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69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현장과학교육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093476 
유전자 발현 조절에 의한 발생의 이해 

= Understanding of Animal Development by the Regulation of Gene Expression - Focusing on the homeotic genes

  • 저자[authors] 이미화(Mihwa Lee),서혜원(Hyewon Seo),전상학(Sang-Hak Jeon)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현장과학교육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1No.1[2017]

  • 발행처[publisher]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0-20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7

  • 주제어[descriptor] 유전자 발현 조절,호미오 유전자,안테나다리 유전자(Antp),유비엑스 유전자(Ubx)


초록[abstracts]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동물 발생에 대한 분자적인 기작을 어떻게 다루어왔는지를 살펴보고, 새로운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발생과 유전자 발현 조절’을 이해할 수 있는 적절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동물의 발생에 대한 연구는 1980년 전후로 초파리에서 발생 유전자가 발견되면서 급격하게 발전해 왔다. 발생은 유전자의 차별적인 발현을 통해서 일어나며, 발생 유전자의 단계적인 작용을 통해서 일어난다. 우리나라의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처음으로 ‘발생과 유전자 발현 조절’을 함께 다루었으며,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호미오 유전자를 예로 들어 ‘발생과 유전자 발현 조절’을 다루고 있다. 호미오 유전자의 핵심 기능은 전-후 축에 따른 위치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적절한 위치에서 구조가 만들어지도록 한다. 호미오 유전자로는 초파리에서 안테나 다리(Antp) 및 유비엑스(Ubx) 돌연변이가 처음 발견되었으며, 두 돌연변이 표현형은 매우 뚜렷하여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두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비교하여 호미오박스(homeobox)라는 보존된 염기서열을 발견하였으며, 이 서열을 이용하여 다른 동물에서 상동유전자(homologue)를 발견할 수 있었다. 따라서 척추동물에서의 호미오 유전자의 돌연변이를 통해서 종간에 공통적인 현상을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더불어 진화적인 관점에서도 살펴볼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 molecular mechanisms of animal development have been described through curriculum analysis and to suggest appropriate ways to understand the regulation of gene expression during animal development in the new curriculum.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animals have developed rapidly around the 1980s with the discovery of genes from fruit flies. Pattern formation occurs stepwise through differential expression of the gene. For the first time in Korean 2009 revision curriculum, animal development and regulation of gene expression have been discussed in the biology curriculum together. The 2015 revision curriculum also covers development and regulation of gene expression using the homoeotic genes as an example. The core function of the homeotic genes is to provide the positional information along the anterior to posterior axis so that the structure is formed at the appropriate location. Antennapedia (Antp) and Ultrabithorax (Ubx) mutants were first found in the fruit fly, and these two mutant phenotypes are very distinct and easily observed. In addition, the nucleotide sequences of two genes were compared, which showed a conserved base sequence called homeobox, with which many homologous genes were identified in other animals.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phenomena common to species through the mutation of homoeopathic genes among animals, and it is also necessary to examine them from an evolutionary point of view.]

목차[Table of content] 요약  
서론  교육과정에서 발생에 대한 기작은 어떻게 다루어져 왔는가?  동물의 발생은 유전자의 발현 조절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호미오 유전자의 발현 조절을 통해 전-후 축에 따라 위치정보를 바꿀 수 있다  제언  ABSTRACT  참고문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89 15 유전학 유전자 도핑(Gene Doping)의 윤리적 쟁점과 대응방안 / 김지호 2015  216
188 15 유전학 곤충유전체 연구의 생물정보학적 동향 / 박준형 외 2014  218
187 15 유전학 국내외 유전자변형 식물개발의 연구동향 분석 / 이종우 2006  220
186 15 유전학 GMO의 위험에 대한 민사법적 책임의 한계 / 송호열 2011  222
» 15 유전학 유전자 발현 조절에 의한 발생의 이해 / 이미화 외 2017  222
184 15 유전학 개인맞춤의료 시대에 대비한 보험사에서의 개인 유전자 정보 이용 여부에 대한 고찰 / 장예은 2014  226
183 15 유전학 유전자 편집기술에 대한 윤리적 대응 / 목광수 2017  226
182 15 유전학 식물유전자원의 ABS체제 -나고야의정서와 ITPGRFA조약의 관계를 중심으로-/오선영 2014  227
181 15 유전학 유전상담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전문유전상담사 학회인증제도에 관한 연구 / 최지영 외 2009  227
180 15 유전학 나고야의정서와 관련한 식품, 의약품 및 화장품 분야에서의 대응방안/박보람, 남두현 2012  228
179 15 유전학 연구로 발생한 이익에 대한 인체유래물과 유전정보 제공자의 권리 / 유호종 2015  229
178 15 유전학 유전자편집 작물의 개발 현황 및 농업생명공학기술의 국가 경쟁력 강화/ 이신우 2018  231
177 15 유전학 산전유전진단 및 유전상담의 실제 / 오수영 외 2007  233
176 15 유전학 CRISPR/Cas9 시스템 기반 무당질항체 생산용 마우스 제작을 위한 마우스 유래 세포주 NIH-3T3 세포에서의 Ighg 유전자 교정 연구 / 이난이 2017  233
175 15 유전학 현행 생명윤리법상 유전자편집기술의 법적 쟁점 / 황만성 2017  233
174 15 유전학 생명윤리적 관점에서 본유전자 편집 특허의 제문제 / 진영진 2018  233
173 15 유전학 한국 바이오뱅크 정보화사업의 경제적 타당성 분석 / 주병철, 주민석 2013  234
172 15 유전학 바이오뱅크 운영의 주요쟁점과 전망 / 김상현 2014  235
171 15 유전학 가계검색(Familial Search)의 법적 문제에 관한 연구 / 이성기 2015  235
170 15 유전학 전유전체 서열 기반 한국인 참조 변이체 분석 연구 / 박선혜 2016  2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