영 2005  430
303 15 유전학 유전체 정보의 한우 육종 모델 적용에 관한 연구 / 이승수 2013  430
302 15 유전학 생명과학기술의 또 다른 그늘 / 김상현 2014  427
301 15 유전학 유전자 변형식품에 대한 고객인식과 구매의도 관계에서 지각위험 조절효과 분석 / 유영애, 우성근, 권기완 2014  427
300 15 유전학 연구논단 : DNA데이터베이스와 프라이버시권: 사회안전과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중심으로 / 김혜경 2014  419
299 15 유전학 유전자가위를 이용한 유전자 적중 Mouse 제작 기술의 개발 / 전지선 2014  419
298 15 유전학 유전자조작 기술과 스포츠윤리 쟁점 연구 / 박성주 2018  418
297 15 유전학 특허법 관점에서 본 주요한 제 3세대 유전자 가위(CRISPR/Cas9) 기술의 비교 및 특허 분쟁 분석 / 김승지 2018  406
296 15 유전학 후생동물의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데이터베이스(Mitome) 구축 및 유용성 검증 / 이용석 2009  405
295 15 유전학 유전자치료연구에 대한 미국 국립보건원(NIH)의 규제 고찰/박수헌 2015  401
294 15 유전학 연속적인 체세포핵치환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복제돼지에서의 미토콘드리아 유전자의 유전 / Minhwa Do 2012  399
293 15 유전학 그룹 구조를 갖는 고차원 유전체 자료 분석을 위한네트워크 기반의 규제화 방법 / 김기풍 외 2016  399
292 15 유전학 임상유전학의 우생정치 이념 비판 : 우생학과 자녀교육론 / 이을상 2014  397
291 15 유전학 유전자재조합식품 표시제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 이은영 2001  395
290 15 유전학 인간 내성 리트로 바이러스(HERV)와 인간 면역 결핍 바이러스(HIV)의 상관관계 / 옥미선 외 2015  3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