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69
발행년 : 201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고려대학교 생명환경과학대학원: 분자진단생명공학과 분자진단생명공학전공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704270 
특허법 관점에서 본 주요한 제 3세대 유전자 가위(CRISPR/Cas9) 기술의 비교 및 특허 분쟁 분석 

= Comparison of main CRISPR/Cas9 systems and analysis of CRISPR/Cas9 patent war in view of patent act

  • 저자[authors] 김승지

  • 발행사항 서울 : 고려대학교 생명환경과학대학원, 2018

  • 형태사항[Description] v, 74장 :  삽화 ; 26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김대성<br>참고문헌: 장 73-74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석사)-- 고려대학교 생명환경과학대학원: 분자진단생명공학과 분자진단생명공학전공 2018. 2

  • 발행국(발행지)[Country] 서울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 유전자 가위,크리스퍼/카스9,원핵 세포,진핵 세포,유씨버클리대,툴젠사,브로드 연구소,특허

  • 소장기관[Holding] 고려대학교 과학도서관 (211091)


초록[abstracts] 
배경: 유전자 가위는 타겟 DNA 를 절단할 수 있는 도구로서, 타겟 DNA 에 결합할 수 있는 물질과 상기 타겟 DNA를 자르는 물질을 포함한다. 상기 유전자 가위는 돌연변이 DNA 를 교정할 수 있는 도구로서 각광받아 왔으며, 2017년 11월 현재, 제1세대 유전자 가위 ‘징크핑거 뉴클레이즈’ 및 제2세대 유전자 가위 ‘탈렌’ 를 거쳐서 제3세대 유전자 가위 ‘CRISPR/Cas9’ 로 개발 및 발전 중에 있다. 이러한 제3세대 유전자 가위 ‘CRISPR/Cas9’ 는 유씨버클리의 제니퍼 다우드나 교수 연구 팀에 의하여 최초로 개발되었다. 2017년 11월 현재, 유씨버클리의 제니퍼 다우드나 교수 연구 팀, 브로드연구소의 장 펑 교수 연구 팀, 및 툴젠의 김진수 교수 연구 팀 등이 주도하여 제3세대 유전자 가위 ‘CRISPR/Cas9’ 를 개발하고 발전시키고 있다. 한편, 상기 세 연구기관은 모두‘CRISPR/Cas9’관련 특허를 출원하였으며, 2017년 11월 현재, 유씨버클리와 브로드연구소는‘CRISPR/Cas9’관련 특허 분쟁 중에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상기 세 연구기관 각각이 최초로 개발한‘CRISPR/Cas9’시스템 및 관련 특허들 사이에 특허법 관점에서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를 비교하는 것이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상기 세 연구기관 각각이 최초로 개발한‘CRISPR/Cas9’시스템의 논문 및 관련 특허들을 비교 및 분석하였다. 상기 세 그룹의 유전자 가위 각각이 가지는 특징을 중심으로 관련 논문 및 특허들을 분석하였다. 상기 특허들의 분석에 필요한 심사경과 자료들은 한국특허청(KIPO), 미국특허청(USPTO), 유럽특허청(EPO) 등 각 국의 특허청로부터 입수되었다. 결과 및 결론: 첫째, UC 버클리가 CRISPR/Cas9 시스템과 관련된 가장 광범위한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툴젠 사 및 브로드연구소를 포함한 제3자가 CRISPR-Cas 시스템을 이용하여 타겟 DNA 를 자르게 되면, 유씨버클리대의 CRISPR/Cas9 시스템 관련 둥록 특허 또는 추후 등록 받을 특허를 침해할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툴젠은 진핵 세포의 타겟 DNA를 절단 할 수 있는 CRISPR/Cas9 시스템과 관련된 가장 광범위한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유씨버클리대 및 브로드연구소를 포함한 제3자가 CRISPR-Cas 시스템을 이용하여 진핵세포의 타겟 DNA 를 자르게 되면, 툴젠 사의 CRISPR/Cas9 시스템과 관련 둥록 특허 또는 추후 등록 받을 특허를 침해할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브로드 연구소는 진핵 세포의 타겟 DNA를 절단 할 수 있는 CRISPR/Cas9 시스템으로서, 상기 CRISPR/Cas9 시스템이 상기 진핵 세포로 주입된 벡터로부터 발현되는, CRISPR/Cas9 시스템에 관한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나아가, 브로드 연구소의 진핵 세포의 타겟 DNA를 절단 할 수 있는 CRISPR/Cas9 시스템은, 프로모터, 인핸서, 내부 리보솜 진입 부위 등의 조절요소도 포함함으로써, 툴젠사의 진핵 세포의 타겟 DNA 보다 우수한 절단 효율을 나타낼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2017년 11월 현재, CRISPR/Cas9 의 특허 분쟁은 유씨버클리대와 브로드 연구소의 미국 특허 분쟁만이 진행 중이다. 브로드 연구소의 승리가 조심스럽게 예측되며, 브로드 연구소가 승리하게 되면, 전술한 첫째 내지 셋째의 내용들이 확인되는 성격을 나타낼 수 있다.

