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69
발행년 : 2011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박사)-- 忠南大學校 大學院 : 統計學科 統計學 專攻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2381594 

유전적 연관 및 유전자-유전자간 상호작용 분석


= Genetic Association and Gene-Gene Interaction Analysis


  • 저자[authors] : 정지원
  • 발행사항 : 대전 :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1
  • 형태사항[Description] : vi, 92 p. : 도표 ; 26 cm.
  • 일반주기명[Note] : 충남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br>지도교수:李石薰<br>참고문헌 : p.83-90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 학위논문(박사)-- 忠南大學校 大學院 : 統計學科 統計學 專攻 2011. 2
  • DDC[DDC] : 519.5 22
  • 발행국(발행지)[Country] : 대전
  • 출판년[Publication Year] : 2011
  • 주제어 : Genetic association,Linkage analysis,MDR,Gene-Gene interaction
  • 소장기관[Holding] : 충남대학교 도서관 (225009)


초록[abstracts]

Recently, disease-genetic association using SNPs(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and haplotypes in family-based genetic study have come into the spotlight. In binary trait, the classic TDT(transmission disequilibrium test) can only be applied if genetic information of parents and their offspring in available. In case that no parental genotype data is available, an alternate method using genetic sib information is proposed instead.    Due to the fact complex disease such as diabetes occurs by interactions, gene-gene interaction or gene-environment interaction caught the attention, so that numerous methods were invented and proposed. Logistic regression, decision tree and neural network were generally used, but MDR(multifactor dimensionality reduction), which was designed specifically to identify gene-gene or gene-environment interactions, has been recently applied. MDR is an approach for detecting optimum interactions after simplifying genetic combinations into high and low risk groups, and new approaches improving MDR are now reported.    In this study, methods using genetic sib information in family-based study are reviewed and powers of those are compared through simulation. Analysis and comparison among logistic regression, decision tree, neural network and MDR detecting the gene-gene interaction are also conducted. Finally, two analytical methods, RRIE(relative risk interaction explorer) and OIE(overall interaction explorer), testing interactions by calculating relative risk between the control and disease group from genetic combinations, are presented. Applying well-known two dimensional 8 genetic models and MDR open source data, utility is verified with comparison from MDR results.


초록[abstracts]

가족기반 유전연구에서 단일염기다형성(SNP) 및 일배체형(haplotype)을 이용한 질병-유전자간 연관성 분석은 주요 관심부분 중 하나이다. 이진형질(binary trait)인 경우 사용되는 고전적인 TDT (transmission/ disequilibrium test)는 부/모/자의 유전정보를 모두 알 수 있을 때에 쓸 수 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부모의 유전자형을 모를 때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방법으로 형매(sib)의 유전정보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하지만 당뇨와 같은 복합 질환에서는 유전자-유전자간 상호작용(gene-gene interaction)이나 유전자와 환경인자간 상호작용(gene- environment interacion)에 의해 질병이 생긴다. 그러므로 유전자간 상호작용이나 환경인자와의 상호작용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되었고, 이를 위해 많은 방법들이 제시되고, 개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통계학에서 사용되는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과 의사결정나무(decision tree), 신경망(neural netwok) 분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유전자-유전자간 상호작용이나 유전자-환경인자간 상호작용을 찾는 방법으로 각각의 유전자-유전자의 조합에서 모든 가능한 유전자형 조합을 고위험군과 저위험군으로 단순화한 뒤, 최적의 상호작용을 찾아주는 MDR(multifactor dimensionality reduction) 방법이 많이 사용되었다. 그리고 MDR 방법의 단점들을 개선하여 나온 방법들이 발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족기반연구에서 형매의 유전정보를 이용하는 분석방법에 대해 고찰하고 모의실험을 통해 이들의 검정력을 비교하였다. 그리고 유전자간 상호작용 탐색에서 많이 사용되는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의사결정나무, 신경망 분석, MDR 방법에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마지막으로 유전자형 조합에서의 대조군과 질환군의 상대위험률을 이용하여 유전자-유전자간 상호작용을 탐색하는 RRIE(relative risk interaction explorer)와 OIE(overall interaction explorer) 방법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MDR 공개 자료와 2차원의 8가지 잘 알려진 유전 모형을 적용하여 MDR과 비교를 통해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89 15 유전학 커먼룰과 보관된 인체유래물에 관한 제공자의 권리 / 박수헌 2012  383
288 15 유전학 수혈을 받은 변사자에서의 혼합 DNA 프로필 검출사례 / 정주연 외 2015  383
287 15 유전학 유전자 가위를 이용한 Rh 혈액형 변환 / 김영훈 2014  380
» 15 유전학 유전적 연관 및 유전자-유전자간 상호작용 분석 / 정지원 2011  378
285 15 유전학 영화 가타카(GATTACA)가 현실로! 맞춤형 아기 시대의 도래 / 박보야나 2015  377
284 15 유전학 인간 게놈 프로젝트에 대한 대학생들의 이해 / 이양숙 2003  376
283 15 유전학 생물다양성협약과 부속의정서에서의 정보공유체계 비교 연구 -나고야의정서 ABS Clearing House를 중심으로-/류예리 2015  374
282 15 유전학 정신질환의 유전학적 연구 : 정량적 유전학의 기본 개념과 방법론 / 주은정 2000  374
281 15 유전학 바이오뱅크 연구에서 포괄적 동의 / 이상목 2012  371
280 15 유전학 새로운 유전체 편집용 유전자 가위, 크리스퍼 (CRISPR/Cas9 system) / 권순일 2015  370
279 15 유전학 인간배아줄기세포에서 조혈모세포로의 분화법 개발 / 김소정 2018  370
278 15 유전학 국제 공공재의 특징을 갖는 유전체 의료 / 김한나 외 2016  369
277 15 유전학 유전자 가위 기술의 사회적 영향과 법제도 운영 방안에 대한 고찰 : 빅데이터 분석과 전문가 인터뷰 결과를 중심으로 / 김성은 2016  368
276 15 유전학 인간 tyrosine hydroxylase 유전자의 조절 기작 / 권정준 2011  365
275 15 유전학 유전자 조작과 생명윤리<세상의 생명을 위하여> / 이향만 2018  364
274 15 유전학 인체유래물질의 재산권의 허용범위와 그 이용을 위한 관련법규의 정비방안 / 이정현, 박인걸 2010  357
273 15 유전학 법과학적 활용을 위한 식물 유전자검사 시험법 연구 / 한시내 외 2016  354
272 15 유전학 위험소통을 통한 신뢰가 위험인식에 미치는 효과 : 유전자조작기술, 나노기술, 체세포복제기술에 대한 전문가그룹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 김찬원, 송해룡, 김원제 2015  353
271 15 유전학 자궁 및 태반에서 칼슘이온 수송 유전자의 조절 기전 / 양현 2014  352
270 15 유전학 과학적 증거가 있는 경우 민법 제844조의 친생추정에 대한 소고(小考) - 우리나라와 일본의 판례를 중심으로 - / 홍남희 2015  3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