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69
발행년 : 201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아주대학교 : 의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401315 
질병 감수성 예측 유전자 검사의 국내 도입과 유전상담 필요성에 대한 조사

  • 저자[authors] 정윤경
  • 발행사항 수원 : 아주대학교, 2017
  • 형태사항[Description] 38 ; 26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정선용, 김현주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석사)-- 아주대학교 : 의학과  2017. 2
  • 발행국(발행지)[Country] 경기도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7
  • 주제어 차세대염기서열분석,맞춤의료,질병 감수성 예측 유전자 검사,유전상담,설문 조사
  • 소장기관[Holding] 아주대학교 도서관 (241038)

초록[abstracts]
수많은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빠른 시간 내에 분석이 가능한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Next Generation Sequencing, NGS) 기술이 최근에는 연구분야뿐만 아니라 진단 목적의 유전자 검사와 예방 목적의 질병 감수성 예측 유전자 검사에도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유전자 분석 및 해독 기술을 기반으로 한 질병 감수성 예측 유전자 검사 서비스의 국내 현황을 파악하고 질병 감수성 예측 유전자 검사 결과를 피검자에게 전달하는 절차와 방법에 있어 유전상담의 인식 및 필요성에 대해 조사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은 질병 감수성 예측 유전자 검사 관련 부처의 보고서 등 관련 문헌 조사와 대한의학유전학회 회원, 의료계 종사자 및 관련 산업종사자 등의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온라인 및 오프라인 설문조사를 진행 하였다. 설문조사에 응한 사람은 오프라인 95명, 온라인 50명, 총 145명이었다. 유전자 검사 서비스 기관에 대한 국내 현황 조사결과, 2015년 기준 보건복지부에 신고되어 있는 유전자 검사 기관은 총 110개이나 이 중 감수성 예측 유전자 검사 서비스를 시행하는 기관은 3개 기관 뿐이며, 이는 국내에서의 질병 감수성 예측 유전자 검사는 아직 도입 초기로 보여진다. 설문조사 결과, 관련 분야 전문가들의 질병 감수성 예측 유전자 검사 서비스에 대한 인식도는 79%로 높았으며, 유전상담에 대한 필요성도 높게(90%) 나타났다. 질병 감수성 예측 유전자 검사에 대한 유전상담을 진행 할 경우 처음 상담을 진행하는 담당자로는 누가 적합한지에 대한 조사에서 전문 유전상담사 67명(46%), 임상유전학 전문의 외 의사 35명(24%), 임상유전 전문의 28명(19%), 검사 의뢰 의사 14명(10%)으로 나타나, 전문유전상담사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해당 서비스의 도입 시기에 있어서는 다소 시간이 걸릴 것이라는 의견이 많았으며(3년 내 도입 가능성 있음이28%), 이러한 결과는 전문가들로부터 질병 감수성 예측 유전자 검사 서비스에 대한 유용성이 아직 충분히 인정 받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국내 질병 감수성 예측 유전자 검사 서비스는 아직 도입 초기 단계이고, 그 유용성에 대해서는 아직 충분히 인정받고 있지 못한 반면, 해당 서비스의 도입에 대한 필요성과 그에 따른 유전상담에 대한 인식 및 필요성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국내 질병 감수성 예측 유전자 검사 서비스의 확대로 인한 유전상담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되며, 질병 감수성 예측 유전자 검사에 특화된 유전상담 가이드라인 구축과 전문 유전상담사의 양성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269 15 유전학 GMO 식품에 나타난 유전자 조작 기술의 기독교 윤리적 비판-유전자 조작 기술 시대의 자연 및 인간의 ‘수평적 동등성’ 회복을 위해 / 김광연 2017  349
268 15 유전학 인간게놈프로젝트와 환원주의 / 정상모 2000  344
267 15 유전학 크리스퍼 유전자가위와 인공유전자회로를 이용한 질병의 진단과 치료 / 이대희 외 2018  340
266 15 유전학 '혼인종료 후 300일 이내에 출생한 子'의 친생추정에 관한 연구 / 승이도 2015  339
265 15 유전학 CRISPR/Cas 지놈 편집 기술을 이용한 빠른 세대전환 유전자 조작 생쥐 생성 / 이희우, 성정준, 김혜민, 이재삼 2014  330
264 15 유전학 국제 사회에서 유전체 의료의 지적재산권 연구 / 김한나 2015  330
263 15 유전학 유전자진단정보와 보험법적 문제 / 박은경 2013  327
262 15 유전학 대장균의 항균제 내성과 독력 유전자의 분석을 활용한 융합기술연구 / 한재일 외 2015  327
261 15 유전학 현대 의학의 영생 기술과 그 신학적 성찰 - 텔로미어와 유전자 가위를 중심으로 / 김소윤, 이관표 2017  327
260 15 유전학 우리나라의 나고야의정서의 가입이 바이오산업에 미치는 경제적 영향 분석/박용하, 김준순, 최현아 2012  325
259 15 유전학 인간유전체 연구와 개인 프라이버시 보호 방안 / 정창록 2015  324
258 15 유전학 생물다양성의 보전과 나고야 의정서의 법·정책적 대응·과제/김세규 2013  323
257 15 유전학 공공정보의 이차 활용을 위한 법제도에 관한 연구 : 생체 의료정보의 이차 활용을 중심으로/ 박미정 2015  321
256 15 유전학 인간유전체에 관한 특허법적 보호범위에 관한 연구 / 김향미 2007  320
255 15 유전학 유전자 검사를 시행한 유방암 환자들의 위험요인과 심리적 상태에 관한 연구/안용희, 서연옥 2006  320
» 15 유전학 질병 감수성 예측 유전자 검사의 국내 도입과 유전상담 필요성에 대한 조사 / 정윤경 2017  320
253 15 유전학 DTC(Direct-to-Consumer) 유전자검사의 정당성 구조와 법정책 / 김나경 2018  320
252 15 유전학 임상으로부터 분리된 Candida albicans의 MLST를 통한 유전적 변이 분석 / 김희진 2016  316
251 15 유전학 유전자 편집의 윤리 / 김상득 2018  316
250 15 유전학 바이오시대의 유전정보관리통제권 / 정덕영 2009  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