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26
발행년 : 200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대한생식의학회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815933 


한국 불임 여성에서 난포자극호르몬 수용체 유전자형과 체외수정 및 배아이식술 임상 결과와의 관련성 = Relationship between FSH Receptor Genotype and Clinical Outcomes of IVF-ET in Infertile Korean Women


저자문미혜,최혜원,김민지,이형송,차선화,송인옥,궁미경,전진현,Moon, Mi-Hye,Choi, Hye-Won,Kim, Min-Jee,Lee, Hyoung-Song,Cha, Sun-Hwa,Song, In-Ok,Koong, Mi-Kyoung,Jun, Jin-Hyun
학술지명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권호사항Vol.35No.1[2008]

발행처대한생식의학회
자료유형학술저널

수록면69-76
언어Korean
발행년도2008
주제어난포자극호르몬 수용체,유전자형,과배란 유도,난소 반응,임상 결과
초록목 적: 본 연구에서는 한국 불임 여성의 난포자극호르몬 수용체 유전자형의 분포 빈도를 파악하고, 체외수정 시술에서 난포자극호르몬 수용체 유전자형에 따른 과배란 유도 과정에서의 난소 반응과 각종 임상 결과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제일병원에 내원한 여성 불임 환자 1, 020명을 대상으로 난포자극호르몬 수용체의 유전자형, 즉 Thr307Ala (T/A)과 Asn680Ser (N/S)을 조사하였으며, 이들 중에서 과배란 유도와 체외수정 및 배아이식술을 시행한 302주기에서의 임상 결과를 이들의 유전자형에 따라 비교하였다. 결 과: 대상 환자에서 난포자극호르몬 수용체의 Thr307Ala와 Asn680Ser의 유전자형 빈도는 TT/NN 군이 44.80% (n=457), TA/NS 군이 41.96% (n=428) 그리고 AA/SS군이 10.49% (n=107)의 분포로 조사되었다. 과배란 유도에서의 각 유전자형에 따른 대상 환자의 나이, 난소 반응에 관련된 사용한 난포자극호르몬의 용량과 이에 따른 혈중 에스트라디올의 농도와 채취된 난자의 수 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배아이식 후 AA/SS 유전자형 환자에서의 착상률이 TT/NN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24.5% vs 15.7%, p<0.05) 결 론: 대표적인 세 가지 TT/NN, TA/NS 그리고 AA/SS 유전자형에 따른 과배란 유도에서의 난소 반응은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각각의 유전자형에 따라 난소 반응과 임상 결과가 다소 차이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초록Objectiv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termine the distribution of follicle-stimulating hormone receptor (FSHR) genotypes in infertile Korean women an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FSHR genotypes and clinical outcomes of IVF-ET cycles. Methods: Genomic DNA was extracted from peripheral blood in 1, 020 of infertile Korean women. Genotypes of FSHR at Thr307Ala (T/A) and Asn680Ser (N/S) were screen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PCR-RFLP) analysis. Clinical outcomes related to the genotypes of FSHR were evaluated in IVF-ET cycles (n=302) with controlled ovarian hyperstimulation (COH) of infertile women under 40 years old. Results: In a population of 1, 020 infertile Korean women, the frequency of TT/NN, TA/NS and AA/SS for the major variant Thr307Ala and Asn680Ser was 44.80%, 41.96% and 10.49%, respective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haracteristics of ovarian response and clinical pregnancy rate among the major genotypes of FSHR in IVF-ET cycles with COH. However, implantation rate of AA/SS patien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T/NN patients (24.5% vs 15.7%, p<0.05).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FSHR genotype was not directly associated with ovarian response in IVF-ET cycles with COH. The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outcomes and FSHR genotypes of patients should be substantiated by further studies.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66 14 재생산 기술 난자의 연구 이용 관련 우리나라 법원 판결에 대한 고찰 / 김은애 2015  253
165 14 재생산 기술 산부인과 전문병원 내원환자의 난임 특성과 보조생식술 유형이 임신에 미치는 영향 / 김윤정 2016  252
164 14 재생산 기술 인공자궁에 대한 페미니즘 담론 연구/최영주 2008  252
163 14 재생산 기술 체외수정 및 배아 이식 후 난관과 반대편 간질 부위에 동시에 생긴 복합성 자궁외 임신 1예 / 오예은 2009  251
162 14 재생산 기술 절박유산과 정상임부 및 시험관아기시술 환자에서 초기임신인자의 임상적 유용성 / 이진용 1997  251
161 14 재생산 기술 정자기증으로 출생한 자와 관련한 민사적 쟁점 - 정자기증으로 출생한 자의 신의칙에 근거한 알권리의 인정여부를 중심으로 - / 윤석찬 2018  250
160 14 재생산 기술 국제인권법상 재생산권에 관한 소고/장복희 2015  249
159 14 재생산 기술 인도의 상업적 대리모 연구 / 허라금 2015  246
158 14 재생산 기술 성경적 관점에서 본 인간배아복제 연구 : 특집논문 ; 시험관 아기 시술과 배아줄기세포연구의 관계 / 박재현 2005  243
157 14 재생산 기술 인격주의 생명윤리에서 바라본 부모됨의 의미와 보조생식술의 윤리적 의미 / 정재우 2014  242
156 14 재생산 기술 자궁 근종이 체외수정 시술에 미치는 영향 / 문제원 2010  242
155 14 재생산 기술 고등학생의 생명 복제에 대한 지식과 태도 조사 / 유숙희 2006  234
154 14 재생산 기술 중국에서의 대리모 법적 제문제에 관한 소고 / 이화 2011  230
153 14 재생산 기술 국제대리모계약에 관한 연구 / 이병화 2016  230
152 14 재생산 기술 인간복제에 대한 헌법적 평가 / 권순현 2006  229
151 14 재생산 기술 출산테크놀로지에 대한 여성학적 접근 : 시험관 아기 기술을 중심으로 / 조영미 1994  229
150 14 재생산 기술 착상 전 돼지 수정란의 효율적인 초급속 동결 방법 개발에 관한 연구 / 정학준 2016  228
149 14 재생산 기술 FCST 맞춤형 음양균형장치를 위주로 한 보조생식술 실패 후 난임 치료 후 출산 증례 / 채기헌 2015  222
148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 관련 법제도 개선방안 연구/이현아 외 2017  220
» 14 재생산 기술 한국 불임 여성에서 난포자극호르몬 수용체 유전자형과 체외수정 및 배아이식술 임상 결과와의 관련성 / 문미혜 외 2008  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