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26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아주법학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2058645 
베트남 親子法 개관 - 2014년 혼인과 가족법과 2010년 입양법을 중심으로 -

                    

  • 저자명

    이재열                                              

  • 학술지명

    아주법학                         

  • 권호사항

    Vol.10 No.2 [2016]                                                           

  • 발행처

    아주대학교 법학연구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41-66(26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6년

초록 (Abstract)

  • 베트남에서의 親子關係는 ‘혼인과 가족법’과 ‘입양법’에 의해 규율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베트남 친자관계에 있어서 친생자녀와 양자 및 부모와 자녀의 권리와 의무에 관하여 ‘혼인...
  • 베트남에서의 親子關係는 ‘혼인과 가족법’과 ‘입양법’에 의해 규율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베트남 친자관계에 있어서 친생자녀와 양자 및 부모와 자녀의 권리와 의무에 관하여 ‘혼인과 가족법’과 ‘입양법’의 규정을 중심으로 개관하고 우리의 민법 및 입양특례법의 내용과 비교하여 보았다. 베트남 ‘혼인과 가족법’은 부부의 혼인기간 중에 출산하거나 혼인기간 중에 포태한 자녀는 부부의 혼인중의 출생자이고, 혼인종료 시점으로부터 300일 내에 출생한 자녀는 처가 혼인기간 중 포태한 것으로 보고 있으며, 또한 준정을 규정하고 있다. 2014년 전문 개정된 ‘혼인과 가족법’은 보조생식기술과 대리출산의 규정을 신설하여 이에 관련된 부모와 자녀 사이의 법률관계를 입법적으로 해결하였다. 보조생식기술에 의한 자녀 출산은 정자공여자⋅난자공여자⋅胚공여자와 태어난 아이 사이에 부⋅모와 자녀 관계를 발생시키지 않고, 인도적 목적의 대리출산으로 출생한 자녀는 자녀가 출생한 시점부터 대리출산 의뢰인 부부의 친생자이다. 베트남 입양법은 우리의 민법과 입양특례법의 규율내용을 포함하고 있는데, 국내입양과 외국적 요소가 있는 입양으로 구분하고 있다. 또한 입양은 양자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한다고 선언하고 있고, 입양가족 선택의 순위를 규정하고 있다. 원칙적으로 16세 미만인 아동이 양자가 될 수 있고, ① 완전한 민사행위능력을 갖추고, ② 양자보다 20세 이상 연장자이며, ③ 양자의 돌봄⋅양육⋅교육을 보장하기 위하여 건강⋅경제⋅주거에 관한 요건을 갖추고, ④ 훌륭한 도덕적 자격을 갖춘자가 입양을 할 수 있다. ‘혼인과 가족법’은 부모가 자녀에 대해서 갖는 권리⋅의무와 자녀가 부모에 대해서 갖는 권리⋅의무 및 미성년 자녀에 대한 부⋅모의 권리 제한을 규정하고 있다. 부모와 자녀의 권리와 의무는 ‘혼인과 가족법’⋅민법 및 기타 관련법의 규정에 따라 존중되고 보호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언
  • Ⅱ. 친생자녀
  • Ⅲ. 양자
  • Ⅳ. 부모와 자녀의 권리⋅의무
  • Ⅴ. 결어
  • 참고문헌
  •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146 14 재생산 기술 산전 진단을 통해 선천성 심장병을 알게 된 환아 어머니의 임신유지 경험 / 임유미 2014  219
145 14 재생산 기술 배아복제 논의에 있어서 단정적 태도와 오류가능성 인정 태도 / 유호종 2005  219
144 14 재생산 기술 고연령 산모에서 태어난 신생아의 출생 체중: 분포와 특징 / 조기현 2014  219
143 14 재생산 기술 직장내 여성 차별에 관한 최신 미연방대법원 판례와 우리 법제에 대한 시사점 / 성중탁 2016  219
142 14 재생산 기술 생명복제에 대한 신학적 고찰 / 김주혁 2005  217
141 14 재생산 기술 독일법상 신뢰출산제도의 시행과 평가에 관한 소고 / 한명진 2019  216
140 14 재생산 기술 줄기세포(stem cell)연구에 대한 윤리신학적 고찰 / 김태정 2010  213
139 14 재생산 기술 난임부부지원사업 개선연구: 난임여성의 안전 및 삶의 질 보호방안 마련을 중심으로 / 이현아 2016  210
138 14 재생산 기술 체외수정 및 체세포 핵이식 유래 돼지 배아줄기세포의 초미세구조 비교 / 유현주 2015  209
137 14 재생산 기술 우리는 비배우자 인공수정과 대리모출산에 대해 어떠한 결단을 내리 수 있는가 / 문윤정 1994  206
136 14 재생산 기술 저출산, 기혼여성의 노동공급 및 희망임금에 관한 세 논문 / 남국현 2013  203
135 14 재생산 기술 인간복제에 관한 국내외의 입법의 규제동향 / 윤명석 2010  200
134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에 있어서 침의 중재에 대한 임상연구 동향 -Pubmed를 중심으로 / 배경미 2009  199
133 14 재생산 기술 난자 및 배아성숙이 시험관아기시술 성공률에 미치는 영향 / 이여일 1997  199
132 14 재생산 기술 의학치료목적의 생명복제기술에 대한 특허법적 보호문제 / 윤석찬 2002  199
131 14 재생산 기술 시험관 아기 시술의 최근 동향 : 성선자극 호르몬을 이용한 과배란 방법과 생식세포 복강내 이식의 국내 최초 시도에 관한 연구 / 이상훈 1991  198
130 14 재생산 기술 정자 DNA 분절이 체외수정시술의 결과에 미치는 영향 / 최화영 2017  195
129 14 재생산 기술 착상 전 인간 배아의 유전자 편집에 대한 법철학적 고찰 / 장하람 2019  195
128 14 재생산 기술 난임 여성의 비합리적 부모신념, 가족지지, 회복탄력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조은영 2019  192
127 14 재생산 기술 난임 여성의 심리사회적 적응을 위한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 강은영 2015  1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