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26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OUGHTOPIA(The Journal of Social Paradigm Studies)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2674382 
재생산 기술과 여성의 시민권

                     

  • 저자명

    정인경                                             

  • 학술지명

    OUGHTOPIA(The Journal of Social Paradigm Studies)                           

  • 권호사항

    Vol.30 No.1 [2015]                                                          

  • 발행처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 발행처 URL

    http://crhs.khu.ac.kr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5-34(30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5년

  • 초록 (Abstract)
    • 본 연구는 생명공학 분야의 전문적 지식·기술의 사회적 영향력이 증대하는 현실을 인간의 재생산에 초점을 맞춰 검토해 보고자 한다. 생명공학은 질병의 치료를 목적으로 한 유전자 조작 �...
  • 본 연구는 생명공학 분야의 전문적 지식·기술의 사회적 영향력이 증대하는 현실을 인간의 재생산에 초점을 맞춰 검토해 보고자 한다. 생명공학은 질병의 치료를 목적으로 한 유전자 조작 및 배아 복제 시도와 재생산 과정에의 개입 두 가지로 대별되지만 기술적 차원에서 양자를 구별하는 것은 별 의미가 없다. 양자 모두 난자와 배아를 다루는 조작과 개입을 필수적이고도 핵심적인 절차로 삼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재생산 기술은 배란, 수정, 착상, 분만 등의 과정이 한 여성의 몸에서 연속적으로 일어나는 과정일 필요가 없도록 만들었다. 난자 공여, 배아 공여, 대리모 등의 선택이 가능해진 것이다. 또한 이로써 여성이 남성과 성적으로 결합하여 임신·출산하는 것을 전제로 한 모성 개념이 더 이상 당연한 것이 아니게 되었다. 이러한 기술의 활용은 여성을 그 직접적 대상으로 하며 그 영향에 있어서도 여성의 생물학적·사회적 현실을 뒤흔들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이에 주목하여 본 연구는 현 재생산 기술의 특징을 살펴보고 이것이 여성에게 미치는 영향을 여성의 시민권, 특히 재생산 권리와 재생산 건강의 측면에서 평가해보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이 기술의 활용에서 여성의 욕구와 건강이 일차적인 고려사항이 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                                                                              
  •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문제제기
  • Ⅱ. 재생산과 여성의 시민권
  • Ⅲ. 페미니스트 과학기술론
  • Ⅳ. 체외수정 기술과 재생산의 분절화
  • Ⅴ. 재생산 기술과 재생산 권리
  • Ⅵ.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266 14 재생산 기술 HIV 감염인에 있어서의 보조생식술 / 김희선 2009  102
265 14 재생산 기술 첨단의료보조생식에서의 법적 문제 / 송석현 2018  102
264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의료의 법규제와 친자관계에 관한 연구 / 박민제 2008  109
263 14 재생산 기술 한국의 시험관아기 시술 30년, 거버넌스의 부재와 위험의 증가: 전문가 역할을 중심으로 / 하정옥 2014  110
262 14 재생산 기술 국제대리모계약을 둘러싼 법적 친자관계 쟁점에 관한 헤이그국제사법회의의 최근 동향 분석 및 시사점 / 이병화 2017  110
261 14 재생산 기술 한방난임사업에 대한 의학적·통계학적 관점에서의 평가 / 채유미 외 2018  110
260 14 재생산 기술 제대혈 이식관리의 현황과 법적 문제 2003  112
259 14 재생산 기술 대리출산 자녀의 모자관계 결정기준 / 권재문 2010  113
258 14 재생산 기술 체외수정술에서 배양조건 개선을 위한 마우스모델 실험 / 유창석 2015  114
257 14 재생산 기술 초급속 동결보존한 체외수정란 유래의 형질전환 마우스 생산효율성 검토 / 김현, 최창용, 성환후 2015  116
256 14 재생산 기술 인공자궁 등 첨단의료기술에 근거한 체외배아의 법적지위 고찰/유지홍 2016  118
255 14 재생산 기술 베트남 체외수정 및 대리출산 법제 개관 / 이재열 2017  120
254 14 재생산 기술 법적 부모 규정방식 변화의 필요성: 보조생식술에 따른 모성ㆍ부성 개념 변화와 관련하여 / 김은애 2009  121
253 14 재생산 기술 연속합성배양액들의 개발과 시험관아기프로그램에서 그들의 임상적용에 관한 연구 / 윤산현 2005  121
252 14 재생산 기술 인간복제의 생명윤리학적 연구 / 이선희 2001  122
251 14 재생산 기술 임상연구 : 다낭성난소증후군 환자에서 체질량지수가 체외수정시술에 미치는 영향 / 전균호 외 2009  122
250 14 재생산 기술 정자 기증, 보관 및 수증 체계 관련 국민 인식 조사 / 강성민 2017  122
» 14 재생산 기술 재생산 기술과 여성의 시민권 / 정인경 2015  126
248 14 재생산 기술 IVF로 세쌍둥이를 임신한 여성의 임신오조 치험1례 / 김정아 외 2015  130
247 14 재생산 기술 프랑스법상 대리모계약으로 출생한 자의 부모결정기준과 자녀의 복리 / 서종희 2017  1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