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26
발행년 : 201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507433 
정자 DNA 분절이 체외수정시술의 결과에 미치는 영향 : Impact of sperm DNA fragmentation on clinical IVF outcomes

                                            

  • 저자

    최화영                                       

  • 형태사항

    34 ;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지병철

  • 학위논문사항

    Thesis(M.A.)--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의학과 산부인과학 2017. 2

  • DDC

    610

  • 발행국

    대한민국

  • 언어

    영어

  • 출판년

    2017                                                                                

  • 초록 (Abstract)
    • Background and Objective: Ongoing debates exist regarding the impact of sperm DNA fragmentation (SDF) on clinical IVF outcom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SDF levels affect fertilization rate, pregnancy rate and miscarriage rate i...
  • Background and Objective: Ongoing debates exist regarding the impact of sperm DNA fragmentation (SDF) on clinical IVF outcom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SDF levels affect fertilization rate, pregnancy rate and miscarriage rate in couples undergoing fresh IVF cycles. Method: This retrospective study investigated 169 consecutive fresh IVF cycles performed between January 2012 and June 2014. Semen was collected on the day of oocyte retrieval and standard sperm quality was assessed in the raw semen. In addition to standard semen parameters, SDF was also measured by TUNEL method. Poor ovarian responder (POR) was defined when three or less mature oocytes were collected. Oocytes were inseminated by the conventional method (n = 69) or by ICSI (n = 95) depending on the quality of sperm and oocyte. The embryos were transferred three or five days after oocyte retrieval. Miscarriage was defined as pregnancy loss before 12 weeks of gestation. Results: SDF level did not affect fertilization rate or pregnancy rate, but SDF level did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miscarriage rate. In the miscarriage group (n = 10), SDF level was significantly higher (23.9% vs. 14.1%) and number of mature oocytes was significantly lower (4.3 vs. 7.6) when compared with the live birth group (n = 45).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SDF level was an independent predictor for miscarriage (OR 1.051, 95% CI 1.001 - 1.104). For prediction of miscarriage, the cutoff for SDF level was >13% and the cut-off for number of mature oocytes was ≤3. In the low SDF group (≤13%), miscarriage rate was similar between POR and normal ovarian responder (NOR) (14.2% vs. 4.3%). In the high SDF group (>13%), miscarriage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POR than NOR (60% vs. 13.3%, p = 0.045).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high SDF level (>13%) was associated with high miscarriage rate. High SDF level contributes to miscarriage only in the POR group. The results suggest that SDF measurement should be considered in couples with POR in order to predict the prognosis of the IVF pregnancy
  • 목차 (Table of Contents)
  • Introduction 1
  • Materials and methods 4
  • Results 10
  • Discussion 25
  • References 29
  • 국문초록 3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46 14 재생산 기술 산전 진단을 통해 선천성 심장병을 알게 된 환아 어머니의 임신유지 경험 / 임유미 2014  219
145 14 재생산 기술 배아복제 논의에 있어서 단정적 태도와 오류가능성 인정 태도 / 유호종 2005  219
144 14 재생산 기술 고연령 산모에서 태어난 신생아의 출생 체중: 분포와 특징 / 조기현 2014  219
143 14 재생산 기술 직장내 여성 차별에 관한 최신 미연방대법원 판례와 우리 법제에 대한 시사점 / 성중탁 2016  219
142 14 재생산 기술 생명복제에 대한 신학적 고찰 / 김주혁 2005  217
141 14 재생산 기술 독일법상 신뢰출산제도의 시행과 평가에 관한 소고 / 한명진 2019  216
140 14 재생산 기술 줄기세포(stem cell)연구에 대한 윤리신학적 고찰 / 김태정 2010  214
139 14 재생산 기술 난임부부지원사업 개선연구: 난임여성의 안전 및 삶의 질 보호방안 마련을 중심으로 / 이현아 2016  211
138 14 재생산 기술 체외수정 및 체세포 핵이식 유래 돼지 배아줄기세포의 초미세구조 비교 / 유현주 2015  209
137 14 재생산 기술 우리는 비배우자 인공수정과 대리모출산에 대해 어떠한 결단을 내리 수 있는가 / 문윤정 1994  206
136 14 재생산 기술 저출산, 기혼여성의 노동공급 및 희망임금에 관한 세 논문 / 남국현 2013  203
135 14 재생산 기술 인간복제에 관한 국내외의 입법의 규제동향 / 윤명석 2010  200
134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에 있어서 침의 중재에 대한 임상연구 동향 -Pubmed를 중심으로 / 배경미 2009  199
133 14 재생산 기술 난자 및 배아성숙이 시험관아기시술 성공률에 미치는 영향 / 이여일 1997  199
132 14 재생산 기술 의학치료목적의 생명복제기술에 대한 특허법적 보호문제 / 윤석찬 2002  199
131 14 재생산 기술 시험관 아기 시술의 최근 동향 : 성선자극 호르몬을 이용한 과배란 방법과 생식세포 복강내 이식의 국내 최초 시도에 관한 연구 / 이상훈 1991  198
130 14 재생산 기술 착상 전 인간 배아의 유전자 편집에 대한 법철학적 고찰 / 장하람 2019  196
» 14 재생산 기술 정자 DNA 분절이 체외수정시술의 결과에 미치는 영향 / 최화영 2017  195
128 14 재생산 기술 난임 여성의 비합리적 부모신념, 가족지지, 회복탄력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조은영 2019  192
127 14 재생산 기술 난임 여성의 심리사회적 적응을 위한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 강은영 2015  1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