초록[abstracts] 
Background: CRISPR/Cas9 is a genome editing tool that can cleave a target DNA, and includes a substance capable of binding to a target DNA and a material for cleaving the target DNA. As of November 2017, the third-generation genome editing tool CRISPR- Cas9 system have been developed through the first-generation gene scissors 'Zinc finger nuclides' and the second-generation gene scissors 'Talen'. The third-generation genome editing tool CRISPR/Cas9 system was first developed by Professor Jennifer Dowdner of UC Berkeley. As of November 2017, Professor Jennifer Doudna of UC Berkeley, Professor Kim Jin Su of Toolgen INC., and Professor Jang Feng of Broad Institute has led a development of CRISPR/Cas9 system. Meanwhile, those three research institutes filed patent application relating to CRISPR/Cas9 system, and as of November 2017, there has been a patent war between UC Berkeley and Broad Institute regarding CRISPR/Cas9 system.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tudy and to compare patent regarding each of CRISPR/Cas9 system invented by those three research institutes. Methods: In this article, each of the first published article regarding CRISPR/Cas9 system and related patents of those three research institutes were analyzed and compared each other. In addition, prosecution status as of November 2017 of major patent of those patents were analyzed. Results and Conclusion: First, this article suggests that UC Berkeley owns the broadest patent relating to CRISPR/Cas9 system. It is belived that Any third party can not avoid UC Berkeley’s patent relating to CRISPR/Cas9 system to implement any CRISPR/Cas9 system. Second, this article suggests that Toolgen Inc. owns the broadest patent relating to CRISPR/Cas9 system which can cleave taget DNA of eukaryotic cell. It is belived that Any third party including UC Berkeley can not avoid Toolgen Inc.’s patent relating to CRISPR/Cas9 system which can cleave taget DNA of eukaryotic cell to implement any CRISPR/Cas9 system to cleave taget DNA of eukaryotic cell. Third, this article suggests that Broad Institute owns the patent relating to CRISPR/Cas9 system which can cleave taget DNA of eukaryotic cell and expressed from vector transfected in the eukaryotic cell. It is belived that CRISPR/Cas9 system according to the Broad Institute can better cleave taget DNA of eukaryotic cell in comparison with those according to Toolgen Inc. Meanwhile, as of November, 2017, patent war regarding CRISPR/Cas9 is only pending in the United States between UC Berkeley and Broad Institute. The victory of the Broad Institute is carefully anticipated, which is believed to confirm the first to the third contents described above.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29 15 유전학 단일 기관에서 경험한 한국인 유전성 대사질환 환자의 돌연변이 분석 / 우혜인 2012  114
328 15 유전학 CRISPR/Cas9 시스템 기반 무당질항체 생산용 마우스 제작을 위한 마우스 유래 세포주 NIH-3T3 세포에서의 Ighg 유전자 교정 연구 / 이난이 2017  233
327 15 유전학 CRISPR/Cas9 기반 후성유전 편집 기술을 이용한 유전자 발현 조절 연구 / 박진석 2017  537
326 15 유전학 신경줄기세포에서 유전자 도입 효율 최적화 / 김우석 2013  99
325 15 유전학 한국인 파킨슨병 환자의 유전적 배경 / 우명수 2006  181
324 15 유전학 연속적인 체세포핵치환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복제돼지에서의 미토콘드리아 유전자의 유전 / Minhwa Do 2012  396
323 15 유전학 인간 tyrosine hydroxylase 유전자의 조절 기작 / 권정준 2011  365
322 15 유전학 파킨슨병 관련 유전자와 노화 관련 유전자 간의 분자적 기능적 연관성 연구 / Yun Ju Lee 2015  296
321 15 유전학 한국인에서 약년 성인형 파킨슨병 환자들의 임상 양상 및 유전자 분석 / 정은주 2007  138
320 15 유전학 정밀의료에서 개인정보보호 방안 : 미국ㆍEUㆍ일본과의 비교법제도 분석을 중심으로 / 장세균 2017  47
319 15 유전학 Direct to Consumer 유전자 검사의 생명윤리적 쟁점과 안전한 시행 방안 연구 / 박수경 2017  91
318 15 유전학 질병 감수성 예측 유전자 검사의 유전상담 지침 개발에 대한 조사연구 / 서순정 2017  273
317 15 유전학 Genome Editing of Causative Gene for the Congenital Hearing Loss by CRISPR/Cas9 /류나리 2017  57
316 15 유전학 유전적 연관 및 유전자-유전자간 상호작용 분석 / 정지원 2011  377
315 15 유전학 웹 기반의 유전자 서열 분석 및 관리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허진석 2002  43
314 15 유전학 지식기반 유전자정보 분석시스템 개발 및 활용 / 구교찬 2011  102
313 15 유전학 희귀 미토콘드리아성 유전병에 대한 핵과 미토콘드리아 유전체로부터의 원인 돌연변이 규명 / 박지훈 2014  582
» 15 유전학 특허법 관점에서 본 주요한 제 3세대 유전자 가위(CRISPR/Cas9) 기술의 비교 및 특허 분쟁 분석 / 김승지 2018  406
311 15 유전학 게놈 편집 기술을 통한 Streptomyces coelicolor의 β-agarase 발현조절 유전자 기능 분석 / 심소헌 2018  42
310 15 유전학 인간 존엄성의 실현을 위한 인간 게놈 프로젝트에 대한 연구 / 송우진 2002  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