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26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아주법학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2058645 
베트남 親子法 개관 - 2014년 혼인과 가족법과 2010년 입양법을 중심으로 -

                    

  • 저자명

    이재열                                              

  • 학술지명

    아주법학                         

  • 권호사항

    Vol.10 No.2 [2016]                                                           

  • 발행처

    아주대학교 법학연구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41-66(26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6년

초록 (Abstract)

  • 베트남에서의 親子關係는 ‘혼인과 가족법’과 ‘입양법’에 의해 규율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베트남 친자관계에 있어서 친생자녀와 양자 및 부모와 자녀의 권리와 의무에 관하여 ‘혼인...
  • 베트남에서의 親子關係는 ‘혼인과 가족법’과 ‘입양법’에 의해 규율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베트남 친자관계에 있어서 친생자녀와 양자 및 부모와 자녀의 권리와 의무에 관하여 ‘혼인과 가족법’과 ‘입양법’의 규정을 중심으로 개관하고 우리의 민법 및 입양특례법의 내용과 비교하여 보았다. 베트남 ‘혼인과 가족법’은 부부의 혼인기간 중에 출산하거나 혼인기간 중에 포태한 자녀는 부부의 혼인중의 출생자이고, 혼인종료 시점으로부터 300일 내에 출생한 자녀는 처가 혼인기간 중 포태한 것으로 보고 있으며, 또한 준정을 규정하고 있다. 2014년 전문 개정된 ‘혼인과 가족법’은 보조생식기술과 대리출산의 규정을 신설하여 이에 관련된 부모와 자녀 사이의 법률관계를 입법적으로 해결하였다. 보조생식기술에 의한 자녀 출산은 정자공여자⋅난자공여자⋅胚공여자와 태어난 아이 사이에 부⋅모와 자녀 관계를 발생시키지 않고, 인도적 목적의 대리출산으로 출생한 자녀는 자녀가 출생한 시점부터 대리출산 의뢰인 부부의 친생자이다. 베트남 입양법은 우리의 민법과 입양특례법의 규율내용을 포함하고 있는데, 국내입양과 외국적 요소가 있는 입양으로 구분하고 있다. 또한 입양은 양자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한다고 선언하고 있고, 입양가족 선택의 순위를 규정하고 있다. 원칙적으로 16세 미만인 아동이 양자가 될 수 있고, ① 완전한 민사행위능력을 갖추고, ② 양자보다 20세 이상 연장자이며, ③ 양자의 돌봄⋅양육⋅교육을 보장하기 위하여 건강⋅경제⋅주거에 관한 요건을 갖추고, ④ 훌륭한 도덕적 자격을 갖춘자가 입양을 할 수 있다. ‘혼인과 가족법’은 부모가 자녀에 대해서 갖는 권리⋅의무와 자녀가 부모에 대해서 갖는 권리⋅의무 및 미성년 자녀에 대한 부⋅모의 권리 제한을 규정하고 있다. 부모와 자녀의 권리와 의무는 ‘혼인과 가족법’⋅민법 및 기타 관련법의 규정에 따라 존중되고 보호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언
  • Ⅱ. 친생자녀
  • Ⅲ. 양자
  • Ⅳ. 부모와 자녀의 권리⋅의무
  • Ⅴ. 결어
  • 참고문헌
  •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266 14 재생산 기술 HIV 감염인에 있어서의 보조생식술 / 김희선 2009  102
265 14 재생산 기술 첨단의료보조생식에서의 법적 문제 / 송석현 2018  102
264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의료의 법규제와 친자관계에 관한 연구 / 박민제 2008  109
263 14 재생산 기술 한국의 시험관아기 시술 30년, 거버넌스의 부재와 위험의 증가: 전문가 역할을 중심으로 / 하정옥 2014  110
262 14 재생산 기술 국제대리모계약을 둘러싼 법적 친자관계 쟁점에 관한 헤이그국제사법회의의 최근 동향 분석 및 시사점 / 이병화 2017  110
261 14 재생산 기술 한방난임사업에 대한 의학적·통계학적 관점에서의 평가 / 채유미 외 2018  110
260 14 재생산 기술 제대혈 이식관리의 현황과 법적 문제 2003  112
259 14 재생산 기술 대리출산 자녀의 모자관계 결정기준 / 권재문 2010  113
258 14 재생산 기술 체외수정술에서 배양조건 개선을 위한 마우스모델 실험 / 유창석 2015  114
257 14 재생산 기술 초급속 동결보존한 체외수정란 유래의 형질전환 마우스 생산효율성 검토 / 김현, 최창용, 성환후 2015  116
256 14 재생산 기술 인공자궁 등 첨단의료기술에 근거한 체외배아의 법적지위 고찰/유지홍 2016  118
255 14 재생산 기술 베트남 체외수정 및 대리출산 법제 개관 / 이재열 2017  120
254 14 재생산 기술 법적 부모 규정방식 변화의 필요성: 보조생식술에 따른 모성ㆍ부성 개념 변화와 관련하여 / 김은애 2009  121
253 14 재생산 기술 연속합성배양액들의 개발과 시험관아기프로그램에서 그들의 임상적용에 관한 연구 / 윤산현 2005  121
252 14 재생산 기술 인간복제의 생명윤리학적 연구 / 이선희 2001  122
251 14 재생산 기술 임상연구 : 다낭성난소증후군 환자에서 체질량지수가 체외수정시술에 미치는 영향 / 전균호 외 2009  122
250 14 재생산 기술 정자 기증, 보관 및 수증 체계 관련 국민 인식 조사 / 강성민 2017  122
249 14 재생산 기술 재생산 기술과 여성의 시민권 / 정인경 2015  126
248 14 재생산 기술 IVF로 세쌍둥이를 임신한 여성의 임신오조 치험1례 / 김정아 외 2015  130
247 14 재생산 기술 프랑스법상 대리모계약으로 출생한 자의 부모결정기준과 자녀의 복리 / 서종희 2017  1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