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26
발행년 : 200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법학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77033058 
보조생식의료의 법규제와 친자관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Laws and Regulations of Supporting Reproductive Medicine and Child Relations

                                  

  • 저자명

    박민제(Park Min-Je)                                                

  • 학술지명

    법학연구             

  • 권호사항

    Vol.48 No.2 [2008]                                                           

  • 발행처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85-218(34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08년

초록 (Abstract)

  • 보조생식의료기술은 급속하게 발달하고 있다. 이에 관한 법적인 검토는 충분히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 이 수년간 흐른 뒤에 법적인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스웨덴, 프랑스 등 몇 개 ...
  • 보조생식의료기술은 급속하게 발달하고 있다. 이에 관한 법적인 검토는 충분히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 이 수년간 흐른 뒤에 법적인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스웨덴, 프랑스 등 몇 개 국가에서는 보조생식의료의 규제 및 태어난 子의 친자관계에 대해서 법규범의 정비가 이루어지고 있다. 법원에 의한 사법적 판단은 개별적인 사건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문제의 해결로서는 예측가능성을 흠결하고 있다. 그리고 우리나라에서 생식세포 등에 관한 법률안과 생명윤리및안전에관한법률 전부개정법률안이 제출되어 있는 상태이다. 여기에서 여러 외국 국가의 입법을 참고로 하면서 입법을 위한 문제의 해결을 조속히 해야 할 것이다. 생식의료의 진보는 불임에 고민하는 많은 부부를 고통으로부터 벗어나게 하는 것이다. 법학 측면에서는 생식의료에 의하여 태어난 子는 진정한 부모에 의하여 양육되도록 친자관계에 관한 법을 정비해 둘 필요가 있다. 대리출산에 관한 논의는 미국에서도 아직 충분하다고는 볼 수 없는 상황이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보조생식의료에 관한 사례
    • Ⅲ. 보조생식의료에 대한 기본바탕
    • Ⅳ. 보조생식의료와 친자관계
    • Ⅴ. 결론
    • 참고문헌
    • <국문 요약>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66 14 재생산 기술 한국의 시험관아기 시술 30년, 거버넌스의 부재와 위험의 증가: 전문가 역할을 중심으로 / 하정옥 2014  110
    65 14 재생산 기술 국제대리모계약을 둘러싼 법적 친자관계 쟁점에 관한 헤이그국제사법회의의 최근 동향 분석 및 시사점 / 이병화 2017  110
    64 14 재생산 기술 한방난임사업에 대한 의학적·통계학적 관점에서의 평가 / 채유미 외 2018  110
    »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의료의 법규제와 친자관계에 관한 연구 / 박민제 2008  109
    62 14 재생산 기술 인간 복제 논의에 대한 구조론적 분석 / 안승병 2004  102
    61 14 재생산 기술 HIV 감염인에 있어서의 보조생식술 / 김희선 2009  102
    60 14 재생산 기술 첨단의료보조생식에서의 법적 문제 / 송석현 2018  102
    59 14 재생산 기술 배란 유도제 투여 후 난소 과자극 증후군으로 인해 발생한 뇌경색 1례 -증례 보고 / 김명옥 2002  101
    58 14 재생산 기술 법률상 모(母) 개념의 해체와 헤테로토피아 - 대리모의 자궁을 중심으로 - 2017  101
    57 14 재생산 기술 모성보호정책 확대에 관한 연구 2013  100
    56 14 재생산 기술 배아의 윤리 : 인격 대 생명'의 논쟁을 중심으로 / 이을상 2013  99
    55 14 재생산 기술 난임 여성의 스트레스, 배우자지지 및 삶의 질 / 김승경 2016  99
    54 14 재생산 기술 난임 여성들의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사업에 대한 인식 / 한수경 2015  99
    53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 관련 법 정책 발전의 의의와 향후 과제"에서의 전문용어 사용에 대한 의견 / 손영수 2010  98
    52 14 재생산 기술 인공적 생식에 관한 법제 연구 / 박상수 2003  98
    51 14 재생산 기술 인간 배아 생산을 위한 하이브리드 마우스 체외수정 조건 확립에 관한 연구 / 이단비 2016  97
    50 14 재생산 기술 조선후기 남성지식인의 유모 기록에 나타난 대리모성에 대한 인식 / 서경희 2017  97
    49 14 재생산 기술 생식 윤리학에 있어서의 여성주의 방법론 연구 / 이혜정 2007  96
    48 14 재생산 기술 북한 내 재생산 영역의 사회구조와 여성의 실천 : 임신‧출산 관련 법제와 개인 경험을 중심으로 / 김석향 외 2016  96
    47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 규제 입법에 대한 각국의 현황과 그 영향 / 하정옥 2016  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