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26
발행년 : 201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462212 
난임 여성을 대상으로 소책자와 스마트폰을 활용한 동영상 교육의 효과 : 시험관아기 시술과정을 중심으로

                        

  • 기타서명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using videos with smartphones and a booklet on fertility women : focused on the process of in vitro fertilization

  • 저자

    서은희                                       

  • 형태사항

    iv, 52 p. : 삽화 ; 26 cm

  • 일반주기

    경희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윤태영
    참고문헌: p. 38-42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 의료관리학과 병원행정전공 2017. 2

  • DDC

    351-E 22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7                                                                                                                                                              


  • 초록 (Abstract)
    • 본 연구는 시험관아기 시술을 처음 시도하는 난임 여성을 위해 ‘시험관아기 시술관련 Q&A'를 개발하고 기존 ‘체외수정 시술안내(시험관아기)’ 동영상 교육과 같은 내용으로 소책자를 ...
  • 본 연구는 시험관아기 시술을 처음 시도하는 난임 여성을 위해 ‘시험관아기 시술관련 Q&A'를 개발하고 기존 ‘체외수정 시술안내(시험관아기)’ 동영상 교육과 같은 내용으로 소책자를 제작하여 지식정도나 교육만족도 조사를 통해 교육의 효과를 비교하고 시험관아기 시술 난임 여성에게 좀 더 효율적인 교육 방안을 찾고자 시도하였다. 2016년 9월 10일부터 2016년 10월 25일까지 서울시 'S여성병원'에서 시험관아기 시술을 처음 시도하는 난임 여성 중에서 연구 참여에 동의한 총 131명 중 교육 자료를 끝까지 보지 않았거나 설문지의 응답을 성실히 하지 않은 9명이 탈락되었다. 교육자료 제공은 대상자가 선택하게 하였으며 선택결과로는 소책자 45명, 동영상 35명, 동영상과 소책자 42명으로 총 122명을 선정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동영상은 현재 ‘S여성병원’에서 사용하고 있는 체외수정 시술안내(시험관아기)과정의 내용이며 동영상을 선택한 대상자에게는 HI-chart로 처방하여 문자로 보내주고, 대상자는 본인의 스마트폰으로 동영상을 실행하여 교육 자료를 볼 수 있게 하였다. 소책자는 동영상과 같은 교육내용을 1/2크기의 포켓용으로 연구자가 제작하여 대상자에게 제공하였다. 소책자를 선택하는 경우 Q&A자료는 시험관아기 시술을 진행하면서 가장 궁금해 하는 내용을 난임 센터 전문의 5인과 10년차 이상의 간호사 7인의 자문을 얻어 16문항으로 추가하여 제공하였고, 동영상을 선택하는 경우는 연구자의 블로그에 Q&A자료를 저장하고 블로그 주소를 Capture한 후 대상자에게 HI-chart와 함께 문자로 보낸 뒤 자료를 download 받아 스마트폰에서 볼 수 있게 하였다. 조사도구인 지식측정 문항은 선행연구 자료가 없어 전문가 집단의 내용타당도와 일반인 집단의 내용난이도 검증을 받아 17문항을 만들었다. 교육만족도 문항은 정인성, 임정훈(1999)이 개발한 웹 기반 가상수업에서의 검사 도구를 수정, 보완하였고, 도구의 신뢰도 Cronbach’s ɑ= .895 였다. 대상자에게는 다음 병원 내원일인 생리7~8일째 지식정도와 교육만족도를 조사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21.0을 이용하였고,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기술통계량과 빈도 분석을 사용하였고, ANOVA와 교차분석으로 동질성 검증을 하였으며, 교육 자료의 차이 검증은 ANOVA, Scheffe, 회귀분석, 상관분석을 사용하였다. 논문의 중요한 변수가 될 수 있는 지식정도 문항별 정답률은 퍼센트로 ex) 맞은갯수/소책자군의 표본수 *100을 이용하여 백분율로 구하였다. 본 연구 결과 지식정도 문항별 전체 평가결과는 소책자와 동영상을 제공받은 군이 86.83%의 정답률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소책자 군이 85.49%, 동영상군 82.02%의 순으로 나타났다.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한 결과를 보면, 지식수준은 동영상군 13.912.369점, 소책자군 14.641.540점, 소책자+동영상군 14.742.165점으로 세 군에 있어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교육만족도에 있어서는 소책자군 4.140.534점, 동영상군 4.310.581점, 소책자+동영상군 4.410.538점 순으로 소책자+동영상군의 점수가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시험관 시술을 진행하는 대상자의 교육 요구도를 파악하고, 그에 따라 체계적이고 표준화된 교육 자료를 제작하여 소책자와 동영상을 적절히 제공한다면, 난임 여성의 지식을 증진시키고 교육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라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난임 여성을 대상으로 하여 교육에 대한 연구를 처음 시도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고, 또한 시험관아기 시술 대상자에게 제공하는 교육내용과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실무에서는 실제 교육 자료를 형식적인 것이 아니라, 난임 여성의 요구를 적극 반영하여 제작하는 것이 중요하고 또 시급히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3
