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26
발행년 : 200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圓光法學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75210394 
보조생식의료에 있어서 계약법리의 적용
= A Study on Application of the Contract Legal Principles to the subsidiary artificial insemination

                                      

  • 저자명

    최행식                                               

  • 학술지명

    圓光法學             

  • 권호사항

    Vol.24 No.2 [2008]                                                          

  • 발행처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275-296(22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08년

  • 초록 (Abstract)
    • The infertile married couples are the number of about 13.5% of all married couples by research of the Korea Institute of Healthful and Social Study. By Houses and Population Census in 2000, Infertile married couples are about 635,000 couples. The art...
    • The infertile married couples are the number of about 13.5% of all married couples by research of the Korea Institute of Healthful and Social Study. By Houses and Population Census in 2000, Infertile married couples are about 635,000 couples. The artificial insemination made the number of 21,154 by those infertile married couples. The number of 971 of all those artificial insemination made by non-spouse's sperms or opiums. The fertile surgical operation be practiced after the evaluation and diagnosis for a infertility through consult with doctor in medical center in sterile surgical operation contracts. namely, if it is diagnosis the infertility. the survey for the ovulation, the ovary, the oviduct and the sperm made. therefore, the causes for infertility made explicated. If the causes for infertility made explicated, the doctor have to explain the curative means and the dangerous elements for health to the infertile couple. then the infertile couples will choose the curative means and the duration of medical treatment for themselves. In cases of infertility by the ovulation and the ovary the treatment means is a fertility drugs. In cases of infertility by sperm-deficiency disease or sperm-asthenia disease the treatment means are artificial insemination, external fertilization and microfertilization. In cases of infertility by the oviduct or the womb the treatment means are the external insemination and the laparoscopy. The fertile surgical operation is not the medical practice in a emergency circumstances. therefore, it doesn't to burden or infringe for the patient'sbody. Also, the choose of diagnosis and treatment for infertility have to ensure the patient's self-determination because the methods of diagnosis and treatment for infertility are various. therefore, the doctor have to explain or acquire the patient's consent for the treatment means, the treatment contents, the treatment effect, the a expected side effect and the danger. The legal dispute for the artificial insemination are the regulation of behavior and the filiation. but in cases of the offer of sperms and the freezing storage, the contractual explanation is not almost disputed. The between the patient and medical center make medical contract. In cases of oviduct-exfoliation operation or clomiphene, this contract is not difference the general surgical medical contract. But in cases of using the sperm, opium and the fertilized eggs by third party's offer(the sperm offering contract), in cases of the third women's pregnancy and birth, the various problems come about. that is, the problems of the filiation and the regulation for behavior come about. whether or not these treatment is the medical act. the fundamental doubt exist. Therefore, in this thesis, I try to study the necessarily occurring problems in the process of the artificial insemination. in the side of contract law.

  •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보조생식의료의 유형과 검토
    • 1. 보조생식의료의 유형
    • 2. 검토
    • Ⅲ. 정자 등 제공계약의 성립과 유효성
    • 1. 계약의 주된 내용
    • 2. 정자제공계약과 공서양속
    • 3. 정자제공계약의 특질
    • Ⅳ. 정자제공계약
    • 1. 정자제공계약의 당사자
    • 2. 위법한 정자제공계약의 처리
    • Ⅴ. 대리임신계약
    • 1. 문제의 제기
    • 2. 대리출산계약의 근거로서의 공서양속론
    • Ⅵ.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06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계약규정을 위한 법률안의 제안 / 윤혜란 2006  149
    105 14 재생산 기술 비배우자간인공수태술에 대한 의학적 · 법적 문제점 / 김향미 2007  355
    104 14 재생산 기술 생식 윤리학에 있어서의 여성주의 방법론 연구 / 이혜정 2007  96
    103 14 재생산 기술 체외수정을 통한 대리모 출산에 대한 인식 조사 / 박준철 2007  469
    »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의료에 있어서 계약법리의 적용 / 최행식 2008  46
    101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의료의 법규제와 친자관계에 관한 연구 / 박민제 2008  109
    100 14 재생산 기술 한국의 임신·출산 거래 연구 / 하정옥 2015  137
    99 14 재생산 기술 인도의 상업적 대리모 연구 / 허라금 2015  246
    98 14 재생산 기술 국제대리모계약에 관한 연구 / 이병화 2016  230
    97 14 재생산 기술 직장내 여성 차별에 관한 최신 미연방대법원 판례와 우리 법제에 대한 시사점 / 성중탁 2016  219
    96 14 재생산 기술 베트남 親子法 개관 - 2014년 혼인과 가족법과 2010년 입양법을 중심으로 / 이재열 2016  190
    95 14 재생산 기술 저출산 시대 사회적 보호가 필요한 아동의 양육의 질 제고를 위한 정책방향 / 변미희 2011  266
    94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의료의 법적규제 및 실제에 대한 대처 / 김성은 2012  63
    93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계약에 기해 출생한 자의 친자관계 결정기준 / 윤우일 2012  172
    92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 규제 입법에 대한 각국의 현황과 그 영향 / 하정옥 2016  95
    91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 관련 법제도 개선방안 연구/이현아 외 2017  220
    90 14 재생산 기술 조혈모세포 기증 향상을 위한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박충민, 안소희 2017  267
    89 14 재생산 기술 초급속 동결보존한 체외수정란 유래의 형질전환 마우스 생산효율성 검토 / 김현, 최창용, 성환후 2015  116
    88 14 재생산 기술 재생산 기술과 여성의 시민권 / 정인경 2015  126
    87 14 재생산 기술 생식내분비학 : 배란유도제의 올바른 사용과 부작용의 처치 / 김학순 2004  157