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69
발행년 : 201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박사)-- 충북대학교 : 의학과(원) 생화학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909780 
인간배아줄기세포에서 조혈모세포로의 분화법 개발 

= Establishment of a method to differentiate human embryonic stem cells into hematopoietic stem cells

  • 저자[authors] 김소정
  • 발행사항 청주 : 충북대학교, 2018
  • 형태사항[Description] 78 ; 26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김응국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박사)-- 충북대학교 : 의학과(원) 생화학 2018. 8
  • 발행국(발행지)[Country] 충청북도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 배아줄기 줄기세포,조혈모 세포,제노 -프리 분화법,Embryonic stem cell,Hematopoietic stem cell,Xeno-free culture method
  • 소장기관[Holding] 충북대학교 도서관 (243009)
  • UCI식별코드 I804:43009-000000051075

초록[abstracts] 
Embryonic stem cells (ESCs) are undifferentiated cells that have the potential to self-renew and differentiate into multiple cell types. ESCs are thus considered a useful source of cells for regenerative medicine, drug screening and toxicity testing, developmental studies, disease modeling, and clinical therapeutics. Several differentiation methods to differentiate ESCs into hematopoietic stem cells (HSCs) have been developed, but they do not meet the requirements for clinical application. First, contamination of the differentiated human stem cells with mouse-derived stromal cells or animal-derived components from the differentiation medium can occur. Moreover, it is difficult to deliver cytokines evenly to the embryonic body because of its three-dimensional structure. Here, I sought to establish a clinically applicable method to differentiate ESCs into HSCs. I set up three distinct media conditions for differentiation of ESCs: MIM-1(Mesodermal induction medium-1) culture medium, in which fetal bovine serum and mouse-derived stromal cells were replaced by a knockout serum and an extracellular matrix, respectively; MIM-2(Mesodermal induction medium-2) culture medium, whose constituents included essential cytokines for mesodermal differentiation plus MIM-1 medium; and MIM-3(Mesodermal induction medium-3) culture medium, whose constituents included those of the MIM-2 medium minus the knockout serum substitute. MIM-1, MIM-2, and MIM-3 all exhibited a potential to differentiate ESCs into HSCs, and further into various hematopoietic cells as assayed by a colony formation test. MIM-3 had greater potential than MIM-1 and MIM-2 for the induction of mesoderm differentiation as detected by lower expression of the Oct4 gene and higher expression of mesoderm-related genes, such as Brachyury and Wnt3A. In general, the expression levels of Oct4, Nanog, and Brachyury decreased in a time-dependent manner during longer culture of HSCs in these media. MIM-3 also induced KDR, a marker for late mesodermal cells, and increased the population of CD34+ and CD45+ HSCs to a greater extent than did MIM-1 and MIM-2. In this thesis, I have successfully established a distinct xeno-free culture method to differentiate ESCs into HSCs by testing three different methods. This method excluded contamination by animal-derived substances for clinical application, but, its low differentiation efficiency remains to be improved.