  • 3. 용어의 정의 3
  • Ⅱ. 문헌고찰 5
  • 1. 시험관아기 시술 교육 - 환자 교육의 중요성 5
  • 2. 스마트폰을 이용한 동영상 교육 6
  • 3. 소책자를 이용한 교육 8
  • 4. 소책자와 동영상을 이용한 교육 9
  • Ⅲ. 연구방법 11
  • 1. 연구대상 및 기간 11
  • 2. 연구방법 11
  • 3. 연구의 윤리적 확보 12
  • 4. 연구도구 12
  • 1) 교육동영상과 소책자 -체외수정 시술안내(시험관아기) 12
  • 2) 시험관아기 시술관련 Q&A 13
  • 5. 조사도구 (설문지 구성) 13
  • 1) 교육 자료를 기반으로 지식측정 문항 구성 14
  •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4
  • 3) 교육 자료에 대한 만족도 14
  • 6. 자료 분석 방법 15
  • Ⅳ. 연구 결과 16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동질성 검증 16
  • 2. 교육자료 선택과 본 횟수 18
  • 3. 지식정도 문항별 정답률 19
  • 4. 교육만족도의 내적 일치도 20
  • 5.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지식수준과 교육만족도 차이 22
  • 6. 교육자료 제공 후 지식수준과 교육만족도 차이 24
  • 7. 교육만족도와 지식수준 (상관분석) 25
  • 8. 교육만족도와 지식수준 (회귀분석) 26
  • Ⅴ. 논의 28
  • Ⅵ. 결론 및 제언 33
  • 1. 결론 33
  • 2. 제언 35
  • < 참 고 문 헌 > 38
  • < 부 록 > 4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06 14 재생산 기술 성정체성장애(GID)로 인한 성별변경과 비배우자간의 인공수정(AID) 자녀에 대한 친자추정 법리/김민규 2018  136
305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 이야기』의 현재성: 희망 없는 시대의 정치학 / 강의혁 2018  150
304 14 재생산 기술 중국의 냉동배아 상속안에 관한 법적 고찰 / 김현경 2018  141
303 14 재생산 기술 완전대리모/자궁대리모가 개입된 배우자간 보조생식술에서 법적 부모 결정 문제/ 김은애, 유수정 2018  734
302 14 재생산 기술 미국에서의 대리모에 관한 최근 입법 동향- 2017년 통일친자법을 중심으로 / 진도왕 2018  267
301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 관련 법제도 개선방안 연구/이현아 외 2017  220
300 14 재생산 기술 조혈모세포 기증 향상을 위한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박충민, 안소희 2017  267
299 14 재생산 기술 정자 DNA 분절이 체외수정시술의 결과에 미치는 영향 / 최화영 2017  195
» 14 재생산 기술 난임 여성을 대상으로 소책자와 스마트폰을 활용한 동영상 교육의 효과 : 시험관아기 시술과정을 중심으로 / 서은희 2017  345
297 14 재생산 기술 임신출산 관련 의료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 요인 / 진주희 2017  157
296 14 재생산 기술 임신ㆍ출산에 관한 여성의 자기결정권 / 김채윤 2017  725
295 14 재생산 기술 기혼 여성의 난임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정영민 2017  64
294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 받은 여성의 난임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요인/정유정 2017  182
293 14 재생산 기술 인공임신을 통한 대리모계약의 유효론과 제반쟁점 / 윤석찬 2017  320
292 14 재생산 기술 여성의 난임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기다림과 만남” / 정영민 외 2017  93
291 14 재생산 기술 난임여성의 자아존중감, 신체상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요인 / 황란희 2017  135
290 14 재생산 기술 난임 여성의 비합리적 부모신념,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배우자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양소라 외 2017  83
289 14 재생산 기술 정자 기증, 보관 및 수증 체계 관련 국민 인식 조사 / 강성민 2017  123
288 14 재생산 기술 헌재 2010.5.27. 선고, 2005헌마346 전원재판부 결정내의 인간배아 발생의 자연과학적 인식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최진일 2017  283
287 14 재생산 기술 임신·출산 지원 보건의료정책의 현황과 추진 방향 / 이소영 2017  2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