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26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OUGHTOPIA(The Journal of Social Paradigm Studies)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2674382 
재생산 기술과 여성의 시민권

                     

  • 저자명

    정인경                                             

  • 학술지명

    OUGHTOPIA(The Journal of Social Paradigm Studies)                           

  • 권호사항

    Vol.30 No.1 [2015]                                                          

  • 발행처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 발행처 URL

    http://crhs.khu.ac.kr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5-34(30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5년

  • 초록 (Abstract)
    • 본 연구는 생명공학 분야의 전문적 지식·기술의 사회적 영향력이 증대하는 현실을 인간의 재생산에 초점을 맞춰 검토해 보고자 한다. 생명공학은 질병의 치료를 목적으로 한 유전자 조작 �...
  • 본 연구는 생명공학 분야의 전문적 지식·기술의 사회적 영향력이 증대하는 현실을 인간의 재생산에 초점을 맞춰 검토해 보고자 한다. 생명공학은 질병의 치료를 목적으로 한 유전자 조작 및 배아 복제 시도와 재생산 과정에의 개입 두 가지로 대별되지만 기술적 차원에서 양자를 구별하는 것은 별 의미가 없다. 양자 모두 난자와 배아를 다루는 조작과 개입을 필수적이고도 핵심적인 절차로 삼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재생산 기술은 배란, 수정, 착상, 분만 등의 과정이 한 여성의 몸에서 연속적으로 일어나는 과정일 필요가 없도록 만들었다. 난자 공여, 배아 공여, 대리모 등의 선택이 가능해진 것이다. 또한 이로써 여성이 남성과 성적으로 결합하여 임신·출산하는 것을 전제로 한 모성 개념이 더 이상 당연한 것이 아니게 되었다. 이러한 기술의 활용은 여성을 그 직접적 대상으로 하며 그 영향에 있어서도 여성의 생물학적·사회적 현실을 뒤흔들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이에 주목하여 본 연구는 현 재생산 기술의 특징을 살펴보고 이것이 여성에게 미치는 영향을 여성의 시민권, 특히 재생산 권리와 재생산 건강의 측면에서 평가해보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이 기술의 활용에서 여성의 욕구와 건강이 일차적인 고려사항이 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                                                                              
  •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문제제기
  • Ⅱ. 재생산과 여성의 시민권
  • Ⅲ. 페미니스트 과학기술론
  • Ⅳ. 체외수정 기술과 재생산의 분절화
  • Ⅴ. 재생산 기술과 재생산 권리
  • Ⅵ.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06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계약규정을 위한 법률안의 제안 / 윤혜란 2006  149
105 14 재생산 기술 비배우자간인공수태술에 대한 의학적 · 법적 문제점 / 김향미 2007  355
104 14 재생산 기술 생식 윤리학에 있어서의 여성주의 방법론 연구 / 이혜정 2007  96
103 14 재생산 기술 체외수정을 통한 대리모 출산에 대한 인식 조사 / 박준철 2007  469
102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의료에 있어서 계약법리의 적용 / 최행식 2008  46
101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의료의 법규제와 친자관계에 관한 연구 / 박민제 2008  109
100 14 재생산 기술 한국의 임신·출산 거래 연구 / 하정옥 2015  137
99 14 재생산 기술 인도의 상업적 대리모 연구 / 허라금 2015  246
98 14 재생산 기술 국제대리모계약에 관한 연구 / 이병화 2016  230
97 14 재생산 기술 직장내 여성 차별에 관한 최신 미연방대법원 판례와 우리 법제에 대한 시사점 / 성중탁 2016  219
96 14 재생산 기술 베트남 親子法 개관 - 2014년 혼인과 가족법과 2010년 입양법을 중심으로 / 이재열 2016  190
95 14 재생산 기술 저출산 시대 사회적 보호가 필요한 아동의 양육의 질 제고를 위한 정책방향 / 변미희 2011  266
94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의료의 법적규제 및 실제에 대한 대처 / 김성은 2012  63
93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계약에 기해 출생한 자의 친자관계 결정기준 / 윤우일 2012  172
92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 규제 입법에 대한 각국의 현황과 그 영향 / 하정옥 2016  95
91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 관련 법제도 개선방안 연구/이현아 외 2017  220
90 14 재생산 기술 조혈모세포 기증 향상을 위한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박충민, 안소희 2017  267
89 14 재생산 기술 초급속 동결보존한 체외수정란 유래의 형질전환 마우스 생산효율성 검토 / 김현, 최창용, 성환후 2015  116
» 14 재생산 기술 재생산 기술과 여성의 시민권 / 정인경 2015  126
87 14 재생산 기술 생식내분비학 : 배란유도제의 올바른 사용과 부작용의 처치 / 김학순 2004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