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69
발행년 : 2013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생명윤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99901088 
유전자 맞춤의학(Personalized Genomic Medicine)의 사회적 함의

= Social Implications of Personalized Genomic Medicine

  • 저자[authors] 김상현(Kim Sanghyun),김한나(Kim Hannah),이일학(Lee Ilhak),김소윤(Kim Soyoon)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생명윤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4No.2[2013]
  • 발행처[publisher] 한국생명윤리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29-39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3
  • KDC[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570
  • 주제어[descriptor] 유전자 맞춤의학,생의료화,프라이버시,유전자 차별,의학의 상업화,personalized genomic medicine,biomedicalization,privacy,genetic discrimination,commercialization of medicine

초록[abstracts] 
[본 연구는 2003년 인간 지놈 프로젝트 완성이후 사회적, 학문적으로 더욱 관심을 갖게 된 유전자맞춤의학이 어떤 사회적 함의(social implications)를 갖고 있는지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유전자 맞춤의학의 사회적․이론적 배경(생의료화 이론), 정의와 명암을 살펴본 후, 기존의 유전자 맞춤의학에 대한 국민 인식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6가지 사회적 함의(과학기술에 대한 신뢰, 유전자 맞춤의학의 보건학적 의미, 프라이버시로서 개인정보보호, 사회적 오명으로서 유전자 차별, 의학의 상업화와 이익분배, 계층간 유전 및 건강, 삶의 질 격차)를 이끌어내고 이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ultimate goal of this paper is to draw the social implications of personalized genomic medicine, which have been received attention from society and academy since completion of human genome project in 2003. For this, it was intended to represent the social & theoretical backgrounds (biomedicalization), definition, and light and shadow of personalized genomic medicine. Based on the results of Koreans" perception on personalized genomic medicine, PGM 21 survey of 2012, six social issues and implications (trust of scientific technology; meaning in public health;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as privacy; genetic discrimination as social stigma; commercialization of medicine and profits sharing; differences, disparities, and inequalities in gene, health, quality of life, and life itself by SES & nation) were drawn and discussed.]

목차[Table of content] 
국문초록  Ⅰ. 문제제기  Ⅱ. 유전자 맞춤의학의 이론적 배경  Ⅲ. 유전자 맞춤의학의 정의와 명암  Ⅳ. 유전자 맞춤의학에 대한 국민 인식  Ⅴ. 유전자 맞춤의학의 사회적 함의  Ⅵ. 결론: 한국적 상황에서 유전자 맞춤의학의 미래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269 15 유전학 In vivo selective gene knockout through in situ delivery of RNA-guided Cas9 nuclease using lipidoid / 송명재 2014  122
268 15 유전학 인간 유전자(DNA)의 법적지위와 개발기술의 합리적 보호방안/유지홍 2018  126
267 15 유전학 구강조직유래 유도만능줄기세포-생체재료 복합체의 재생의료 동향 / 전수경 외 2017  126
266 15 유전학 CRISPR/Cas9 기반 유전자 교정 시스템과 전달 방법 / 송민정 외 2017  127
265 15 유전학 유전성대사질환의 유전자치료 전략 및 현황 / 정성철 2011  130
264 15 유전학 유전체 연구·정밀의료 관련 국제규범 및 해외 법제 현황과 시사점 / 이서형 2017  130
263 15 유전학 의과학기술에서 본 생명과 행복 - 최근 발달된 크리스퍼기술을 중심으로 / 남명진 2018  130
262 15 유전학 The Generation of Genetically Modified Cat by Using a CRISPR/Cas9 System / 하아나 2016  131
261 15 유전학 나고야의정서 국내이행을 위한 한국의 입법추진동향과 과제/ 박종원 2015  135
260 15 유전학 개인 유전체 기반 맞춤 의료 현황과 발전과제 / 정기철 외 2015  136
259 15 유전학 동물게놈 연구현황 및 산업적 활용방향 / 조병욱 2001  136
258 15 유전학 나고야의정서 국내이행을 위한 덴마크 정부의 정책 및 입법 방안에 대한 소고/오선영 2013  137
» 15 유전학 유전자 맞춤의학(Personalized Genomic Medicine)의 사회적 함의 / 김상현 외 2013  137
256 15 유전학 한국인에서 약년 성인형 파킨슨병 환자들의 임상 양상 및 유전자 분석 / 정은주 2007  138
255 15 유전학 산전 세포유전진단 시행에 있어서 유전상담의 효과 / 송찬호 외 1992  139
254 15 유전학 인간 유전체에 관한 윤리 교육 연구 / 정은경 2004  140
253 15 유전학 EU법상 나고야의정서 이행에 있어서의 쟁점 분석 및 시사점/김두수 2014  142
252 15 유전학 유전자원 접근 및 이익공유를 위한 나고야의정서와 국제통상법간의 충돌과 조화/최원목 2014  142
251 15 유전학 마우스 난소에서 막융합 관련 유전자의 발현 / 정복해 외 2016  142
250 15 유전학 게놈 시대 인간 유전자 데이터베이스의 검색 및 사용법 / 최영님 2001  1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