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26
발행년 : 2009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816003 


고령 불임여성의 체외수정술시 최소자극법의 효용성 = Minimal Stimulation using rhFSH and GnRH Antagonist for IVF Treated Patients of Advanced Age


저자김소라,김정훈,이진경,전균호,김성훈,채희동,강병문,Kim, So-Ra,Kim, Chung-Hoon,Lee, Jin-Kyoung,Jeon, Gyun-Ho,Kim, Sung-Hoon,Chae, Hee-Dong,Kang, Byung-Moon
학술지명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권호사항Vol.36No.1[2009]
발행처대한생식의학회
자료유형학술저널
수록면63-70
언어Korean
발행년도2009
주제어최소자극법,임신율,체외수정술 고령 불임여성
초록

목 적: 본 연구는 전향적 무작위 배정법 연구로 40세 이상의 불임여성의 자연주기에서 소량의 재조합난포자극호르몬을 이용한 최소자극법의 효과를 성선자극호르몬분비호르몬길항제 다회투여법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불임크리닉을 방문하였던 환자들 중 나이가 40세 이상인 75명 환자들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연구군은 최소자극법으로 37명, 대조군은 성선자극호르몬분비호르몬길항제 다회투여법으로 38명의 환자들로 구성되었으며 모두 체외수정시술을 시행 받았다. 주기 취소율, 난포자극호르몬 종 사용량과 일수, 성숙난자의 수, 이식된 배아의 수, 배아이식 주기당 임신율, 착상율 등을 비교하였으며, 통계학적인 방법은 평균값의 비교를 위하여 Student's t-test를 이용하였고 분율의 비교를 위하여 ${\chi}^2$ 검정, Fisher's exact test를 사용하였으며, p값이 0.05 미만인 경우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하다고 판정하였다. 결 과: 두 군간의 대상 환자들의 기본적인 특성은 차이가 없었다. rhFSH의 투여기간과 총용량에서 연구군의 경우 4.5${\pm}$1.2일, 632.2${\pm}$123.7 IU로 대조군에서의 11.3${\pm}$2.7일, 3124.6${\pm}$452.1 IU에 비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값을 보였고, 주기 취소율은 연구군에서 16.2%, 대조군에서 5.3%로 통계적으로 유의성은 없었다. 회수된 난자의 수, 성숙한 제 2감수분열 중기 상태의 난자의 수 및 수정된 난자의 수, 양질의 배아수, 배아이식된 배아의 수에 있어서 대조군에 비해서 연구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배란유도를 시작한 주기당 임상적 임신율과 배아이식 주기당 임상적임신율은 연구군의 경우 각각 10.8%와 13.4%로 대조군에서 13.2%와 13.9%에 비하여 다소 낮긴 하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은 없었다. 착상율, 자연유산율에서는 두 군간의 차이가 없었다. 결 론: 40세 이상의 고령 여성에서 체외수정술을 시행하고자 할 때 배란유도의 방법으로 GnRH antagonist와 성선자극호르몬을 이용한 최소자극법은 성선자극호르몬분비호르몬길항제 다회투여법과 비교하여 임신율이 감소하지 않으며 비용면에서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이다.


초록


Objectiv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minimal stimulation using rhFSH and GnRH antagonist compared with GnRH antagonist multidose protocol (MDP) in IVF treated patients with aged 40 and above. Methods: Seventy-five patients with aged 40 and above were equally randomized to minimal stimulation group (n=37) or GnRH antagonist MDP group (n=38). For minimal stimulation group, ultrasound monitoring was started on cycle day 7 or 8. Daily injections of 0.25 mg cetrorelix together with 150 IU rhFSH were started from the day at 13${\sim}$14 mm of a leading follicle diameter. For GnRH antagonist MDP group, daily injections of 225 IU rhFSH were initiated from cycle day 2 and GnRH antagonist was started at a dose of 0.25 mg/day on rhFSH stimulation day 6 or the day at 13${\sim}$14 mm of leading follicle diameter. In both groups, transvaginal ultrasound-guided oocyte retrieval was performed. According to cleavage and morphologic characteristics of embryos, embryos were transferred 3 to 5 days after oocyte retrieval. Result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patients' characteristics and cycle cancellation rate between the two groups. Total dose and duration of rhFSH used were significantly fewer and shorter in minimal stimulation group than those in GnRH antagonist MDP group. The numbers of oocytes retrieved, mature oocytes and transferred embryos were also lower in minimal stimulation group.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linical pregnancy rate and miscarriage rate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minimal stimulation protocol provides comparable pregnancy rates to GnRH antagonist MDP with fewer dose and days of rhFSH used, and thus can be a cost-effective alternative in women aged 40 and above.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06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에 관한 소고 / 오호철 2009  155
105 14 재생산 기술 체외수정 및 배아 이식 후 난관과 반대편 간질 부위에 동시에 생긴 복합성 자궁외 임신 1예 / 오예은 2009  251
104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에 있어서 침의 중재에 대한 임상연구 동향 -Pubmed를 중심으로 / 배경미 2009  199
103 14 재생산 기술 임상연구 : 다낭성난소증후군 환자에서 체질량지수가 체외수정시술에 미치는 영향 / 전균호 외 2009  122
» 14 재생산 기술 고령 불임여성의 체외수정술시 최소자극법의 효용성 / 김소라 외 2009  65
101 14 재생산 기술 시험관 아기 시술 체험 / 이윤정 외 2009  57
100 14 재생산 기술 생명공학기술과 대리모의 행위성 / 이은주 2008  484
99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계약에 관한 연구 / 이봉림 2008  360
98 14 재생산 기술 생명의료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른 여성의 재생산권리에 관한 연구 : 생식세포 기증 및 보조생식술에 관한 법과 제도를 중심으로 / 김은애 2008  531
97 14 재생산 기술 한국 생식의료의 전개과정에 관한 연구 : 소극적 정책보조자에서 산업개척자로 / 박종헌 2008  527
96 14 재생산 기술 기술화된 계약 임신 경험을 통해 본 대리모의 행위성 구성에 관한 연구 / 이은주 2008  381
95 14 재생산 기술 '불임치료산업'과 한국의 재생산 정치 / 김선혜 2008  892
94 14 재생산 기술 인간배아복제에 대한 사회윤리적 접근 : 체세포복제배아(SCNT) 정당성 여부에 대한 합의를 중심으로 / 김경순 2008  677
93 14 재생산 기술 인간복제에 관한 고찰과 기독교적 대응방안에 대한 연구 / 김혜순 2008  525
92 14 재생산 기술 복제인간에 대한 서론적 고찰 : 민법적 관점에서 / 김수흥 2008  439
91 14 재생산 기술 인간복제에 관한 윤리적 고찰 / 도봉희 2008  1428
90 14 재생산 기술 신선 비공여 체외수정 및 배아이식 후 자궁외임신의 발생과 연관된 위험요소에 관한 연구 / 유상우 2008  301
89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에 대한 윤리적 고찰 / 한민정 2008  4762
88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의료에 있어서 계약법리의 적용 / 최행식 2008  46
87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의료의 법규제와 친자관계에 관한 연구 / 박민제 2008  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