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69
발행년 : 2002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경기대학교 대학원: 전자계산학과 데이터베이스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8619572 

웹 기반의 유전자 서열 분석 및 관리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저자[authors] : 허진석
  • 발행사항 : 수원 :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2
  • 형태사항[Description] : vi, 53p. : 삽도 ; 30 cm.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 학위논문(석사)-- 경기대학교 대학원: 전자계산학과 데이터베이스전공 2003. 2
  • KDC[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 005.74 4
  • 발행국(발행지)[Country] : 경기도
  • 출판년[Publication Year] : 2002
  • 주제어 : 웹 기반,유전자,서열 분석,관리 시스템
  • 소장기관[Holding] : 경기대학교 금화도서관(서울캠퍼스)


초록[abstracts]

휴먼 게놈 프로젝트등 급속한 발전을 보이고 있는 생명 과학 연구들로 인하여 생명체에 관한 많은 정보가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다량의 정보를 효과적으로 분석하고 관리하기 위해서 생물정보학(Bioinformatics) 기술에 대한 관심도 따라서 증가하게 되었다. 인간을 비롯하여 많은 생명체의 일부 또는 전체의 유전자 염기 서열이 밝혀졌다. 이러한 유전자 염기 서열을 바탕으로 유전자의 구조와 기능을 밝히는 구조/기능 유전체학(Structural/Functional Genomics)과 개체간의 차이, 환경에 대한 차이 등을 밝히는 비교 유전체학(Comparative Genomics)등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기존의 생명과학 실험실에서 발생된 서열 데이터는 정확한 표준이 없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관리되지 않았다. 실험실에서는 임의의 형식을 정하여 그 형식에 맞도록 작성된 텍스트 파일로 관리하였기 때문에 효율적인 데이터의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서열분석 방법에 따라서 사용되는 프로그램의 종류가 매우 다양하고, 수행환경에 따라서 사용되는 프로그램이 다르고, 또한 프로그램간의 연동이 되지 않기 때문에 분석작업이 어렵고 불편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유전자 서열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으며, 또한 다양한 분석 작업을 수행 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웹 기반의 유전자 서열 분석 및 관리 시스템인 GWB(Gene WorkBench)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GWB는 다양한 분석 방법을 지원하며, 또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효율적인 서열 데이터를 관리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초록[abstracts] Interests of bio technologies for analyzing and managing much of these information efficiently have been grown according as it was increased that imformation about living things originated from gene, because of the study of life science showing a fast growth by HGP.  Now the entire or part of gene sequences about living things starting from human has been revealed. and that the research for comparative genomics researching structural/functional genomics revealing the structure or functions of each gene, deferences between individual variations or environments is being studyed actively.   In former days, data management did not become in a laboratory. Because there was no correct standard. Program used in sequence analysis is very various. This programs are different according to data and execution environment. Also, analysis task is difficult because do not get into gear between program. To solve these problem, They must manage a laboratory of life science that use gene sequence data by itself. It must have function that have various analysis function, and manage sequence data.  In this paper, GWB(Gene WorkBench) that is gene sequence analysis and management system design and implementations. Can management and analysis gene sequence data of laboratory interior using database.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369 15 유전학 나고야의정서가 전통지식보호에 미치는 영향과 그 대응책 -한의약에 관한 전통지식을 중심으로-/고광국 2013  4361
368 15 유전학 유전자 편집 기술의 윤리·법·사회 문제 해결방안 / 이수빈 2019  4329
367 15 유전학 유전자 검사와 치료에 대한 윤리적 문제 고찰 / 박태정 2006  4321
366 15 유전학 생명공학 시대의 유전자 조작 기술과 인간중심주의 비판 / 김광연 2016  3769
365 15 유전학 GMO의 윤리적 문제 / 이종원 2014  2628
364 15 유전학 갈락토스혈증의 신생아 선별검사 후 진단 알고리즘 / 손영배 2015  2516
363 15 유전학 유전자 조작 생물(GMO)에 대한 초,중,고 학생들의 인식 조사 / 이혜정, 이진경, 민윤숙, 최진영, 심규철 2010  2346
362 15 유전학 [번역문] 유전자 형질변환 식품의 실험에 대한 철학적 견해 / Andrew Woodfield 2015  2313
361 15 유전학 유전자가위를 이용한 유전자교정 및 유전자치료 / 김형범, 김희권 2015  2083
360 15 유전학 형사절차상 유전자정보의 획득 및 이용에 관한 연구 / 이정념 2009  1584
359 15 유전학 생명공학적 인공배아와 인체유래물의 민법상 지위 / 유지홍, 강태성 2013  1322
358 15 유전학 LMO의 최근 동향과 문제점/문상혁 2011  1247
357 15 유전학 人體(인체)와 그 부분의 私法的(사법적) 地位(지위) -대법원 2008.11.20. 선고 2007다27670 판결 평석을 겸하여 / 성중모 2013  1169
356 15 유전학 독일에서의 유전자정보 활용에 관한 입법 동향 및 최근의 논의 · 그 시사점 : 유전자정보 활용 대상범위의 측면에서 / 이정념 2014  1151
355 15 유전학 형사법상 유전자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연구 / 김낙현 2013  1137
354 15 유전학 유전자 편집 기술의 메타모포시스 / 김광연 2019  1118
353 15 유전학 유전자편집기술에 관한 미국의 입법동향과 시사점 / 장인호 2019  1038
352 15 유전학 유전자검사에 관한 규제 현황과 미비점에 관한 고찰 / 백수진 2014  1034
351 15 유전학 인간게놈연구의 문제점과 발전방향 / 김용성 2003  1026
350 15 유전학 현대 키메라(Chimera)'의 학제적 접근을 위한 고찰 / 김인경, 장매희 2012  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