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26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페미니즘 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947989 
한국의 임신·출산 거래 연구
= Pregnancy and Birth Transaction in Korea - Reproductive Technologies and the Intention of Parenthood -

                   

  • 저자명

    하정옥(Ha, Jung-Ok)                                              

  • 학술지명

    페미니즘 연구                              

  • 권호사항

    Vol.15 No.1 [2015]                                                          

  • 발행처

    한국여성연구소                                   

  • 발행처 URL

    http://www.kwsi.or.kr/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69-209(41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5년

초록 (Abstract)

  • 이 논문은 한국에서 ‘대리모’라는 말과 연관된 현실과 담론을 연구하는 데서 허용/반대를 논하기에 앞서 먼저 고려해 보아야 할 사항을 검토한다. 이 글에서는 ‘대리모’ 대신 ‘임신·...
  • 이 논문은 한국에서 ‘대리모’라는 말과 연관된 현실과 담론을 연구하는 데서 허용/반대를 논하기에 앞서 먼저 고려해 보아야 할 사항을 검토한다. 이 글에서는 ‘대리모’ 대신 ‘임신·출산 거래’라는 용어로, 한국에서 재생산을 둘러싼 규범과 제도가 생식기술의 도입과 부모됨(parenthood)의 문화적 변동으로 어떤 파열음을 내고 봉합되고 있는가를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검토하고자 연구 질문은 한국의 임신·출산 거래와 관련하여 당연시되는 전제 세 가지이다. 첫 번째는 임신·출산 거래의 불가피성을 강조하는 데서 반드시 등장하는 최근 한국의 불임 인구의 증가 관련 수치이다. 증가한 것은 불임 인구가 아니라 정부의 체외수정(시험관아기) 시술비 지원에 따른 불임으로 진단받은 인구의 증가이다. 두 번째는 아이를 원하는 것은 자연적 본능이라는 전제이다. 오늘날 부모됨을 규정하는 주요한 요소는 혈연적 본능이 아니라 부모가 되고자 하는 의지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임신·출산 거래에 대해 선별적인 규제와 친자 관계 보완이 필요하다는 전제이다. 이타적 호혜와 상업적 거래의 구분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며, 출생의 가족주의에 대한 성찰 없이 친자 관계 보완만으로는 아동의 권리를 보장할 수 없다. 한국의 임신·출산 거래 현실은 낯설지만 익숙한 다른 사회적 현실과 연동하고 있기에 의료기술의 적용에 대한 분석 이상을 요구한다. 성별 규범에서 모성의 의미, 가족관계로만 인식되고 인정되는 출생, 아이의 권리 부재 등 오늘날 한국 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이슈들을 함께 고려해야 임신·출산 거래에 대한 연구와 현실적 대안 마련이 가능할 것이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들어가며
    • 2. 이론적 검토 : 재생산과 생식 기술 그리고 페미니스트 정치
    • 3. 한국의 임신·출산 거래의 현황
    • 4. 사회적 사실로서의 ‘불임인구’와 부모되기
    • 5. 이타적 호혜의 권력관계와 출생의 가족주의
    • 6. 결론 : 요약과 전망
    • 참고문헌
    • Abstract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4 재생산 기술 난포의 크기와 난황의 첨가가 초자화동결소 미성숙난포란의 생존성에 미치는 영향 / 연승은

    발행년 2001 

    • 조회 수 366

    14 재생산 기술 동물 권리론으로 본 동물 복제 / 김성한

    발행년 2014 

    • 조회 수 362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계약에 관한 연구 / 이봉림

    발행년 2008 

    • 조회 수 360

    14 재생산 기술 비배우자간인공수태술에 대한 의학적 · 법적 문제점 / 김향미

    발행년 2007 

    • 조회 수 355

    14 재생산 기술 체외 수정 시술을 시행하는 여성에서 항인지질 항체가 체외 수정 시술의 결과에 미치는 영향 /박은주

    발행년 2001 

    • 조회 수 353

    14 재생산 기술 포유동물 초기배아의 체외성숙과 체외발달 및 이종간의 체외수정에 대한 연구 / 김영훈

    발행년 2010 

    • 조회 수 350

    14 재생산 기술 21세기 생명복제에 관한 기독교 윤리적인 견해 / 한경옥

    발행년 2006 

    • 조회 수 349

    14 재생산 기술 난임 여성을 대상으로 소책자와 스마트폰을 활용한 동영상 교육의 효과 : 시험관아기 시술과정을 중심으로 / 서은희

    발행년 2017 

    • 조회 수 345

    14 재생산 기술 푸코로 읽는 영화 〈네버 렛 미 고〉의 휴머니즘/ 최영미, 조이운

    발행년 2018 

    • 조회 수 344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에 대한 공적 규제 및 지원·감독 체계에 관한 연구 / 김은애

    발행년 2014 

    • 조회 수 334

    14 재생산 기술 이주여성의 재생산권에 대한 국제인권법적 보호 / 이진규

    발행년 2010 

    • 조회 수 333

    14 재생산 기술 생명과학기술사회에서 여성의 생식권에 관한 연구 / 윤계형

    발행년 2009 

    • 조회 수 324

    14 재생산 기술 난자제공 여성의 보호관점에서 본 난자채취 손해배상 청구소송 / 김현아

    발행년 2015 

    • 조회 수 324

    14 재생산 기술 난임 여성의 난임 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 / 이영희

    발행년 2018 

    • 조회 수 324

    14 재생산 기술 불임에 관한 국내 한의학 연구의 동향 분석 / 양인석

    발행년 2013 

    • 조회 수 322

    14 재생산 기술 인공임신을 통한 대리모계약의 유효론과 제반쟁점 / 윤석찬

    발행년 2017 

    • 조회 수 320

    14 재생산 기술 불임여성의 몸을 통해 본 재생산 기술의 정치학 : 시험관 아기 기술을 중심으로 / 박용운

    발행년 2002 

    • 조회 수 318

    14 재생산 기술 영아의 생명권을 위한 규범적 고찰 / 엄주희

    발행년 2016 

    • 조회 수 315

    14 재생산 기술 온라인 모니터링을 통해 본한국의 불법생식세포 매매 실태 및 개선방안/문한나, 박소연, 김명희

    발행년 2016 

    • 조회 수 311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의 법적 문제점과 입법 필요성에 관한 연구 / 나은지

    발행년 2015 

    • 조회 수 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