초록[abstracts] 
배아줄기세포는 세포배양조건에서 무한히 자가복제 할 수 있고, 조혈모세포를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배아줄기세포는 조혈모세포의 생산을 위한 세포원천으로 여겨지고 있다. 따라서, 현재 배아줄기세포로부터 조혈모세포를 만들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지만, 세포치료제로 임상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기존에 알려진 조혈모세포 분화법은 줄기세포를 마우스 유래 기질세포와 함께 배양하거나, 동물 유래성분을 포함하는 배지를 사용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배아체를 이용한 분화유도 방법은 배아체의 입체적인 구조로 인해 사이토카인의 균일한 전달이 어렵다. 이러한 조혈모세포 분화법의문제점들은 분화 및 임상에 적용 시 반드시 개선되어야만 한다. 본 연구의 목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함으로서 임상에 적용 가능한 조혈모세포로의 분화법을 개발하는 것이다. 일차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조혈모세포를 분화하는데 가장 중요한 중배엽 분화단계에서 세 가지 다른 조성의 분화조건, 즉 배지조성과 처리기간에 따른 차이를 검증하였다. 중배엽유도배지-1 (Mesodermal induction medium-1; MIM-1)은 기존에 알려진 분화조건에서 소태아혈청과, 마우스 유래 기질세포를 제외한 조성으로, 소태아혈청 대신 녹아웃혈청대체제, 마우스 유래 기질세포 대신 세포외기질(extracellular matrix)을 사용하였다. 중배엽유도배지-2 (Mesodermal induction medium-2; MIM-2)는 중배엽유도배지-1에서 중배엽 분화에 필수적인 사이토카인 외에는 첨가하지 않은 조건이다. 마지막으로 중배엽유도배지-3 (Mesodermal induction medium-3; MIM-3)는 중배엽유도배지-2 에서 녹아웃 혈청 대체제를 첨가하지 않은 조건이다. 세 가지 조건의 분화배지로 중배엽 분화를 유도했을 때, MIM-3의 Oct4 유전자(미분화 관련유전자)의 발현이 MIM-1과 MIM-2에 비해 낮았고, Brachyury, Wnt3A 유전자(중배엽 관련유전자)의 발현이 MIM-1과 MIM-2에 비해 높았다. 또한 MIM-3의 중배엽 관련 유전자는 7일보다 4일째 더 높았다. 4일 동안 세 가지 조건의 배지로 중배엽 분화를 유도했을 때, 대조군인 H9세포에 비해 Oct4의 발현은 낮고, Brachyury의 발현은 높게 나타나는 것을 면역세포화학염색 결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4일 동안 세 가지 조건의 중배엽 분화배지로 분화한 세포를,조혈모세포 분화배지로 7일 더 분화를 진행하였다. 조혈모세포 유도단계에서 Oct4와 Nanog 그리고 Brachyury는 시간-의존적으로 줄어들었다. 4일 동안 중배엽 유도배지로 분화한 세포를 중배엽 후기와 조혈모세포 관련 표지인자인 KDR을 유세포분석기로 확인해 봤을 때, MIM-1과 MIM-2보다 MIM-3에서 더 높게 발현되었다. 조혈모세포로 유도한 세포에서, 초기 조혈모세포가 증식할 때 나타나는 인자인 HoxB4를 관찰했을 때, HoxB4는 MIM-2에서는 4일보다 7일째 더 높게 발현되었고, MIM-3에서는 7일보다 4일 때, 더 높게 발현되었다. 또한, 유세포분석기로 혈관형성전구체와 혈구조혈전구체 표지인자인 CD34과 CD43, 그리고 조혈모세포의 표지인자인 CD34와 CD45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MIM-1과 MIM-2에 비해 MIM-3에서 CD34와 CD43 양성세포와 CD34와 CD45 양성세포의 비율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세 가지 조건으로 분화를 유도한 세포가 조혈능을 가지는지 확인하기 위해, 총 14일간 분화를 유도한 세포 중 CD34 양성세포만 수거하여 콜로니 형성 시험을 진행하였다. 콜로니 형성 시험 결과, 세 가지 조건으로 분화를 유도한 세포 모두 다양한 형태의 콜로니를 형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 콜로니를 김자 염색하여 다양한 혈구세포로 분화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인간배아줄기세포로부터 임상에 적용 가능한 조혈모세포 분화법을 확립하기위해 세 가지 조건의 배지의 분화효율을 비교하였다. 동물 유래인자를 최대한 배제하였고, 분화기간을 단축한 분화배지 조건을 확립하였으며, 분화 유도된 세포가 조혈능까지 가진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그러나 본 분화법들은 낮은 분화효율 등의 문제점을 노출하였다. 따라서 분화를 유도하는 사이토카인과 메카니즘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임상에 적용가능한 효율적 분화법이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89 15 유전학 커먼룰과 보관된 인체유래물에 관한 제공자의 권리 / 박수헌 2012  383
288 15 유전학 수혈을 받은 변사자에서의 혼합 DNA 프로필 검출사례 / 정주연 외 2015  383
287 15 유전학 유전자 가위를 이용한 Rh 혈액형 변환 / 김영훈 2014  380
286 15 유전학 인간 게놈 프로젝트에 대한 대학생들의 이해 / 이양숙 2003  378
285 15 유전학 유전적 연관 및 유전자-유전자간 상호작용 분석 / 정지원 2011  378
284 15 유전학 영화 가타카(GATTACA)가 현실로! 맞춤형 아기 시대의 도래 / 박보야나 2015  377
283 15 유전학 생물다양성협약과 부속의정서에서의 정보공유체계 비교 연구 -나고야의정서 ABS Clearing House를 중심으로-/류예리 2015  374
282 15 유전학 정신질환의 유전학적 연구 : 정량적 유전학의 기본 개념과 방법론 / 주은정 2000  374
281 15 유전학 바이오뱅크 연구에서 포괄적 동의 / 이상목 2012  371
280 15 유전학 새로운 유전체 편집용 유전자 가위, 크리스퍼 (CRISPR/Cas9 system) / 권순일 2015  371
» 15 유전학 인간배아줄기세포에서 조혈모세포로의 분화법 개발 / 김소정 2018  370
278 15 유전학 국제 공공재의 특징을 갖는 유전체 의료 / 김한나 외 2016  369
277 15 유전학 유전자 가위 기술의 사회적 영향과 법제도 운영 방안에 대한 고찰 : 빅데이터 분석과 전문가 인터뷰 결과를 중심으로 / 김성은 2016  368
276 15 유전학 인간 tyrosine hydroxylase 유전자의 조절 기작 / 권정준 2011  365
275 15 유전학 유전자 조작과 생명윤리<세상의 생명을 위하여> / 이향만 2018  364
274 15 유전학 인체유래물질의 재산권의 허용범위와 그 이용을 위한 관련법규의 정비방안 / 이정현, 박인걸 2010  357
273 15 유전학 법과학적 활용을 위한 식물 유전자검사 시험법 연구 / 한시내 외 2016  354
272 15 유전학 위험소통을 통한 신뢰가 위험인식에 미치는 효과 : 유전자조작기술, 나노기술, 체세포복제기술에 대한 전문가그룹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 김찬원, 송해룡, 김원제 2015  353
271 15 유전학 자궁 및 태반에서 칼슘이온 수송 유전자의 조절 기전 / 양현 2014  352
270 15 유전학 과학적 증거가 있는 경우 민법 제844조의 친생추정에 대한 소고(小考) - 우리나라와 일본의 판례를 중심으로 - / 홍남희 2015  3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